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주아-
dc.creator이주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9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9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56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29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56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을 선택하는데 있어 어머니의 선택기준 및 만족도에 대한 인식과 기관유형별 어머니의 인식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개선방향을 찾고 학부모의 요구와 특성을 반영한 질 높은 유아교육을 위해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육기관 선택에 대하여 유치원과 어린이집 어머니의 인식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만족도에 대하여 유치원과 어린이집 어머니의 인식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유아교육 기관을 선택하는 중요도와 만족도는 어떠한 상관을 가지는가? 4.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개선과 요구에 대하여 유치원과 어린이집 어머니의 인식은 어떠한가? 5. 국가에서 지원하는 교육비로 어머니는 어느 기관을 선택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어머니 423명이다.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어머니의 선택요인 및 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한 연구도구는 선행연구 및 문헌을 근거로 하여 연구자가 작성하였다. 질문지는 6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구성내용은 일반적인 배경, 선택요인, 만족도, 요구에 관한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 선택에 대하여 유치원과 어린이집 어머니는 유아교육기관을 선택할 때 제시된 거의 모든 영역에 대해 대체적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유치원 어머니는 유치원을 선택할 때 물리적 환경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다음으로 교육과정과 인적환경이 같은 순위를 차지하였으며 건강관리, 일반적 운영, 부모교육, 특별활동 등의 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어린이집 어머니는 어린이집을 선택할 때 건강관리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다음으로 물리적 환경, 인적환경, 교육과정, 일반적 운영, 부모교육, 특별활동 등의 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유치원과 어린이집 어머니의 인식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유치원 어머니는 교육과정 영역을 어린이집 어머니보다 중요한 선택요인이라고 보았고, 어린이집 어머니는 건강관리 영역을 유치원 어머니보다 중요한 선택요인이라고 보았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만족도에 대하여 유치원과 어린이집 어머니는 유아교육기관에 대해 제시된 거의 모든 영역에서 대체적으로 만족한다고 나타났다. 유치원 어머니는 유치원에 대하여 교육과정, 물리적 환경, 인적환경, 건강관리, 일반적 운영, 특별활동, 부모교육 순으로 만족하였고, 어린이집 어머니는 어린이집에 대하여 인적환경, 건강관리, 교육과정, 일반적 운영, 물리적 환경, 특별활동, 부모교육 순으로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만족도에 관하여서 영역별 분류항목으로을 보았을 때 기관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영역은 없었다. 셋째, 선택요인의 중요도와 만족도는 정적상관을 보인다. 즉, 유아교육기관을 선택할 때 중요도가 높은 요인일수록 선택 후 만족도도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개선 요구에 대하여 유치원과 어린이집 어머니의 인식을 알아본 결과, 유치원에서 개선되어야 할 영역으로는 학급당 유아 수와 교사 수, 교육과정, 물리적환경 순으로 나타났고, 어린이집에서 개선되어야 할 영역으로는 물리적 환경, 교육과정, 학급당 유아 수와 교사수를 들었다. 또한, 4위에서 9위까지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학부모가 같은 순위로 개선 요구를 제시하였는데, 건강과 안전에 관한 관리, 학부모-교사간의 교류 및 정보교환, 인적환경, 교육비, 통원방법 및 통원 소요시간, 교육시간 순임을 나타냈다. 다섯째, 국가의 교육비 지원에 대한 어머니의 선택을 알아본 결과, 유치원은 92.5%가 공·사립 유치원을 택한다고 하였고, 어린이집은 56.2%가 공·사립 유치원을, 32.5%가 국·공립 어린이집을 택한다고 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취업유무별로 조사한 결과, 취업한 어머니는 71.25%가 공·사립 유치원을, 19.8.%가 국·공립어린이집을 택한다고 하였고, 전업주부 어머니는 82.4%가 공·사립유치원을 12.1%가 국·공립 어린이집을 택한다고 하여 취업유무별로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This study aims to find a way to improve the childhool education and contribute to its high quality reflecting the demands and characteristics of parents, by investigating mothers' standards for selection and degree of satisfaction, and the difference in their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institute. Based on these goals, study subjects are as follows: 1. In terms of the selection of childhool education institute,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mothers having kindergarten children and those having children attending a child care center? 2. In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institute for childhool education,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them? 3. What'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importance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choosing a childhool education institute? 4. On the improvement and demands of the childhool institute,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them? 5. With education costs supported by the government, which institute are mothers willing to select? For this, the study performed a survey of 423 mothers having children attending either kindergarten or day care center located in Seoul, and the researcher prepared the study instrument on the basis of advance researches and literature. The questionnaire included 64 items, having the contents like these: general backgrounds, selection factors,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demands. Then,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d t-test. Thus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selection of childhool education institute, both of them--a kindergarten or day care center--attached importance to most of the subjects given to them on the whole. Meanwhile, those who had children attending a kindergarten valued physical environment above everything else, whereas mothers whose children were going to a child care center rated health care as most important. Also,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m, the mothers having kindergarten children considered curriculum more important than did mothers involved in a day care center, while mothers whose children were sent to a day care center considered health care more important than did mothers having kindergarten children. Second, in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institute of childhool education, both of them, on the whole, were satisfied with nearly all areas. In particular, the most highly satisfied part by kindergarten children's mothers was curriculum, followed by physical environment, human environment, health care, general operation,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parents' education. On the other hand, the top ranked item that mothers involved in a child care center expressed their satisfaction was human environment, followed by health care, curriculum, general operation, physical environment,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parents' education. Yet, in the items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according to field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type of institute. Third, there was a static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selection factors. That is, the higher the level of importance in selecting a childhool education institute, the higher the level of satisfaction after selection. Fourth, the recognition of mothers of both sides on the demand for improvement of each institute proved that what was needed to be improved in kindergartens, they responded, was the number of children and teachers per class, followed by curriculum and physical environment; in child care centers, they responded that physical environment should be improved most, followed by curriculum and the number of children and teachers per class. Fifth, in consequence of investigating mothers' choice relating to education costs supported by the government, 92.5% respondents having kindergarten children would select a public or private kindergarten, while 56.2% of mothers sending their children to day care centers would also select a public or private kindergarten but 32.5% preferred a public or private child care cent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유아교육기관의 체제와 유형 = 5 B. 유아교육의 질적 요인 = 11 C. 유아교육기관의 선택요인 및 만족도 = 16 Ⅲ. 연구방법 = 22 A. 연구대상 = 22 B. 연구도구 = 24 C. 연구절차 = 27 D. 자료분석 = 28 Ⅳ. 연구결과 = 29 A. 유아 교육기관 선택요인 중요도 = 29 B. 유아 교육기관에 대한 만족도 = 31 C. 유아교육기관 선택시 중요도와 만족도와의 관계 = 32 D.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요구 = 33 Ⅴ. 논의 및 결론 = 37 A. 논의 = 37 B. 결론 및 제언 = 43 참고문헌 = 45 부록 = 49 ABSTRACT = 5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6657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유아교육기관에 대한 어머니의 선택요인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x, 5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