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5 Download: 0

IEP 개발시 전환(transition) 요소에 대해 교사가 인식하는 중요도와 실행도에 관한 조사

Title
IEP 개발시 전환(transition) 요소에 대해 교사가 인식하는 중요도와 실행도에 관한 조사
Authors
이영선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특수교사들의 전환교육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이 많이 제기되고 있는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전반적인 전환교육에서의 교사수행능력이나 인식 조사에 관한 연구들은 있으나 전환을 계획하고 서비스를 전달하는 촉진자 역할을 하는 중등 특수교사들이 IEP(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개발 과정에서 전환교육을 어떻게 인식하고 실행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우리 나라에서는 ITP(Individualized Transition Plan)가 법제화되어 있지 않으므로 ITP를 개발하는 학교는 거의 없지만 의무적으로 문서화하도록 법제화되어 있고, 한 개인의 중요한 개별적인 계획 프로그램인 IEP를 개발할 때 교사들이 어느 정도 전환요소를 염두에 두고 작성하는지 IEP에 초점을 둔 연구를 하는 것은 현장과 관련된 전환 관련 인식조사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현장에서 전환교육을 담당하는 특수교육 교사들이 IEP개발시 전환 서비스 요인의 중요도에 대해 어떻게 지각하고 있으며, 어느 정도 실행을 한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인식 수준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더 효과적인 전환교육을 위한 IEP 개발에 있어서의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에 있는 정신지체, 정서장애, 지체장애(인지수준이 낮아 일반교육과정을 수정하여 사용하는 학생) 특수학교 중고등부 교사들이 IEP 개발시 포함시키는 전환 요소(transition component)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를 어느 정도 인식하는지를 조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총 18개교,209명의 교사들이 인식하는 전반적인 중요도와 실행도를 알아보았고, 특수학교 교직경력, 전환교육 연수 유무, 전환교육(또는 직업교육) 담당 기간, 근무하는 학교의 장애영역의 4가지 변인에 따라 그 중요도와 실행도를 알아보았으며, 중요도와 실행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IEP의 전환요소를 평가하기 위해 Grigal et al.(1997)이 사용한 도구를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총 6가지 영역(학생·가족의 참여, IEP 형식, 관련기관과의 협력, 평가 및 수정, 다학문적인 팀 참여, 전환 관련 교수목표의 내용)의 총 29개 하위 항목으로 나누어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IEP 개발시 포함시키는 전환 요소에 대하여 교사들이 인식하는 전반적인 중요 정도와 실행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평균과 표준편차 및 순위를 구하였고, 변인별 중요도와 실행도는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ANOVA), Scheffe 사후분석, 29개 항목별로 중요도와 실행도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의 상관계수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IEP에 포함된 전환 요소 중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한 항목은 '전환목표 개발에 특수교사가 참여한다'이며, '전환목표 개발에 직업교사가 참여', '지역사회 생활능력(교통시설, 지역사회 시설 이용) 내용 포함'의 순위로 중요도가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다고 인식한 항목은 '전환목표 개발에 학교장·교감 참여', '지역사회 관련인사 참여', '목표 달성 단계마다 책임자(협력자) 구체적으로 나타내기' 등으로 나타났다. IEP에 포함된 전환 요소 중 가장 많이 실행하고 있다고 인식한 항목은 '전환목표 개발에 특수교사 참여'이며, '자립적 가정생활능력(청소, 요리)에 대한 내용 포함', '일상생활의 자립에 대한 내용 포함'의 순위였다. 상대적으로 실행하고 있지 않다고 인식한 항목은 '전환목표 개발에 지역사회 관련인사 참여', '전환목표 개발에 학교장·교감이 참여', '협력자에 관한 기록'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육 교직경력에 따른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에서는 경력이 낮은 교사가 중요도를 높게 인식하고, 경력이 높은 교사가 실행도를 높게 인식하였다. 셋째, 연수 유무에 따른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에서는 연수받은 교사가 중요도와 실행도 모두 높게 인식하였다. 넷째, 전환교육(또는 직업교육) 담당기간에 따른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에서는 전환교육 담당 경험이 적은 교사가 대체적으로 경험이 많은 교사보다 중요도를 높게 인식하였으며, 실행도면에서는 전환교육 담당 경험이 많은 교사가 더 높은 실행도 인식을 보였다. 다섯째, 교사가 근무하는 학교의 장애영역에 따른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에서는 지체장애 학교의 교사가 낮은 중요도를 보이고, 정서장애 학교의 교사가 낮은 실행도 인식을 보였다. 여섯째, 대부분의 영역에서 교사들이 IEP 개발시 전환요소를 포함시키는 것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간의 상관관계는 없거나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보면 경력이 높은 교사, 전환 연수를 받은 교사, 전환교육 담당 경험이 많은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보다 대부분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하여 높이 인식하기는 하였으나(단, 예외적으로 특수교육 교직경력이 낮은 교사와 전환교육 담당 경험이 적은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에 비해 중요도를 높게 인식하였다.) 전반적으로 중요도에 비해 실행도가 많이 낮으며, 중요도와 실행도간에는 서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연수, 전환교육 경험 등으로 특수학교 교사들의 IEP 개발시의 전환 요소 포함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었다 할지라도 실행은 잘 하지 않고, 인식이 실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을 말해주는 것으로 교사들의 실천을 저해하는 학교나 관련 기관의 환경에 기인한 탓이라고 본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진정한 전환을 위한 IEP를 개발할 수 있는 여건 마련, 업무 경감과 IEP 개발을 위한 별도 시간 마련, 학생과 관련된 학교 내·외의 다양한 사람들과 만남을 가질 수 있는 체제 마련, 학부모 동참을 위한 방법 강화, 학생 자치활동 강화(학생회 활동, 주번활동)로 학생의 자기결정 기회 넓히기, 계획 개발과 실행을 위한 지원인력 마련, 학업관련 교과목 위주의 IEP 개발이 아닌 전환 관련 IEP 개발 시스템 등의 체제 확립을 위해 학교와 관련 교육당국의 노력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본다.;There is not much studies about related how the secondary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and implement transition