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노은정-
dc.creator노은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4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4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18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28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188-
dc.description.abstractThis treatise is focused on the originality of pictorial space in the works of Edouard Manet(1832-1883). Manet has been considered as a progenitor of Modern art in view that he represented the lives of his contemporaries and that he intensified the flatness of the pictorial surface, the two dimensional space which itself is the property of visual art. As a result, many researches on Manet happened to concentrate on the subject matter and its plastic features. But in this thesis, the main theme is to discuss the complex compositional aspects of Manet's works and its originality by analyzing the two factors in particular. Firstly, the spacial effect made by the gaze of the personage described in the works. And secondly, Manet's treatment of the mirror motifs. Additionally, the vision of the painter will be discussed as his composition is closely related to his world view and that of its contemporaries. It is feasible to interpretate the pictorial surface in the works of Manet as a composition that rejects the traditional one-eyed vanishing point that had been presupposed in the Renaissance paintings. Manet's scenes are those that show fundamental leap from the surface of the traditional perspective in which the viewer is induced to the expansion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picture. Manet's compositional effect rejects the viewer's gaze in participating in the expansion into the picturesque and on the contrary, his scene produces the external expansion toward the viewer's territory. In place of being guided to experience the internal illusion of the picture, the viewer is refused by it's surface in a way that he is required to select his own view point by himself outside the picture. This can be verified by the gaze that miss each other described in the painting. Manet's painting is not composed to represent the space like that of the photography. Instead of reproducing the appearance of an object, Manet aspired to capture the reality of the World. This is due to his desire to express the exterior world just as its lifelike state. This kind of vision is manifested in an instant close-up capture of the model, and the horizontal composition that accentuates the frontal dimension of the object. It restores his assertion that he no longer observes the World in a distance. He also overcomes an objective regard so as to capture the reality of the World by directly facing the object. These characteristics in Manet's pictorial surface, in which his vision is projected, can equally be inferred by analyzing the mirror motifs manifested in his paintings. Traditionally, the mirror had been used as a tool for the expansion of the internal spacial territory. But the mirror arranged in Manet's works are used as an instrument to indicate his moving, wobbly vision. By placing a mirror in which the exterior is metamorphosed, Manet produces the flatness of the pictorial surface of which itself is the property of visual art. It overcomes the reality even though it refers to reality. This also reflects Manet's luminescent vision that expands to the territory of the viewer with its imagination and its psychological