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수정-
dc.creator박수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9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9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24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33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244-
dc.description.abstractDysphonia can be assessed by considering multi-variants, such as patients' background data, hygienic status, grade of benign lesions of the vocal folds, perceptual ratings of the voice and objective voice evaluation results. It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scrimination model for predicting vocal fold nodule and polyp's lesional grade, with patients' background data and objective voice evaluation parameters. For this purpose, the retrospective research was carried out at the Ewha Womans University Hospital. 122 patients' voice examination data had been selected, and lesion screening (grade Ⅰ, Ⅱ, and Ⅲ) was conducted by 2 ENT specialists, with each patient's vocal fold pictures achieved during the laryngoscopy examination. The Lesional Grade Discrimination Model with which the lesional grade of vocal fold nodules and polyps could be predicted was derived by the ord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using SPSS 10.0). With this model the lesional grades of 73 out of 122 patients(59.8%) were correctly predicted to their formerly screened ones. The test program based on this model was also developed. This model applied the multivariate approach, which statistically combined these currently used parameters, Jitter, Shimmer, MFR, MPT, and patient's background data such as gender and dysphonia period. It might explain the status of benign lesion of vocal folds, and furthermore expect the physiological function of vocal folds. It might increase objectivity within and between ENT specialists, speech language pathologists and patients. Still, we could get better improvement if considering more parameters about 3 dimensional physiological data and overall hygienic status of vocal folds and upper respiratory airway, patients' occupation, abuse/misuse histories and personality etc.;음성의 문제를 호소하며 병원을 방문한 환자를 진단할 때 이비인후과 전문의 및 음성언어치료사는 환자의 음성기능을 종합하여 총체적으로 중증도에 대한 소견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환자의 후두 조직 및 기능 상 어떤 질환이 있는지, 그 질환이 약간 증상이 있는 정도인지 시급을 다툴 정도로 매우 심한지 등과 같은 종합적인 중증도 판정이 내려져야 이를 토대로 약물처방, 수술, 음성치료 등 적절한 치료방법 및 일정을 계획할 수 있다. 환자 역시 본인의 증상이 얼마나 심각한 지 정확한 정보를 전달받을 때에 치료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된다. 음성장애 진단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후두 병변에 대한 시각적인 평가에 대해서는 아직 이비인후과 전문의들 사이에 병변 정도 판정에 대해 통용되는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며, 이와 관련한 연구도 병변 유무 감별 수준에서는 일부 이루어지고 있으나, 병변의 심한 정도나 유형에 대해서, 음성분석 결과 수치들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문헌을 찾아보기 힘들다. 본 연구는 성대 결절과 폴립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두 병변의 정도에 대해 이비인후과 전문의가 내리는 판정 결과를 음성치료사 입장에서 환자의 배경정보와 객관적인 음성검사 수치만으로 얼마나 잘 예측할 수 있는가 알아보기 위해 계획되었다. 즉, 한 환자의 음성변수가 주어졌을 때 이 환자의 후두에 병변이 어느 정도로 존재할 지를 음성변수들을 가지고 계산하여 예측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총 122명의 성대 결절 및 폴립 환자들의 음성검사 정보를 수집하여 전문의의 병변 정도 감별 및 순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모형 적합도가 유의하게 높으며 독립변인들의 계수가 모형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설명해줄 수 있는 로짓 모형을 산출하였다. 로짓 모형을 근거로 각 병변 수준 집단으로 판별할 예측확률을 통해 후두 병변 정도 판별 예측 모형을 수립하였다. 판별 예측 모형을 가지고 전체 122명의 사례에 대해 실측값과 예측값을 비교해본 결과 총 73명(59.8%)을 실측값과 일치하게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었다. 본 예측 모형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웹 기반의 프로그램으로 개발되었다. 본 모형은 임상에서 음성장애 진단 및 치료에서 널리 쓰이던 Jitter, Shimmer, MFR, MPT와 같은 변수들을 결합시킨 다변인적 접근방법으로서, 보다 종합적으로 성대의 병변 상태, 나아가 성대의 기능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연령, 성별, 음성장애 기간에 관계없이 하나의 모형을 통해 변수들을 입력하면 결절이나 폴립의 병변 수준 판별이 가능하다. 본 모형은 이비인후과 전문의, 음성언어치료사, 환자와의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객관성과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다만 성대 결절과 폴립 환자들만을 대상으로 하였고, 과거 환자 기록을 근거로 후두의 병변 상태만을 다룬 연구로서 임상 적용에 있어 제약이 따른다. 보다 많은 샘플을 대상으로 성대 점막의 운동성, 균형성, 규칙성, 환자의 전반적인 성대 위생상태, 직업, 성격 등에 대한 변수들을 고려하여 모형을 발전시킬 필요가 있음을 밝힌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ⅸ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질문 = 7 C. 용어의 정의 = 8 Ⅱ. 이론적 배경 = 11 A. 정상음성과 장애음성의 구분 = 11 B. 성대 결절 및 폴립 병변의 판별 = 14 C. 객관적 수치를 이용한 장애음성의 전반적인 중증도 평가 = 17 1. Weighe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Index(Piccirillo et al., 1998) = 18 2. Dysphonia Severity Index (DSI, Wuyts et al., 2000) = 20 3. 음향학적 장애음성 중증도 지표(홍기환 외, 2003) = 21 4. 다채널 음성분석과 다변량 로짓분석을 통한 포괄적 음성지표 (권택균, 2003) = 22 Ⅲ. 연구방법 = 24 A. 연구대상 = 24 B. 연구방법 = 27 1. 음성검사 자료의 수집 = 27 2. 성대결절 및 폴립 병변의 평가 = 30 3. 통계분석 = 33 Ⅳ. 연구 결과 = 40 A. 성대 결절 및 폴립 병변 판별 예측모형의 산출 = 40 1. 최종 모형에 포함되는 변수들 = 40 2. 순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한 로짓모형의 산출 = 42 3. 병변 수준 예측을 위한 확률식 산출 = 45 B. 성대 결절 및 폴립 병변 판별 예측모형의 평가 = 46 Ⅴ. 결론 및 제언 = 48 A. 결론 및 논의 = 48 B. 연구의 제한점 = 55 C. 제언 = 58 참고문헌 = 59 부록 = 6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1460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성대 결절 및 폴립 병변 판별 예측모형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 7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