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3 Download: 0

舒정詩 硏究

Title
舒정詩 硏究
Authors
문성이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중어중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thesis looks into the world of Shuting's poetry, centering around the anthologies or collections like 《雙외船》(1982), 《會唱歌的鳶尾花》(1986) and 《始祖鳥》(1992). Going through the Great Cultural Revolution(文化大革命:Revolution, hereafter), Shuting finds her theme of poetry in the volition to overcome the age of disintegration despite the agony and frustration under the circumstances of oppression of human dignity. This, in a way, reflects her own awakening, not to succumb to the ordeal of Revolution. Turning into the Xin-Shiqi(新時期:New Age), Shuting recognizes a sense of duty through reconsideration of the past history and she asserts the recovery of humanism. In the middle and late 1980's, there appear poems typical of symbolism, the trend of which mirrors the reform and open-door policy of the society during Xin-Shiqi(新時期:New Age). Her poems of the 1990's mainly deal with the subjects like social maladies, common daily life, simple fragments of emotion and social consciousness she felt while living in a foreign country. In order for this thesis to examine the stream of Shuting's poetic sentiment, it analyzes her poetry according to the three divisions, i.e., Wenge-Shiqi(文革時期: Revolution Period), Xin-Shiqi(新時期:New Age) and Hou-Xin-Shiqi(後新時期: Post-New Age). Wenge-Shiqi(文革時期:Revolution period) starts with 'discouragement and discord.' Although Shuting suffers from agony and affliction, this, on the contrary, serves as a trigger for her conquering will against the reality. At the beginning of Xin-Shiqi(新時期:New Age), her will of conquest now turns into 'a sense of responsibility as a poet.' In addition, she tries to realize the independent value of each individual via the 'awareness of humanism' and she pursues a unique outlook on love, breaking from the subordinate, conventional concept. In the 1990's, Shuting faces up to the seriousness of 'evils of materialism' and shows interest in the wrong issues spawned by the commercial society, which reveal the fact that her social consciousness is strengthened. On the other hand, Shuting's love for human beings and life is uncovered in the pieces of life and this attempt is to arouse the public's sympathy by conveying familiar feelings to them. Shuting takes interest in commonplace objects in our lives and establishes her own system of imagery, composed of 'light, bird, water and flower.' The 'Lamplight, flame, live coal, star and sun,' belonging to the notion of 'light,' are symbolized as an image for the 'switch from negation to affirmation.' The 'lamplight' is a medium for recalling the positive way of thinking by illuminating the darkness and giving comfort. Therefore, it stands for the will to surmount the absurd era and the wish for the