effect. This kind of expansion is irrelevant of the viewer and it is quite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pictorial surface that induces the viewer into the internal by its illusion. This thesis is based on the originality of the composition in Manet's works that manifests the new world view at the beginning of the 19th century. The significance of this thesis lies in bringing out the fact that the originality of Manet's pictorial space is due not to its subject matter, but to the painter's vision of exterior world. ;본 논문은 에두아르 마네(Edouard Manet : 1832-1883) 작품에 나타난 새로운 회화 공간에 관한 연구이다. 마네는 동시대 삶을 화폭에 표현하고 회화 자체의 특성인 2차원 평면성을 강조하였다는 데서, 현대회화의 길을 연 선구자로 평가받는 화가이다. 그런 만큼, 이제까지 마네 연구는 주제나 조형적인 면을 중심으로 마네 회화의 특성을 밝혀보고자 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마네 작품 속 회화 공간의 복합적 양상을 중심으로 마네 회화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전통적 회화 공간과의 비교 하에 마네 작품 속 회화 공간이 지니는 새로운 면을 작품 속 인물의 시선과 거울 모티브라는 요소를 통해 보여주는 작업이 될 것이다. 또한 작품을 제작하는 화가, 즉 마네 자신의 시각도 언급할 것인데 왜냐하면 회화 공간은 단지 회화의 조형적 측면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화가의 시선, 더 나아가서는 당대인들이 세계를 바라보는 태도에 의해서도 그 모습을 달리하기 때문이다. 전통적 회화 공간을 구성하는 시각은 19세기 전후로 일어난, 프랑스 혁명, 산업혁명, 근대적 도시의 탄생 등 사회 전반적 상황이 변하고 광학과 심리학 등 새로운 학문이 발전함에 따라 변화를 겪게 된다. 이전에도 시기에 따라 부분적으로 변화가 있기는 했지만 이렇게 전체적으로 사회의 모습과 시각에 대한 가치관이 변한 것은 19세기에 들어서나 가능했다. 바로 이 시기에 마네는 위치해 있다. 실증적이고 과학적인 관찰을 중요시하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마네 또한 자신이 본 것을 화폭에 재현하고자 하였다. 이것은 주제에 있어서도 커다란 변화를 가져오지만 회화 공간 또한 자신이 본 것을 기록하는데 가장 적합한 모습으로 변해간다. 마네 작품에 나타난 회화 공간은 전통적 회화 공간과는 달리 단일하게 조정된 중심이 없는 공간이다. 구성에 있어서나 주제에 있어서나 하나의 중심을 향해 회화 공간이 구성되고 원근법의 사용으로 화면 내부로 확장을 일으키는 전통적 회화 공간은 사라지고 화면 내부에 머물거나 아니면 화면 밖 관자의 공간으로 확장을 일으키는 회화 공간이 탄생한다. 관자는 화면 안 중심으로 인도되어 회화 공간을 적극적으로 경험하도록 일방적으로 이끌리는 것이 아니라 화면 밖에서 자신의 관찰 시점을 스스로 선택하게 된다. 이러한 회화 공간의 효과는 작품 속 인물들의 분산되거나 서로 어긋나는 시선 혹은 화면 밖으로 던져지는 시선으로 확인할 수 있다. 마네의 작품 속 회화 공간은 화가가 대상을 바라보는 시선에 따라 그 모습을 달리 한다. 마네는 두 눈에 들어오는 대상의 외형적인 형태만을 복사하는 것이 아니라 대상의 진실한 면을 포착하기를 원했다. 이는 대상을 가장 생생하고 살아 있는 모습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마네의 바람에서도 드러나는 것이다. 이러한 마네의 시선에 따라 대상은 순간적으로 가까이서 포착된 모습으로 표현되고 마네 작품 속 회화 공간은 정면성을 띠며 수평 구도를 취한다. 이는 거리를 두고 대상을 조망하거나 객관적으로 관찰하는 태도를 넘어서 대상의 진실을 포착하기 위해 대상을 가까이서 정면으로 마주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마네의 시선으로 포착된 대상이 표현되는 공간은 대상을 인위적으로 하나의 틀에 매어 놓는 규정된 공간이 아니라 대상을 가장 생기 있게 만들 수 있는 공간이 된다. 마네 작품 속 회화 공간은 원근법을 이용한 눈의 착시를 유도하여 실제 공간과 같아지려 했던 전통적 회화 공간과는 다르다. 이는 마네의 회화 공간이 대상을 이상화하거나 과장된 모습으로 표현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의 주제를 향해 부분들이 조합되는 전통적 회화 공간이 아님을 보여준다. 마네의 회화 공간은 마네가 사물을 바라보는 태도를 그대로 보여주는 공간으로 이러한 면은 마네 작품 속에 사용된 거울을 통해서도 짐작해 볼 수 있다. 회화 속 공간의 확장이라는, 전통 회화에서 거울이 담당했던 역할에서 벗어나 마네 작품 속의 거울은 화가의 유동적이고 흔들리는 시선을 그대로 보여주는 모티브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마네는 거울에 의해 변형된 상을 한 화면에 배치함으로 실제를 기반으로 하지만 실제를 넘어선 회화만의 공간이 생겨남을 보여주고 있다. 마네의 회화 공간은 일정한 방향으로의 확장을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상상이나 심리적인 측면에서 사방으로 확장을 일으키는 회화 공간이 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Ⅱ. 19세기 미술의 새로운 회화 공간 = 7 A. 전통 공간으로부터의 탈피 = 7 B. 마네의 실증적 경험의 공간 = 18 Ⅲ. 작품 분석으로 살펴 본 마네 회화 공간의 특성 = 26 A. 작품 속 인물들의 시선과 공간의 단절 = 26 B. 화가의 시선에 의한 공간의 변화 = 38 C. 거울 모티브를 이용한 공간의 확장 = 49 Ⅳ. 결론 = 62 참고문헌 = 65 도판목록 = 70 도판 = 76 ABSTRACT = 9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2132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에두아르 마네(Edouard Manet) 작품에 나타난 복합적 회화 공간-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ⅵ, 9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