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1 Download: 0

당뇨병 환자 대상 보건소 영양교육의 효과

Title
당뇨병 환자 대상 보건소 영양교육의 효과
Authors
김태연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보건학과임상영양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보건소 영양사업의 효과를 알리고자, 2002년도 구리시 보건소 당뇨교실 참석자의 교육 후 식이섭취 및 혈당개선 정도를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자는 당뇨교실 참석자 중 당뇨중식회를 포함하여 정규교육을 모두 받은 31명(남자 7명, 여자 24명)이었으며, 이들의 교육 전 식생활습관과 교육 전과 후 일정 기간동안 체중, 식후 2시간 혈당, 식이섭취량을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자(식사실습군)를 당뇨교육만 받고 당뇨중식회 교육은 받지 않은 이론교육군과 당뇨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의 두 그룹과 비교하여 당뇨교육이 혈당조절에 효과적인지 알아보았다. 모든 대상자는 구리시보건소에서 진료를 받고 있는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로 제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62.4±8.8세로, 당뇨교육 전 식후 2시간 혈당이 251.5±29.6mg/dl이었으며, BMI가 26.3±2.3이었다. 대부분이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하였고, 평상시 운동량이 부족하였다. 비교적 규칙적으로 식사하고 있었으나, 대부분이 식사속도가 빠르고 달거나 기름진 음식을 좋아했다. 당뇨교육 전 섭취열량이 2439.1±379.8kcal로 처방열량의 162.3±30.9%를 섭취하였으며, 주로 탄수화물과 지방의 섭취량이 많았다. 그러나 당뇨중식회 4주 후에 열량이 1719.7±192.2kcal까지 줄었으며, 탄수화물과 지방의 섭취량이 감소하면서, 전체 열량섭취량 중 단백질이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하였다. 당뇨교육 전에 비해 당뇨중식회 후 체중과 BMI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지 않았으나, 당뇨교육 참석 전에 비해서 당뇨중식회 전, 당뇨중식회 후, 당뇨중식회 2주 후, 당뇨중식회 4주 후에 모두 혈당이 감소하였다. 당뇨교육에 따른 그룹간의 혈당변화를 비교해 보았을 때, 당뇨교육을 받은 식사실습군과 이론교육군이 대조군보다 후사 2시간 혈당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특히 식사실습군은 다른 두 그룹에 비해 혈당이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교육 여부에 관계없이 모든 그룹의 식후 2시간 혈당은 일정기간 후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이섭취 중에서 당뇨중식회 참석한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중회귀로 분석한 결과, 남자는 총 섭취열량이 47.9%의 설명력을 보여주었으며, 여자는 총 섭취열량(57.0%)과 총 섭취열량 중 단백질 비율(15.8%)의 순으로 설명력을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 보건소에서 실시하는 영양교육이 당뇨병 환자에게 있어서 혈당 조절에 효과적이었으며, 특히 식사실습교육인 당뇨중식회 교육까지 모두 받은 경우 식사섭취와 혈당이 매우 효과적으로 개선되었다. 따라서, 앞으로 보건소 영양사업이 건강증진사업에서 중추적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현재 보건소에서 실시하고 있는 영양사업의 내용과 결과가 기존의 일회성 행사나 사례발표 위주에서 벗어나 보다 다각적이고 체계적으로 계획·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diabetic patients at the Guri City's Public Health Center.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1 persons(male 7, female 24) who attended all courses of "2002 Diabetes Education Class". They were indicated as the 'education & dietary assembly group'(EDG). Eating and living habits of EDG were investigated before the education. EDG's weight, blood glucose (post prandial 2 hours, PP2), and dietary intake for 8 weeks were examined as well. EDG's PP2 reduction was compared with an 'education-only group'(EG) who didn't participate in a dietary assembly in all the courses and a 'control group'(CG) who didn't join any course in that class. All of the subjects were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NIDDM) patients. EDG's average age was 62.4±8.8. Before taking the course, EDG's PP2 was 251.5±29.6mg/dl, and body mass index(BMI) was 26.3±2.3 on average. Most of them were stressed out from their daily lives and usually had no exercise. Most people of EDG ate meals rapidly and liked sweet and fatty foods. Before the training, EDG's average intake was 2439.1±379.8kcal that was 162.3±30.9% over their calory prescriptions. It was mainly taken from carbohydrate and fat. But after 4 weeks from the final class, it was decreased to 1719.7±192.2kcal because EDG ate less carbohydrate and fat than before they participated in the course of training, that is, protein portion in total calory intake was increased. After the course of training, EDG's weight and BMI before the training were not decreased significantly. However, all of the EDG's PP2s, which were measured 4 times(before the meal at the special lunch session, after 2 hours at this meal, after 2 weeks and 4 weeks dietary assembly), were decreased in comparison with the PP2 which was checked prior to joining the training. EDG's and EG's average PP2 were more reduced than CG's one. Especially, EDG's average PP2 was lower than all the other groups. In addition, all groups' PP2s were decreased for 8 weeks. Stepwis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about blood glucose regulation in NIDDM patients showed that total calory intake explained 47.9% of the variance in male. Also, they showed that total calory intake explained 57.0% and protein portion in total calory intake explained 15.8% of the variance in female. After all, this nutritional education at the public health center was effective in glycemic control for diabetes mellitus patients. Especially, when the dietary assembly as practical training was included in the educational process, the patient's dietary intake and PP2 was improved more effectivel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nutrition work at public health centers is necessary for the Health Promotion Polic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영양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