future. The 'flame' makes possible the awakening about the sense of duty, vitality and affirmative assimilation. The 'live coal' is a vivid configuration that changes the negative situation toward the positive one, appearing as a frame of reference which realizes the ideal. On the other hand, the 'star' functions as a hope or a helper for the future, and the 'sun' is represented as a force against ordeals or a simple, pleasing object. The 'bird' is a symbol of enabling 'the transcendental will from the reality,' taking the shape of 'wild goose, migratory bird, field swan, swan or archaeopteryx.' The 'wild goose' reflects the poet's will to transcend the reality which is portrayed as a cage. Meanwhile, the poet's transcending will toward the ideal world is demonstrated through the 'bird of passage' that flies to fulfil its wish under any rigorous circumstances. The 'field swan,' containing the poet's volition, manifests an image soaring for the goal of life, and the 'swan,' a symbol of freedom and a sublimate of death, is depicted as an image that wins the liberty of soul. Besides, the 'archaeopteryx,' dead and gone into the legend, is revived in order to bring the poet's transcending will into relief. What is more, the poet, herself, puts on feathers, by which she shows her desire to fly, or she aggrandizes her transcending will through a stuffed 'bird.' 'Water,' as an 'open space,' transforms itself into various shapes, i.e., 'sea, tears, Zhi-Shui(智水, water used at religious ceremonies) and lake,' projecting the poet's diverse sentiments. The 'sea' is a maximized image of a creative space that enables free imagination, a yearning object and love. In this light, it is represented as a symbol of truth that the poet is pursuing, the poet's friend and encourager, the manifestation of disillusion, the awesome object, a device that wakens us to the value of life, and a place full of vitality and vigor. The 'tears' symbolize life, 'Zhi-Shui' awakening, as an image intending for religious introspection, and 'lake' a medium that helps to gain the self-introspection and life. The 'flower' is an image implying the 'spirit of resistance,' in the forms of 'ume flower, lily, ivy blossom, purple iris and cactus.' The 'ume flower' is an emblem of the poet's mentality against an easy life, and the vitality shown in blooming even in barren surroundings. The 'ivy blossom' stands for a persistent life which can be seen in its way of stretching with no holds barred. In the meantime, the 'lily' represents the spirit surviving death and the 'purple iris' the poet's mind-set that she will compose poems in spite of any hardships. On the other hand, the 'cactus' is a figure of the beloved object. Shuting has infinite opportunities of creating poems since she is still active in writing. Therefore, it is admittedly rather unreasonable to evaluate her whole world of literature, but it is meaningful to examine the stream of her consciousness by virtue of her published pieces. ;본 논문은 中國에서 出刊된 詩集《雙외船》(1982년)ㆍ《會唱歌的鳶尾花》(1986년)ㆍ《始祖鳥》(1992년) 와 選集ㆍ文集을 주요 텍스트로 삼아 서정의 詩世界를 연구하였다. 