View : 58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윤자-
dc.creator이윤자-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2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2Z-
dc.date.issued1981-
dc.identifier.otherOAK-00000003523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33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5234-
dc.description.abstract이 論文은 鳳山 탈춤 중 「노장춤」의 춤사위를 분석함으로써 탈춤의 한 특성을 고찰하고 나아가 우리나라 전통무용의 한 특성을 규명해 내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鳳山탈춤의 노장춤은 잘 알려져 있는 바대로 現傳 탈춤의 춤사위 중에서도 가장 연극성이 풍부하여 수많은 마임 동작을 지니고 있고, 춤 자체로서도 깊은 의미를 담고서 다양한 표현성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노장춤」은 탈춤 연구에 있어서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춤의 연구에 있어서도 중요한 대상이 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연구가 소홀하여 노장춤의 舞譜조차 되어 있지 않는 형편이다. 이에 기능보유자를 통하여 노장춤의 舞譜를 작성하는 일이 시급 한 바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무보화 작업과 아울러 기존 연구성과를 검토하는 일 또한 중요한 출발점이 된다고 하겠는데, 이를 정리 해 보면 첫째, 鳳山탈춤의 노장파장의 내용이나 춤사위는 「만석중놀이」와 敎坊諸譜에 나오는 「僧舞」와 깊은 관련이 있고, 둘째, 노장과장의 극적 구조는 전체적으로 볼 때 인간성을 억제했던 형식 도덕을 비판하는데 유효적절한 방식을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성과를 토대로 하여 노장춤의 의미와 미학적 가치를 규명해 본 결론을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鳳山탈춤의 노장과장은 마임과 춤이 특히 우세한 場이다. 노장이 관중의 한 사람에서 판으로 뛰어 들어가서 극중인물로 바뀌게 되는 특성을 지닌 노장춤의 연극적인 기능은 춤으로써 사건을 이야기 하는데 있는 것인데 이때의 춤은 단순히 사실적인 것을 묘사하는 마임이 아니라 연극적인 약속으로서 양식화 되어 있어서 전형적인 틀을 가지고 있다. 즉 노장춤은 춤으로서도 줄거리를 충분히 이야기해 주는 현실적인 춤으로 사실을 전달해 주는 방식의 성격을 띄고 있지만 사실 전달에만 치우치는 것이 아니라 노장의 내면적 갈등을 주관화 하지않고 객관화 하는 데 성공적인 표현을 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러한 표현은 단순히 노장의 개인적 갈들 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갈등을 표현해 주는 데로 나아가 춤으로써 사회화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표현기법을 보더라도 소박하고 거친 가운데서도 강렬한 표현성을 지니고 있어 사실주의에서 표현주의로 나아가 있는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표현주의적인 수법을 통해 노장 개인의 내면적인 갈등은 사회적인 갈등으로 바뀌고 사회적인 갈등 속에서 노장은 민중 전체의 비판의 대상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표현통로를 가지고서 노장의 내면적인 갈등을 관중으로 하여금 비판적으로 보도록 하여 노장의 도덕적인 이상을 표방했던 허위가 적나라하게 벗겨지고 형식도덕적 허구성이 민중선상에서 비판되고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노장춤은 마임과 춤이 혼합된 형태를 띄고 노인 특유의 몸짓을 나타내고 있는 구부정한 춤으로 노장의 갈등을 표현하는 춤이어서 비록 심각하고 엄숙한 면이 없지않으나 남성춤다웁게 춤사위가 활달하고 춤폭이 크다. 이처럼 의미가 명확한 춤사위이면서 또한 강렬한 남성적 표현성을 지니고 있는 노장춤은 여성적인 동작에만 치중하여 아무 뜻도 없이 그저 곱게만 보이는 데로 흐르고 있고 또한 너무 추상화되어 있어 춤의 내용이 혹 있다하더라도 다양한 의미를 주지 못하고 있는 오늘날 한국춤의 취약점을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의 근거를 제공해 줄 수 있으리라고 보여진다. 이러한 의의를 지니고 있는 노장춤을 계승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인식을 새로이 하고 보다 多角的이고도 심층적인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믿는다.; In this thesis I examine the specific character of mask dance and give much more weights to investigate the specific character of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by analizing the dance of "NoJang" dance in "Bong San Talchoom" Mask Dance. As "NoJang" dance is well known, it is much more drammatic and has more "Maim" than the other existing dances. It has profound significances in itself and shows various expressions. So "NoJang" dance is a very important stuff in studying Korean traditional dance as well as mask dance. But the study of "NoJang" dance is so insufficient that the Dancing Note is not yet built up. Considering these conditions, I examine the following perspectives 1. As a result of historical observation on the formation of "NoJang" dance, I find that "Man SUCK Jung" play in the latter period of Jo SUN era has a close relation to "DangNoe" and "SoMoo-Tal" in "NoJang" dance. In addition, another relation between "SoMoo" and a Buddhist dance. 