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미숙-
dc.creator박미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1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1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45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31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454-
dc.description.abstractSchool age in life cycle refers to the formative period of learning healthy habits. Proper health education in this period helps form an attitude of a desire to increase the health of children and is a good time to maximize the effect of learning desirable habits. However, the late school age, the period in which children change to the adolescent period, has a high probability of experiencing stress by passing through various social, psychological, and cognitive changes, and also can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perceptions of health. So in this study, researchers tried to provide support fo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health promotion programs and basic data required for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the children of school age by perceiv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ess of children in late school age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The subjects consisted of 510 school-aged children in the 5th and the 6th grade in Seoul and Gyeonggi-Do. Data was collected from Aug. 25 to Sep. 6, 2003. The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ily Hassles Scale for school age children, Health Perception Scale,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SPSS for Window(Version 11.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stress level of children in late school age was shown to be relatively low(mean 1.91) and the level of health perception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was proved to be relatively high(mean 2.79,mean 3.52). 2.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ess of children in late school age and health perception was proved to be higher as the stress level was lower(r=-.241, p=.000).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the lower the stress level, the better they showed health promotion behavior(r=-.189, p=.000). Also,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erception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the higher the health perception level, the better they showed health promotion behavior(r=.469, p=.000). 3. The stres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 of children in late school ag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level of gender(t=3.424,p=.001), level of living(F=4.188, p=.016), family mood(F=14.481, p=.000),and perceived health status(F=6.273, p=.000). The health percep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 of children in late school ag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level of living(F=3.356, p=.036), family mood(F=12.349, p=.000), school performance(F=8.462, p=.000), number of academy that the child is attending(F=3.136, p=.015), and perceived health status(F=38.446,p=.000).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 of children in late school ag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occupation presence of mother(t=1.99, p=.047), level of living(F=14.287,p=.000), family mood(F=34.594, p=.000), school performance(F=12.281,p=.000), number of academy that the child is attending(F=3.274, p=.012), and perceived health status(F=7.560, p=.000). As shown in the result, there were correlations among the stress, health perception,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late school-aged children. And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lower stress and the higher health perception led to more health promotion behavior. Therefore, the health teacher who cares for children in late school age could increase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through health promotion program and education for stress control of children and with more positive health perception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suggested : 1. This study was limited to children in the late school age, so suggests to study according to the step of development of children in school age. 2. As stress and health perception have something to do with health promotion behavior, this study suggests to include contents about stress control and positive health perception in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children in school age. ;생애 주기 중 학령기는 건강습관 형성기로서 이 시기의 적절한 건강교육은 아동에게 바람직한 건강증진 행위를 형성해 줄 뿐만 아니라 그 효과를 최대화 시킬 수 있는 좋은 시기이다. 그러나 청소년기로 이행되어 가는 시기인 학령후기는 다양한 사회적, 심리적, 신체적, 인지적 변화를 겪음으로써 스트레스 경험 가능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건강지각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령후기 아동의 스트레스와 건강지각 및 건강증진 행위의 관계를 파악하여 학령후기 아동의 건강증진 행위에 필요한 기초자료 및 효과적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초등학교 5, 6학년생 총 51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03년 8월 25일부터 9월 6일까지 시행하였다. 연구도구는 민하영과 유안진(1998)이 개발한 아동의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 측정도구와 이정은(1994)의 건강지각 측정도구 및 이덕원(2001)의 건강증진 행위 측정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 검증,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령후기 아동의 스트레스 정도는 비교적 낮은 것(평점 1.91)으로 나타났으며, 건강지각과 건강증진 행위 정도는 비교적 높은 것(평점 2.79, 평점 3.52)으로 나타났다. 2. 학령후기 아동의 스트레스와 건강지각의 관계에서는 스트레스 정도가 낮을수록 건강지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241, p=.000). 스트레스와 건강증진 행위의 관계는 스트레스 정도가 낮을수록 건강증진 행위를 잘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189, p=.000). 또한 건강지각과 건강증진 행위의 관계는 건강지각 정도가 높을수록 건강증진 행위를 잘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469, p=.000). 3. 학령후기 아동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는 성별(t=3.424,p=.001), 가정생활 수준(F=4.188, p=.016), 가족 분위기(F=14.481, p=.000), 지각된 건강상태(F=6.273, p=.000)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학령후기 아동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지각 정도는 가정생활 수준(F=3.356, p=.036), 가족 분위기(F=12.349, p=.000), 학교 성적(F=8.462,p=.000), 다니고 있는 학원 수(F=3.136, p=.015), 지각된 건강상태(F=38.446,p=.000)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학령후기 아동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 행위 정도는 어머니의 직업유무(t=1.992, p=.047), 가정생활 수준(F=14.287, p=.000), 가족분위기(F=34.594, p=.000), 학교 성적(F=12.281, p=.000), 다니고 있는 학원 수(F=3.274, p=.012), 지각된 건강상태(F=7.560, p=.000)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학령후기 아동의 스트레스와 건강지각 및 건강증진 행위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건강지각이 높을수록 건강증진 행위를 잘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령후기 아동을 관리하는 보건교사는 아동의 스트레스 관리 및 긍정적인 건강지각 인식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 및 교육을 통해서 건강증진 행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론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본 연구는 학령후기 아동에 국한하여 연구하였으므로 학령기 아동의 발달적 단계에 따른 연구를 제언한다. 2. 스트레스와 건강지각이 건강증진 행위와 관계가 있으므로 학령기 아동의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스트레스 관리 및 긍정적인 건강지각 인식에 관한 내용이 포함될 것을 제언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i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의 목적 = 3 3. 용어정의 = 4 II. 문헌고찰 1. 학령기 아동의 발달특성과 스트레스 = 6 2. 건강지각과 건강증진 행위 = 10 III. 연구방법 1. 연구설계 = 14 2. 연구대상 = 14 3. 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 14 4. 연구도구 = 15 5. 자료 분석 방법 = 17 6. 연구의 제한점 = 17 7. 윤리적 고려 = 18 IV. 연구 결과 및 논의 1. 대상 아동의 일반적 특성 = 19 2. 학령후기 아동의 스트레스와 건강지각 및 건강증진 행위 정도 = 23 3. 학령후기 아동의 스트레스와 건강지각 및 건강증진 행위와의 관계 = 28 4. 학령후기 아동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건강지각, 건강증진 행위의 차이 = 30 V. 결론 및 제언 = 44 참고문헌 = 47 <부록 1> 설문지 = 56 <부록 2> 학령후기 아동의 인지된 스트레스의 문항별 평균 및 표준편차 = 64 <부록 3> 학령후기 아동의 건강지각 문항별 평균 및 표준편차 = 66 <부록 4> 학령후기 아동의 건강증진 행위 문항별 평균 및 표준편차 = 67 <부록 5> 학령후기 아동의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문항분석 및 신뢰도 = 69 <부록 6> 학령후기 아동의 건강지각 측정도구의 문항분석 및 신뢰도 = 71 <부록 7> 학령후기 아동의 건강증진 행위 측정도구의 문항분석 및 신뢰도 = 42 ABSTRACT =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4953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학령후기 아동의 스트레스와 건강지각 및 건강증진 행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 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