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오정은-
dc.creator오정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6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31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19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314-
dc.description.abstract인간을 포함한 모든 환경은 스스로 새로움을 창조하고 질서와 조화로 끊임없는 관계를 지속시키며 살아간다. 이러한 관계 속에서 환경은 그 시대를 반영하고 인간에게는 더불어 살아가는 공간과 정서적인 만족감을 줄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오늘날의 도시환경은 전체라는 관계성을 무시한 채 기술 만능주의에 의해 인공적인 방법으로 환경을 극복하고자 하는 사고체계를 이루었다. 기존의 건축물들은 주변의 자연자원을 적절히 활용하지 못하고 무리한 에너지소비와 엔트로피를 증가시키며 그 결과 다양한 폐기물과 오염을 발생시켰다. 이와 같은 현상은 생태적 환경디자인의 정체성에 대한 의식의 결여와 실제 적용되는 기술 지식의 취약성, 그리고 창조적 실행 능력의 부족에 크게 기인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친환경적 디자인의 사고 의식이 제대로 형성되어 있다 하더라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 정보가 없다면 생각으로 그치게 되고 또 실행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다하더라도 그것을 하나의 목표사례로 창조할 때 어떻게 종합적, 통합적, 유기적으로 꿰어 활용할 수 있을까에 대한 통찰력과 실행력이 없다면 복합적 특성을 지닌 환경디자인의 실례가 최종 실현될 수 없을 것이다. 이와 같은 배경 속에서 도시환경의 옥상정원는 도시환경에 있어서 옥상공간의 기능성 제고와 생태적인 문제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으로 보았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옥상 정원은 도시의 생태적 문제 해결이라는 인식과 함께 공사비 지원, 의무 조경면적으로 환산 등 인센티브가 주어지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많은 활성화와 발전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이유는 단순히 건축 조례법상 조경면적으로 이용하고 신중히 고려된 설계나 시공이후의 유지·관리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못하기 때문이다. 잘 설계된 옥상 정원은 도시의 혼란스러움을 벗어나 평화로운 여유 공간을 제공하고 자연 상태와 마찬가지로 주변의 동식물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이 조성되면서 자연과 공생하는 심리적인 안정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녹지가 절대 부족한 우리나라의 도시 환경을 개선하고 무모하게 버려져 있는 옥상공간을 지상 정원과 같이 아름답게 조성하여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광범위한 옥상정원의 연결망은 도시 하수체계의 부담을 줄이고, 홍수를 줄이며, 주변수로의 질을 아주 극적으로 잘 개선시킨다. 이외에 일반적으로 알려진 대기정화, 산소 발생, 휴식 휴양의 제공 등도 옥상정원이 주는 빼 놓을 수 없는 해택이다. 옥상정원을 친환경적 가친관의 의식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실제 적용기술이나 전문적인 지식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이처럼 옥상정원 도시의 생태계의 징검다리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환경적인 측면과 동시에 삶의 어메니티 (Amenity)의 향상을 추구하는 도시의 소생으로 이해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적 디자인이라고 지칭하는 영역에 있어서 옥상정원은 도시환경에서 건축으로 인해 파괴된 생태계를 옥상 위에 복원하는 의미를 갖고, 인간과 자연이 공생 할 수 있는 생태적 공간 조성기법으로 이해하고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내용과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연구의 배경과 목적을 밝히며, 2. 도시환경의 미적 문제와 자연친화적인 도시환경 조성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3. 옥상정원에 대한 환경적 특성과 효과 효용을 밝히고, 국내·외 사례조사를 통해 현재 우리나라의 발전 가능성과 방향을 제시하였다. 4. 옥상정원의 구체적인 유형과 시스템을 설명하고 식재의 다양한 공간 구성과 기능을 제시하였다. 5. 연구대상을 청계천 복원의 시작점이 되는 종로구의 광교 사거리 부근으로 선정하고 대상지의 환경 분석과정을 거쳐 3,4에서 도출된 개념을 기반으로 디자인 방향을 설정하였다. 대상지에 적용 가능한 디자인 방안과 도형언어를 추출하여 각 공간의 형태와 기능에 적합한 공간의 구성요소(식재 계획, 시설물 계획)를 구체적 접근방법으로 디자인 과정을 진행하였다. 위의 과정을 통해 환경디자인에 있어서 서울의 중심지인 종로라는 대상지가 가지는 환경적인 문제점과 사회적인 문제를 점을 파악하여 인간과 자연이 어우러지는 장소를 창출하고 그것이 갖게 될 의의를 예측함으로써 그 곳에 적합한 환경디자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공간은 도시의 새로운 환경을 제공하고 문화적 기능성을 제고시키는 도시환경의 새로운 가치관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Men and all of the environments live their lives to create new things and to establish continuous relations with an order and harmony. Keeping such relations, the environment shall reflect each era and provide men with a space for living life as well as emotional satisfactions. Today's urban environment, however, ignored a relationship of the whole and established a thought system overcoming the environment artificially by the science and technology. Existing buildings consumed energy unreasonably and increased an entropy without proper use of natural resources to produce a variety of wastes and contamination. This is because men are short of the consciousness