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윤혜영-
dc.creator윤혜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8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8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45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25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451-
dc.description.abstract학습장애아동 통합교육에 있어서 통합 그 자체가 통합교육의 성공을 보장하지 못한다. 학습장애아동이 성공적으로 통합되기 위해서는 일반학급에 단순히 물리적으로 통합되는 것 이상의 지원적 통합(supported inclusion)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지원적 통합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행정적, 재정적, 교육과정적, 사회적 지원도 중요하지만 통합교육의 주체가 되는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태도도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초등학교에서 학습장애아동 통합교육을 담당하는 일반교사와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학습장애아동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를 비교하고, 선행연구를 통해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에 영향을 주는 교사관련변인(교직경력, 담당학년 수준, 학습장애아동 통합교육경험, 학습장애아동 지도에 대한 성공감, 지원서비스의 제공횟수, 지원서비스의 유용도)에 따른 교사의 태도를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 연구결과를 통해 학습장애아동의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교사들의 태도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특수학급이 2학급씩 설치되어 있는 서울과 경기지역 소재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일반교사 108명, 특수교사 10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Cochran(1999)이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STATIC을 번역ㆍ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결과 분석은 일반교사집단과 특수교사집단간 학습장애아동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를 비교하기 위해서 두 독립표본 t검증을 하였으며, 교사관련 변인에 따른 두 교사집단 간 태도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서 이원변량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습장애아동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 일반교사는 특수교사 보다 유의수준 .001에서 유의하게 부정적 태도를 나타내었으며, 통합교육과 관련된 4개의 모든 하위영역('통합교육의 유익성', '통합교육의 전문가적 측면', '통합교육의 철학적 측면', '통합교육의 지원적 측면')에서도 일반교사가 특수교사에 비해 유의수준 .001에서 유의하게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장애아동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교육을 충분히 받았는지, 학습장애아동이 교실에 입급된 것을 알게 되었을 때 염려가 되는지, 학습장애아동을 교육하는데 필요한 현직 특수교육연수가 모든 일반교사들에게 필요한지, 학습장애아동을 가르칠 능력이 있는지에 대해 묻는 문항에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태도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일반교사가 특수교사에 비해 학습장애아동 통합교육을 위해 충분한 교육을 받지 못했고, 학습장애아동을 가르치는데 낮은 자신감을 갖고 있음을 보여주고, 일반교사를 대상으로 한 현직 특수교육 연수의 필요성에 대해 더 낮게 지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2. 교사관련 변인(교직경력, 담당학년 수준, 학습장애아동 통합교육경험, 학습장애아동 지도에 대한 성공감, 지원서비스의 제공횟수, 지원서비스의 유용도)에 따라 학습장애아동 통합교육에 대한 두 교사집단의 태도를 비교한 결과, 교사집단에서 주효과가 나타났고, 교사관련 변인 중 학습장애아동 지도에 대한 성공감, 지원서비스 유용도에서 주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교사관련변인과 교사집단간의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즉, 학습장애아동 지도에 대한 성공감이 높은 집단이 성공감이 낮은 집단보다 학습장애아동 통합교육에 대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나타냈고, 지원서비스 제공을 유용하다고 지각하는 집단이 지원서비스 제공을 유용하지 않다고 지각하는 집단보다 학습장애아동 통합교육에 대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장애아동 통합교육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일반교사의 태도를 개선하기 위해 교사재교육과 연수 기회제공, 지원서비스의 양적ㆍ질적 확대, 행정적ㆍ재정적 지원 등과 같은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학습장애아동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를 개선하고자 할 때, 교사관련 변인 중 학습장애아동 지도에 대한 성공감, 지원서비스의 유용도가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ttitudes of regular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ward inclusive education of elementary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LD), and to identify any relationship that might exist between the attitudes toward inclusive education of two teacher groups and among several selected variables (the teaching experience, the grade level in charge, the inclusion experience students with LD, the perceived level of success in teaching students with LD, the availability of supportive services, and the usefulness of supportive services. For this purpose, 108 regular teachers and 104 special teachers were selected from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Kyoung-gi province.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was STATIC(Scale of Teacher's Attitudes Toward Inclusive Classroom, 1999) developed by Cochran. T-Test and Two-Way ANOVA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general attitude of regular teachers toward inclusion of elementary students with LD is much more negative when compared to tha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th regards to inclusive education four sub-categorie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inclusive education, professional issues regarding inclusive education, philosophical issues regarding inclusive education, and logistical concerns of inclusive education), regular teachers also have more negative attitude than special education teachers. 2. In overall attitudes toward inclusion, the main effect appeared in two teacher related variables (the perceived level of success in teaching students with LD and the usefulness of supportive services), showing more positive attitudes in the teacher groups with higher perception in the level of success and the usefulness of supportive service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were found between two teacher groups and teacher variables. In conclusion, the results mentioned above indicate that as regular teachers have significantly more negative attitudes toward inclusive education of students with LD, it is necessary to provide regular teachers with in-service programs for changing their attitudes toward inclusion.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as the perceived level of success in teaching students with LD and the usefulness of supportive services are all influential on the attitudes of the teachers toward inclusive education, the two teacher related variables need to be considered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inclusive program and teachers’ attitude chang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C. 용어 정의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학습장애아동 통합교육 = 6 1. 학습장애아동 통합교육의 역사적 배경 = 6 2. 학습장애아동의 성공적인 통합교육 요건 = 9 B.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협력방안 = 12 1.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역할 = 12 2. 통합지원서비스 = 13 C.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 = 15 1.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 태도의 중요성 = 15 2. 선행된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태도 연구 = 17 3. 교사 관련 변인에 따른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 19 Ⅲ. 연구방법 = 25 A. 연구대상 = 25 B. 연구도구 = 26 C. 자료수집 절차 = 27 D. 자료처리방법 = 28 Ⅳ. 연구 결과 = 29 A. 학습장애아동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태도 비교분석 = 29 B. 교사관련 변인에 따른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간 학습장애아동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비교 분석 = 36 Ⅴ. 논의 및 제언 = 52 A. 논의 = 52 B. 제한점 = 59 C. 제언 = 60 참고 문헌 = 61 부록 = 71 Abstract =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7497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학습장애아동 통합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태도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i, 8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