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1 Download: 0

통합환경색채계획을 통한 아파트 브랜드 이미지 고유성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Title
통합환경색채계획을 통한 아파트 브랜드 이미지 고유성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Authors
이주미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환경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1990년대 중반 이후 소비자들의 소득 및 생활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소비자들은 다양한 거주환경 라이프스타일을 추구하고 공동주택건설 시장은 거주자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하기 위해 브랜드 이미지 전략을 강화하게 되었다. 감성의 시대에 돌입한 21세기에 브랜드 이미지 차별화를 확보하기 위해 감성적 색채전략과 통합환경색채계획을 통해 기업의 브랜드 이미지 형성에 긍정적인 지원을 함으로써 브랜드 이미지의 고유성을 제고하고 있다. 이에 연구자는 국내 아파트 건설 시장의 경향에 따른 감성적 색채전략을 반영한 통합환경색채계획을 위해 연구대상을 중심으로 통합환경색채계획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1장에서는 통합환경색채계획을 통한 브랜드 이미지 고유성 제고에 관한 연구의 목적과 방법 및 범위를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문헌고찰을 통한 방법으로 쾌적성, 감성화, 고급화, 안전성, 편리성을 추구하는 거주자의 라이프 스타일 경향이 증가함에 따라 국내 아파트 건설시장 경향도 거주자의 라이프 스타일을 반영하여 환경친화, 감성화, 고급화, 첨단화를 추구하는 브랜드 이미지 전략을 구축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국내 아파트 브랜드 이미지 현황 고찰로서 아파트 브랜드 이미지의 중심 개념이 브랜드 명과 로고, 광고매체를 통해 어떻해 전달되고 있는지 살펴보았고, 브랜드 이미지를 전달하는 형용사 어휘를 추출하였다. 색채의 감성적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는 형용사 어휘를 추출하여 브랜드 이미지를 전달하는 형용사 어휘와 연계시켜 브랜드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는 색채의 감성적 이미지 범주를 구성하였다. 4장에서는 국내 아파트의 환경색채분석을 통해 브랜드 이미지와 아파트 외관색채의 연관성, 아파트의 물리적 환경색채 분석을 통해 개선방안을 마련하였다. 5장에서는 브랜드 이미지와 색채의 감성적 이미지의 연계성 적용, 아파트의 환경색채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을 연구대상에 통합환경색채계획 대안 과정을 제시하였다. 6장에서는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연구의 결론 및 타당성을 밝혔다.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해 아파트 브랜드 이미지 고유성 제고방안으로 통합환경색채계획방법론을 제시하였으며, 기업과 거주자 모두에게 긍정적인 브랜드 이미지 제고의 기여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Due to the increased income and elevated living style of consumers since the mid of 1990s, consumers are pursuing various residential environments, and public housing markets are strengthening brand image strategies to reflect the changed life styles of residents. To secure differentiated brand images in the 21C, the Age of Emotion, they strengthen the peculiarity of brand images by forming positive brand images through emotional color strategies and integrated environmental design planning. In this research, suggested was a methodology for integrated environmental design planning in which emotional color strategies reflect the tendency of domestic construction markets. The purpose, method and scope of this research on elevating brand image peculiarity through integrated environmental design planning were suggested in Chapter 1. In Chapter 2, through document examination, surveyed was the fact that the tendency of domestic apartment construction markets is establishing brand image strategies pursuing environmental, emotional, high-quality and highly advanced ones by reflecting the life styles of residents, according to the tendency of the life styles of residents pursuing comfortableness, emotionality, high quality, safety and convenience. In Chapter 3, by surveying the actual status of Korean apartment brand images, surveyed was how the central images of apartment brand images is transmitted by brand names, logos and advertisement medias, and found were adjective words, which transmit brand images. By finding adjective words expressing the emotional images of colors, and by connecting them with adjective words, which transmit brand images, composed was the emotional image category of colors, which express brand images. In Chapter 4,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image and apartment color appearance was suggested by the integrated environmental design planning of domestic apartments, and some improvements were suggested after the physical environmental analysis of domestic apartments. In Chapter 5, suggested were the application of connection between brand images and the emotional images of colors, some improving methods through the environmental color analysis of apartments, alternative processes for integrated environmental design planning. In Chapter 6, the conclusion and rationality of this research was described based on the above results. In this research, suggested was a methodology for integrated environmental design planning as a method to elevate the peculiarity of apartment brand images, an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contribute to the elevation of positive brand images to both companies and apartment resid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