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47 Download: 0

재가 노인의 낙상 관련 요인 연구

Title
재가 노인의 낙상 관련 요인 연구
Authors
김민정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낙상은 모든 연령 대에서 일어날 수 있지만, 특히 65세 이상 노인에게서 많이 발생하며, 세계적으로 매년 65세 이상 노인의 1/3에서 일어난다(Singh and Malhortra, 2004). 또 낙상은 노인의 유병율, 사망률과 연관이 있고 무엇보다도 낙상으로 인한 신체적, 사회 심리적, 경제적 문제를 야기 시켜 노인 대상자들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의 낙상의 실태와 낙상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조사하여, 추후 낙상 예방 프로그램 개발과 낙상 위험요인 사정도구 개발에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지역 사회 일개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재가 노인의 낙상관련 요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내인성 요인항목(일반적 특성, 건강 특성-신체적 특성, 심리적 특성)과 외인성 요인항목(환경 특성, 낙상의 경험과 유형)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의왕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으로 본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기를 동의한 205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 수집기간은 2004년 5월 10일부터 5월 25일까지였고 연구자가 직접 설문지를 읽어주고 응답하도록 하였다. 연구 도구는 내인성 요인항목으로 일반적 특성 11문항, 건강특성 항목 중 신체적 건강 특성 22문항, 한국판 노인 우울 척도 단축형 (GDSF-K)을 이용하여 측정한 심리적 건강특성 15문항을 사용하였으며, 외인성 요인항목으로 The Merck Manual of Geriatrics(Beers, 1999: 유형준, 2003)의 낙상 위험에 대한 가정용 점검표를 이용한 환경 특성 20문항과 낙상의 경험 및 유형 10문항으로, 본 연구도구의 총 문항 수는 78문항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0.0 programe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을 구하였고, t-test, χ²-test와 로지스틱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 대상자의 성별은 남자 42%, 여자 58%였고, 평균연령은 74.4세였다. 학력은 초등학교 졸업이 30.2%, 결혼 상태는 배우자가 있는 대상자가 55.6%, 동거가족은 결혼한 아들이 34.6%로 가장 많았으며, 주 이동수단은 보행으로 38%가 응답하였다. 2. 연구 대상자의 건강특성 연구 대상자의 신체적 건강 특성으로 대상자들의 가장 많은 질병은 고혈압 19.7%, 시력장애 10.3%였고, 대상자의 평균 질병 수는 2.6개였으며, 평균 복용 약물 수는 3.08개였다. 대상자의 84.9%가 흡연을 하지 않았으며, 79.5%가 음주를 하지 않았고, 운동은 40%가 안하고 있었으며, 보행 시 보조기구 사용하는 대상자는 22.9%였다. 심리적 건강 특성으로 연구 대상자의 평균 우울 정도는 5.27점으로 연구대상자가 우울증상이 있었다. 3. 연구 대상자의 환경 특성 연구 대상자의 집 환경에 대한 조사 결과 집 전체에 대한 항목에서 집안의 조명이 희미하다 15.6%, 화장실이 바닥이 미끄럽다 14.1%, 욕조에 손잡이가 없다 81.5%, 변기의 지지대가 없다 94.6%, 욕실 문에 안전 잠금장치 가 없다 73.2%, 계단의 난간이 없다 17.1%, 미끄럼방지 발판이 없다 39.5%로 응답하였다. 4. 연구 대상자의 낙상 경험 및 유형 연구 대상자의 53명(25.9%)이 1년 동안 1회 이상의 낙상을 경험하였으며, 여자 36명(67.9%), 남자 17명(32.1%)이었다. 낙상 발생은 오후가 53.1%로 많았고, 계절로는 봄 48.2%로 가장 많았다. 낙상 발생 장소는 길 45.6%로 가장 많았으며, 낙상의 원인은 미끄러짐이 46.8%였다. 낙상 후의 손상부위는 하지가 43.8%로 많았으며, 손상형태로는 좌상 27.8%였다. 낙상자의 77.4%가 낙상의 두려움을 느낀다고 응답하였고, 91.1%가 낙상 후 활동의 제한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5.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별 낙상 경험 유무 낙상 경험자는 남자가 32.1%, 여자가 67.9%로 여자가 많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연령, 학력별, 결혼상태, 동거 가족, 주거 형태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6. 연구 대상자의 건강특성별 낙상 경험 유무 대상자의 신체적 건강 특성 중 기왕 질병, 총 질병 수, 복용 약물 수, 음주, 운동 유무, 보행보조기구 사용 유무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일상생활수행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 .05), 심리적 건강 특성인 우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7. 연구 대상자의 환경 특성과 낙상 경험 유무 화장실에 대한 욕실 문이 내부, 외부에서 열수 있게 잠금장치가 되어 있다(p<.01)의 항목과 계단에 미끄럼방지 발판이 설치되어 있다, 계단에 적절한 조명이 설치되어 있다’(p<.05)의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8. 연구 대상자의 낙상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대상자의 낙상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질병 수, ADL, 관절염 유무, 시력 장애 유무, 암 유무, 골다공증 유무, 기타 질병 유무, 욕실 문이 내부, 외부에서 열수 있게 잠금장치가 되어 있다 에 대한 변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추후 노인의 낙상 관련 요인을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건강 특성, 환경 특성별로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특히 우리 실정에 맞는 환경에 대한 위험요인 평가 도구가 개발되어져야 하며, 이는 노인의 낙상예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Falls can occur in all ages, but especially people over 65 years old more frequently. Also it is the most common health problem in elderly, and the major cause of increased economic problems, morbidity and mortality. At this poi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s for data of falling prevention program by searching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related characteristics, home environment and related factors of falls in dwellings of older persons. This study surveys intrinsic factor items and extrinsic factor items separately to research factors of related falls in dwellings older persons. The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from May 10 to 25, 2004.