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수형-
dc.creator최수형-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1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1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64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29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643-
dc.description.abstract현재 각 건설사에서는 인텔리전트 아파트, 홈 네트워크 등의 내용으로 스마트 홈에 관한 광고를 내보내고 있으며, 스마트 홈 시스템이 적용된 아파트를 건설 중에 있다. 이러한 자동화된 주거의 형태는 새로운 주거 형태를 요하는 소비자의 요구와 발맞추어 스마트 홈의 주거 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스마트 홈은 인텔리전트 아파트, 지능형 주거, 지능형 아파트, 유비쿼터스 홈 등의 많은 용어로 불리고 있다. 하지만 현재 이러한 시스템에 관한 연구는 컴퓨팅 시스템에 관련된 연구가 주를 이루며, 현재 건설되는 인텔리전트 아파트의 경우에도 이러한 시스템이 부분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나 컨트롤 기기에 의해 통합적으로 적용되어 사용되는 것이 아닌, 각 기기별로 다른 컨트롤러로 컨트롤이 가능한 형태이다. 또한 시스템들을 사용자의 필요나 요구와 관계없이 배치, 설치되어 이용률이 저조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거주자의 시나리오에 따른 시스템 평면 제안을 위해서 우선적으로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국내 연구 현황과 적용 중인 국내 시공사의 아파트들 및 국외 연구 현황을 소개하고, 정리하였다. 또한, 유비쿼터스 홈을 기본으로 한 스마트 홈의 필요한 시스템 및 조건 등을 살펴보고, 시나리오를 통하여 2010년에 적용 가능한 시스템 평면 및 3D 모델을 설정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2030년의 시나리오를 제시함으로써, 앞으로 연구 방향에 대한 제시를 하였다. 국내외적으로 스마트 홈에 관한 연구는 굉장히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건설사 및 정보통신부에서 주거문화관을 건설하여 미래의 주거 모습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가전제품을 연구하는 각 기업에서도 자회사의 가전제품을 통하여 스마트 홈에 적용하기 위한 시스템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그 뿐 아니라 타워팰리스와 같은 초고층 주상 복합 아파트를 중심으로 이러한 시스템들을 부분적으로 적용되어 실현되고 있다. 반면, 국외에서는 연구소를 위주로 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며, 특히 MIT, HP, MS 등의 연구소에서 주도적으로 유비쿼터스에 관한 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 스마트 홈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HA 시스템을 비롯하여, 정보통신망, 네트워크, sensing 등 많은 부분이 함께 조합되어 이루어져야 한다. 현재 이러한 부분들이 통합되어 연구되기 보다는 각 시스템 및 센싱에 관한 연구가 각 연구소 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스마트 홈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의 표준화가 가장 우선시 된다. 현재 HP의 Cool Town, MS사의 Easy Living 등 많은 연구소에서 시나리오를 통해서 각 시스템을 연구하고, 적용하는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하지만, 이러한 회사 및 연구소들의 연구방향은 유비쿼터스 주거를 실현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연구이기 보다는, 미래의 일상생활 속에서 사용하는 시스템 및 기기에 관한 시나리오 및 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asic Context와 Current Context 두 가지로 구분한 Context를 기본으로 하여 실제로 주거 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나리오를 설정하였다. 우선 2010년 활동별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부부와 자녀로 구성된 3인 가족을 중심으로 한 2010년 평면에서는 각 사용자가 집 안에서 어떠한 활동을 하는지를 활동별로 인식하여 그에 따른 시나리오를 제시하였으며, 활동별로 정리한 시나리오를 다시 공간별로 정리하여 시나리오에 따라서 각 공간에 어떠한 시스템과 내용이 요구되는지 정리를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시스템 및 내용을 기반으로 하여 아파트 평면에 적용하여 배치하여 위치를 제안하고, 이러한 평면적 배치에서 더 나아가 3D에서 시스템 배치를 하여 기능을 구성해 보았다. 2010년 context 기반 시스템 평면 외에 2030년 주거에 미래의 생활 패턴을 예상하여 적용 가능한 시나리오를 설정하였으며, 이러한 생활 패턴을 적용할 주거 평면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컴퓨터 기반으로 연구되던 시스템 및 Sensing에 관한 개별적인 연구가 주거에서 실제로 발생하는 시나리오를 통해서 적용, 연구되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으며, 시스템들에 의한 주거 평면의 변화가 아닌 거주자의 일상생활 속에서 발생하는 시나리오를 통해서 스마트 홈을 구성하는 기기들을 우리 일상의 주거 평면에 적용, 배치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At the present time each construction company tries to put in an advertisement for Smart Home systems it develops, including intelligent apartment and home network systems, and is building up apartments adopting Smart Home systems. This automated form of housing certainly corresponds to the needs of customers requiring new forms of housing, hence promoting further researches dealing with the housing systems of Smart Home. Smart Home can be called in several other ways, as Intelligent Apartment, Intelligent Home and Ubiquitous Home, etc. However, studies of Smart Home systems till now have been conducted mostly in terms of computer systems, and though the systems are partially adopted in apartments currently being constructed, they are not in the use of under the integrating control system, each part of them being controlled by other individual controllers respectively. Moreover, these systems are not in the full use now because presently available systems are arranged and installed regardless of the users' needs and requirements. So to set the proposal of system plan according to the dweller's scenario, this study introduces and arranges present ongoing situations of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es and apartments applying Smart Home systems by this time. Also in this study the required systems and conditions for Smart Home systems