文化大革命(이하 약칭 文革)을 몸소 체험하며 詩를 쓴 서정 인간의 존엄성이 억압당한 시대에서 느낀 고통ㆍ좌절 속에서도 와해된 시대를 극복하려는 의지를 주된 주제로 삼았다. 이것은 그녀가 文革이라는 시련에 굴복하지 않으려는 그녀 자신의 각성의식을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新時期로 들어서면서 과거 역사에 대한 反思를 통해 사명감을 인식하였고, 人性회복을 주장하게 된다. 1980년대 중ㆍ후반에 들어서서는 상징계열의 시가 두드러지는데, 이것은 新時期의 개혁개방정책의 사회정세를 반영한 것이기도 하다. 1990년대 그녀의 시에는 현대사회의 병폐들ㆍ평범한 일상ㆍ異國생활에서 느꼈던 소박한 감정의 편린들과 사회의식이 담긴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서정의 詩心의 흐름을 고찰하기 위해 먼저 그녀의 시를 文革時期ㆍ新時期ㆍ後新時期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文革時期는 '좌절과 갈등'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그릇된 시대의 논리에 서정의 마음은 시련과 고뇌가 교차하였지만, 이것은 현실로부터의 극복의지를 일으키는 계기가 되었다. 新時期로 접어들면서 극복의지를 고취시켰던 그녀는 이제 '시인으로서의 사명감'을 인식하기에 이른다. 또, '人性회복에 대한 자각'을 통해 개인의 독립된 가치를 실현하고자 노력하였으며, 종속적인 전통 관념에서 탈피한 독립적인 애정관을 추구하기도 하였다. 1990년대 서정은 '물질문명의 폐해'가 낳은 심각성을 직시하고, 상업사회의 그릇된 문제들에 관심을 가짐으로써 사회의식이 강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서정의 인간과 삶에 대한 애정은 생활의 단편들 속에서 그 의미를 찾고 있는데, 이러한 관심은 사람들에게 더욱 친숙한 느낌을 전달하여 공감대를 형성하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서정은 우리 생활 속에 자주 접할 수 있는 사물에 관심을 가졌고, '빛ㆍ새ㆍ물ㆍ꽃'이라는 形象語로 그녀만의 이미지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빛'의 개념에 속하는 '등불ㆍ불꽃ㆍ불(불씨)ㆍ별ㆍ태양'은 '否定에서 肯定으로의 전환'을 상징하는 이미지로 나타났다. '등불'은 어둠을 밝히며 편안함을 주어 긍정적 사고를 불러일으키는 기제로서 불합리한 시대를 극복하게 하는 의지ㆍ미래에 대한 염원을 상징하며, '불꽃'은 사명감ㆍ생명력ㆍ긍정적 동화로의 환기를 가능케 하고, '불(불씨)'는 생동감 있는 형상으로 부정적 상황을 긍정적으로 전환시키며, 理想을 실현하는 좌표로 등장하였다. '별'은 미래에 대한 희망ㆍ조력자의 기능을 하며, '태양'은 시련에 대항할 수 있는 힘ㆍ즐거움을 주는 소박한 대상으로 나타났다. '새'는 '현실로부터의 초월의지'를 가능케 하는 상징적 의미로서, '기러기ㆍ철새ㆍ들백조ㆍ백조ㆍ시조새' 등이 등장하였다. '기러기'에는 새장으로 묘사한 현실로부터 초월하려는 시인의 의지가 반영되어 있고, 소망을 이루기 위해 역경에 굴하지 않고 飛行하는 '철새'를 통해 시인의 理想세계로의 초월의지를 표현하였다. '들백조'는 시인의 의지를 투사한 대상으로서, 삶의 목표를 향해 飛翔하는 형상으로 나타났고, '백조'는 자유의 상징이자 죽음으로부터 승화하여 영혼의 자유를 얻게 되는 형상으로 등장하였다. 또, 전설 속에 死藏된 '시조새'를 조명하여 시인의 초월의지를 부각시켰고, 시인 스스로 깃털로 만든 옷을 입고 飛翔의지를 드러내거나 표본이 된 '새'를 통해 시인 자신의 초월의지를 극대화하기도 하였다. '물'은 '열린 공간'으로서 '바다ㆍ눈물ㆍ智水ㆍ호수'의 형상으로 시인의 다양한 情緖를 투영하였다. '바다'는 자유로운 상상을 가능케 하는 창조적 공간ㆍ그리움의 대상ㆍ사랑을 극대화한 이미지로서, 시인이 추구하는 진실의 상징ㆍ시인의 친구이자 격려자ㆍ각성의 표상ㆍ경외의 대상ㆍ생명의 소중함을 일깨우는 장치ㆍ생명력과 활기가 넘치는 곳으로 나타났다. '눈물'은 생명을, '智水'는 종교적 성찰을 지향하는 이미지로서 깨달음을 상징하며, '호수'는 자기성찰과 생명을 얻게 하는 기제로 등장하였다. '꽃'은 서정의 '항쟁의 정신'을 내포한 이미지로서, '삼각매화ㆍ백합ㆍ담쟁이덩굴 꽃ㆍ자주붓꽃ㆍ선인장'의 형상으로 나타났다. '삼각매화'는 안락한 삶을 추구하지 않는 시인의 정신과 척박한 환경에서도 꽃을 피우는 생명력에 대한 상징으로, '담쟁이덩굴 꽃'은 자유롭게 뻗어나가는 형상만큼이나 끈질기게 이어지는 생명력을 나타내었다. 또, '백합'은 죽음을 초월한 정신을, '자주붓꽃'은 시련을 견디며 시를 써내겠다는 시인의 마음을 상징하였다. 반면 '선인장'은 사랑의 대상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이미지로 등장하였다. 서정은 지금도 활발한 작품활동을 하고 있기에 그녀에게는 무한한 詩 창작의 기회가 남겨져 있다. 따라서, 본 논문 한 편으로 그녀의 文學世界 전체를 평가하는 것은 무리가 있지만, 그녀가 발표한 작품들을 중심으로 서정의 내면세계의 흐름을 고찰해 본다는 점에서 본 논문의 의의를 찾고자 한다. .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중어중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