2. When I compare "NoJang" dance with the other apostate monk dance, first, the differences in the contents is found in "O Kang Dae" play which is played in Young Nam districts. Secondly, the mask dances of Hae Seo districts and Kyunggi districts differ from "NoJang" dance in the drammatic characters slightly but have much similarities in the contents. 3. I analyze the drammatic structure of "NoJang" dance by dividing into three parts, "NoJang" dance, "Sin Jang Soo" play and "Chi Balie" play. First, in "NoJang" dance, the internal discord of "NoJang" is examined. Secondly, in "Sin Jang Soo" play, I look into the aspect of conflicts between "NoJang" and "Sin J ang Soo". At last, in "ChiBalie" play, I observe the structure of the confrontation between "ChiBalie" and "So Moo". 4. I try to find out the origin of motion by contrast with Buddhist dances. In the analysis of "NoJang" dance, I un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lines of play and make out the Dancing Note with precise explanations of motion. I also examine closely the significance and aesthetic value of "NoJang" dance by analysis of its form. The conclusion is summarized as follows. "NoJang" dance in "Bong San Talchoom" mask dance is very superior in "Mime" and dance. So the function of "Mime" and dance might be examined. The drammatical function, that "NoJang" transfers his role from a onlooker to the character, tells events by dance itself. This represents "So Moo" and his active protection against the entrance of "Sin Jang Soo" and "GhiBalie". This does not represent actual facts but is a traditional form as a drammatic fixed style. "NoJang" dance is not individualized alone but expresses its significance very well. So it gives spectators critical interpretation about the society of those days. On account of this great role, "NoJang" dance is endowed with social authority. Representing internal conflicts in "NoJang" dance, the structure of rhythm is consistent with the content and nature of the dance. Thus it tells the story sufficiently by dance itself. Because of this factor, to express the internal conflict is the main subject of the part of an apostate monk in "NoJang" dance. These expressions show spectators that the falsehood as ethical ideal is broken to pieces, so it gives spectators the critical view about the ethical but formal society. "NoJang" dance pass through three stages. It starts with the pose lying flat on the ground and developing a walking motion, furthermore running. The most part of Korean traditional dance is abstract and delicate only to be seen nice-looking in their motions. Even if there is a dance which contains some contents, it may not variously represent artistic senses. From this point of view, "NoJang" dance provides with the basis to get over the fraility of Korean traditional dance. Thus, I think, it may have outstanding significances of art. In the end, to succeed and develop "NoJang" dance that has very predominant artistic significances, I emphasize we have a new and correct view of "NoJang" dance and make a profound and many-sided study of i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ⅴ Ⅰ. 緖論 = 1 1. 硏究目的 = 1 2. 硏究方法 = 3 Ⅱ. 鳳山탈춤 전승내용의 배경 = 4 1. 사회적 배경 = 4 2. 과장별 내용전개 = 8 3. 노장과장의 내용형성의 문제 = 15 Ⅲ. 노장과장의 극적 구조 = 23 1. 다른 지역의 파계승과장과의 비교 = 23 2. 노장과장의 극적 구조분석 = 29 Ⅳ. 노장춤의 춤사위 분석 = 40 1. 노장춤의 춤사위 의미 = 40 2. 형태론적 분석 = 46 Ⅴ. 결론 ; 노장춤, 그 예술적 가치 = 60 參考文獻 = 65 부록 = 67 英文抄錄 = 9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95419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봉산탈춤의 노장춤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udy of NoJang Choom in "Bong San Talchoom" mask dance-
dc.creator.othernameLee, Youn Ja-
dc.format.pagevii, 9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과-
dc.date.awarded198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