based on Ubiquitous Home were examined, and the system plan and 3D model which can be applied by the time of 2010 were set and proposed through the scenario. The scenario for the year 2030 was proposed as well, for the guidance of future studies. Researches on Smart Home are conducted a great deal in and out of the country, and in Korea construction companies and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have been trying to present the future home environment through the construction of housing galleries. Home appliance industries are also continuing to develop electric appliances which can be applied to Smart Home, and these systems are partially adopted and realized in high-rise residential-commercial complexes such as ‘TowerPalace’. On the other hand, the development of Smart Home in foreign countries is mostly carried out by institutes, and MIT, HP, MS are the leading groups in the field of ubiquitous computing. For the construction of Smart Home, various other parts including HA system, communication network and sensing system should be assembled together. Presently these parts are developed discretely in each system and sensing by individual institutes rather than as a single integrated system, so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se systems, the standardization of each part is required first of all. Various kinds of network systems have been developed, and these should be fitted to the system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network which can be applied to Smart Home. Currently many institutes conduct researches on the systems based on scenarios, e.g. Cool Town by HP, Easy Living by MS. These researches focus on the development of future daily appliances rather than on the realization of Ubiquitous Home, so their researches and scenarios have limits to have an influence on the housing itself. Therefore this study assumes the possible scenario that can be generated from actual dwelling, on the basis of the Context distinguished into Basic Context and Current Context. First of all, I proposed the scenario of the year 2010 based on activities. In the 2010 plan for the family of three, a married couple and a single child, a scenario was proposed according to the activities of each member of the family, then the scenario was arranged again according to space, and the needed systems and contents for each space were produced finally according to the scenario. These produced systems and contents were positioned on the apartment plan and furthermore systems were arranged in 3D model to organize functions. In addition to this 2010 context-based system plan, the applicable scenario for the year 2030 was set up through estimating future living patterns and the housing plan which would adopt these patterns was proposed. This study has a distinctive feature in that studies of the systems and sensing devices which were mostly leaded individually by computer science fields before are applied and analyzed through scenarios based on actual dwelling patterns. Thus it has established the significant fact that instead of the current situation where the housing plan should only be affected by the development of the systems, it is proposed that the Smart Home devices in the housing plan can be applied and positioned according to the scenarios based on dweller's actual daily lif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 목차 = iii 제1장. 서론 = 1 1.1. 연구 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 범위 및 방법 = 2 제2장. 스마트 홈 관련 연구 동향 = 4 2.1. 국내 스마트 홈 연구 동향 = 4 2.2. 국외 스마트 홈 연구 동향 = 13 2.3. 국내외 스마트 홈 연구동향 비교 = 20 제3장. 스마트 홈 시스템의 구성 = 21 3.1. HA 시스템 = 21 3.1.1. HA 시스템의 구분 = 21 3.1.2. HA 시스템의 분류 = 22 3.1.3. HA 시스템의 배치 = 24 3.1.4. HA 시스템의 작동 시스템 비교 = 26 3.2. 정보통신망/네트워크 = 28 3.2.1. 정보통신망 = 28 3.2.2. 유선 기반 홈 네트워크 = 31 3.2.3. 무선 기반 홈 네트워크 = 33 3.3. Sensing Technology = 35 제4장. Context 기반 시나리오 평면 = 44 4.1. 스마트 홈에서의 Context = 44 4.1.1. 스마트 홈의 Context, Context-Aware Applications 정의 = 44 4.1.2. 스마트 홈의 Context 분류 및 설정 = 45 4.2 Context 기반 시나리오 구성 = 47 4.2.1. 2010년 Activity-시나리오 = 47 4.2.2. 2010년 Space-시나리오 = 59 4.2.3. 2030년 시나리오 = 65 4.3. Context 기반 평면 제안 = 75 4.3.1. SmartHome Environments = 75 4.3.2. 2010년 Context 기반 시스템 평면 = 78 4.3.3. 2010년 Context 기반 시스템 3D = 80 제5장. 결론 = 86 참고문헌 = 88 ABSTRACT = 9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6150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dc.titleSmart Home에서의 Context 기반 시나리오와 시스템 평면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i, 9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건축학과-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건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