education in IEP development. We need to do more research about level of perception of secondary education teachers who teach student transition content. The point of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is researched about transition awareness with education situation in Korea. A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level of both importance and practice about mental retardation, emotional behavior disorder, physical disabilities special school teacher about transition components in the IEP. So, this study is analyzed level of both importance and practice were effected by four measures(the year of special teaching experience, to be or not to be about training experience for transition education, the year of transition education, types of the disabilities in the educating school), whether there wer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both importance and practice or not. This study were used a instrument designed by Grigal et al.(1997) to evaluate IEP transition components which are revised by education situation of Korea, the instrument were consisted of a questionnaire made by 29 items in 6 areas.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Scheffe´ test and pearsons'r.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below. 1. IEP transition components were ranked most highly about level of importance were 'sthe participa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transition objectives development. IEP transition components were ranked the most low were 'the participation of school principle or assistant principle'. IEP transition components were ranked most highly about level of practice were 'the involvement of homemaking needs(washing cooking) content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ransition objectives, independent living in the daily life'. Components were ranked the most low were 'the involvement of community college personnel', 'identification the related personnel', 'the participation of school principle or assistant principle'. 2. According to the year of special teaching experience measures, teachers who have short-term teaching experiences show higher level of importance, and teachers who have long-term teaching experiences show higher level of importance. 3. According to be or not to be training experiences for transition education measures, teacher who had got a transition training perceived both importance and practice very highly. 4. According to the year of transition education measures, the teacher who has short-term teaching experiences showed level of importance highly. Teachers who have long-term teaching experiences showed level of practice highly 5. According to types of the disabilities in the educating school measures, teachers who work in physical disabilities school showed level of importance the most highly. Teachers who work in emotional behavior disorder school showed level of practice highly. 6. There was low correlation-ship or no correlation-ship between level of importance and practice on transition components in the IEP. In the total result, the teachers who has long-term teaching experiences, the one who has taught about transition education a lot, someone who have got a transition training were perceived both importance and practice highly. But this study showed lower level of practice than importance and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level of importance and practice. Even though the secondary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 perceived the importance of transition component in the IEP very highly, they didn't practice, the perception didn't effect to the practice. It is because of environment of schools or related agencies make the secondary education teachers couldn't practice to do something. Therefore, so as to improve this problems, it is necessary for school and all kinds of related agencies for special education to effort like this : separated sufficient time for IEP development, the meeting system between many related people of school in and out, the way of parent's participation, having chances for student who can have self-determination, supporting to avail of related resource of personnel for IEP development and implement, not IEP development related to academic contents but IEP development related to transition. These system will be established by school and all kinds of education agencies' effor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