regarding the identity of ecological environment design and have low technical information and knowledge and have not ability enough to do creative things. If they could not solve problems despite correct thought of environment-friendly designs, they did not take actions: In addition, if they have no ability and insight into a comprehensive and organic use of the creation of a target case despite concrete knowledge regarding action methods, they cannot produce a final example of the environmental designs having composite characteristics. Under such circumstances, a roof garden of urban environment can raise roof space functions and satisfy ecological matters as a realistic alternative. Currently, in the nation, people think that the roof garden can solve ecological problems at urban cities: Even if they were given some incentives, for instance, the subsidies of construction costs and the conversion into compulsory landscape gardening areas, they could not develop and activate the roof garden yet. This is because the roof garden can be used to be a landscape gardening area in accordance with the laws and regulations of construction and it has difficulties at maintenance after good designs and construction. Well designed roof garden is free from urban disorders to be peaceful and extra space where the animals and plants at adjacent areas can live in natural conditions, so that people may feel psychologically peaceful while living life with the nature. In the nation being absolutely short of greens, they can improve urban environment and convert an area of no use into beautiful roof garden like a garden on the ground. A wide connection network of the roof gardens can alleviate burdens of urban sewage systems and reduce flood and improve neighboring waterways remarkably. First of all, the roof garden demands an environment-friendly value and consciousness as well as researches of applicable technologies and professional knowledge. The roof garden can play roles of stepping stones of an urban ecosystem, and it is demanded to regard it as urban revival looking for an amenity life. In this study, the roof garden can recover an ecosystem, which the constructions of urban environment have destroyed, at a roof and is needed to research it to construct an ecological space where men and the nature can live life together. In addition, the study investigated environmental and social problems of the Jongno, that is, a downtown of Seoul, to create a place being in good harmony with men and the nature and to forecast their importance, so that a suitable environment can be designed at the place. The space evidenced new values of urban environment enough to supply new urban environment and elevate cultural functio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범위 및 방법 = 3 2. 도시환경의 미적 특성과 자연친화적 도시환경 조성의 필요성 = 5 2.1. 도시환경의 미적 문제와 원인 = 5 2.2. 생태적 패러다임이 도시환경에 미친 영향 = 6 3. 자연친화적 도시환경의 옥상정원 = 10 3.1. 옥상녹화의 개념 및 식재 = 10 3.1.1. 인공지반으로서의 옥상녹화 = 10 3.1.2. 옥상공간의 환경특성과 식재계획 = 12 3.2. 옥상 녹화의 효과 = 22 4. 옥상 정원의 국내ㆍ외 사례 = 34 4.1. 해외의 옥상정원 사례 = 34 4.2. 국내의 옥상정원 사례 = 44 4.3. 옥상 정원의 사례를 통한 디자인 적용방안 = 50 5. 디자인 연구 과정 = 52 5.1. 디자인 전제 = 52 5.1.1. 디자인 개요 및 목적 = 52 5.1.2. 디자인 전개과정 = 53 5.2. 대상지 현황 분석 = 54 5.2.1. 대상지 선정 = 54 5.2.2. 지역 환경 분석 = 55 5.2.3. 대상지 세부 공간 분석 = 58 5.2.4. 소음과 대기오염 현황 = 59 5.2.5. 대상지의 조망 = 60 5.2.6. 이용자 행태 분석 = 61 5.2.7. 옥상 공간 현황 분석 = 64 5.3. 디자인 도출 및 적용 단계 = 66 5.3.1. 디자인 개념 설정과 개념의 시각화 = 66 5.3.2. 공간의 구성 = 69 5.3.3. 대상 공간에서의 배치계획과 동선계획 = 72 5.3.4. 영역별 공간디자인 방향 = 78 5.4. 종합 및 평가 = 92 6. 결론 = 94 참고문헌 = 96 ABSTRACT = 9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41293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자연친화적 도시 환경을 위한 옥상 정원 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i, 10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환경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