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5 elderly people residing in Uiwang who comprehend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project. The questionnaire consists 78 questions, which 11 were on general characteristics, 22 on physical healthy characteristics and 15 on psychological healthy characteristics, 20 o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10 on falling-related characteristics as extrinsic factor item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 10.0 program that included a real quantity, percentage, t-test, χ²-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42% of the total participants were male and 58% were female who average age was 74.4, 30.2% have only elementary school education, have 55.6% lived with their mate, 34.6% lived with their married son. 2. Health - 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19.7% were troubled with hypertension, which is the most common disease , 10.3% had weak eye sight, had 2.6 various diseases on average, have taken 3.08 medications on average, 84.9% were nonsmokers, 79.5% were nondrinkers, 40% have not exercised, 22.9% walked with supports. Subjects have depression of which the score was 5.27 as psychological health characteristics. 3. Subjects according to environment characteristics Subjects had answered that 15.6% dim illumination of their entire house. 14.1% has slippery floor in their bathroom. 81.5% doesn't have door knob on their bathroom door, 94.% doesn't have support on their toilet. 73.2% had doors can be unlocked and locked from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athroom. 17.1% had no hand rails in their stairway and 39.5% had no sliding prevention in the stairway. 4. Falling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ubjects had answered that 53 subjects had experienced more than one fall per year, 36 were female (67.9%), 17 male (32.1%). 53.1% falls happened in the afternoon, 48.2% falls happened in Spring season which was the most frequent season. 45.6% falls happened on the road, 46.8% was due to slipping. 43.8% had hurt their lower extremities which was the most frequent injury. 77.4% fear falling, 91.1% are limited to their activities. 5. Falling histor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more female falling experiences (67.9%) than male (32.1%).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falling histor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alling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6. Falling history according to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Subjects were shown as having no statistical significant relation with falling history with disease, number of diseases, amount of medications, excercise and using support when they walk. But the PADL& IADL has statistical significant (p<.05).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7. Falling history according to home environment "The door can be unlocked and locked from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athroom"(p<.01), "Sliding prevention in the stairway, and Illumination of the stairway"(p<.05)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t relation of falling history. 8. The related factors of falling Factors that had strong relation with falling were ADL, arthritis, weak eye sight, cancer, osteoporosis, "The door can be unlocked from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athroom" was various. As the results above, to prevent falling and its related factors, comprehensive approach should be performed in geriatric nursing practitioners based on these resul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