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윤하-
dc.creator박윤하-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0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0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97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15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970-
dc.description.abstract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은, 지역사회에의 접근성의 기초가 되고, 여가와 직업생활 및 일상적인 활동에서 독립성을 제공하여 주며, 삶의 질에 기여하는 중요한 기술이지만, 많은 장애 학생들은 기회와 능력의 제한으로 인해 대중교통을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 장애 학생들이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데 어려움을 가져오는 요소는, 장애 학생 자신의 능력의 제한성도 한 요인이지만, 이들에게 제공되어진 교육이 지역사회와 학생의 생활 양식을 참조하지 않고, 학생의 자발적인 수행 능력에 초점을 두지 않은 교수 역시 중요한 요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자폐 청소년이 외부의 촉진이나 지시에 의존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통학하기에 필요한 지하철 이용하기를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시각적 단서를 사용한 지역사회 중심 교수를 통하여 중재하고, 시각적 단서와 직접적인 관찰을 단계적으로 소거하여, 지하철 이용 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중학교(3학년)와 고등학교(2학년)에 재학중인 자폐학생이다. 시각적 단서를 사용한 지역사회 중심 교수를 지하철 이용하기 기술을 교수하였을 때, 통학하기 구간의 지하철 이용하기 기술이 습득되며, 시각적 단서와 직접적인 관찰을 소거한 후에도 기술이 습득되고, 중재 종료 2주 후에도 유지되는가를 알아보았다. 또한 시각적 단서의 사용 방법이 다른 지하철 이용 구간에서도 일반화되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시각적 단서란, 통학하기 구간 내 지하철 이용기술을 단계별로 과제분석하여, 각 단계에서 변별해야 할 자극과 수행해야 하는 행동을 포함하도록 장면을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즉, 외부적인 도움 없이도 학생이 독립적으로 통학을 할 수 있도록 각 주요 단계에서 변별해야 할 자극과 그에 따라 수행해야 하는 행동을 시각적인 단서로 사용하였다. 또한 시각적 단서와 직접적인 관찰을 순서대로 소거하여 독립적으로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 결과 이 훈련은 독립적인 지하철 이용하기 기술의 습득에 효과적임이 검증되었다. 실험 설계는 참여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multiple probe design across participants)이며, 지하철 이용하기 기술로서 등교하기와 하교하기가 각각 교수되었다. 중재는 먼저 시각적 단서를 사용하여 이뤄졌고, 학생이 80% 이상의 수행률을 안정적으로 보일 때, 시각적 단서를 소거하여 지하철 이용하기 기술의 습득을 측정하였다. 시각적 단서를 소거한 채, 100%의 수행을 연속 4회기(등하교 각 2회기) 동안 보일 때, 직접적인 관찰을 소거하였고 학생은 자신이 관찰되는지 모르는 상태에서 독립적인 지하철 타기를 측정하였다. 직접적인 관찰을 소거한 채, 학생이 100%의 수행에 도달하였을 때, 중재를 종료하였다. 중재는 매 회기마다 학생이 실제로 등하교하는 시간대에 약 15분간에 걸쳐 이뤄졌다. 시각적 단서의 사용에 대한 일반화를 측정하기 위해, 백화점을 다녀오기 위해 이용해야 하는 지하철 구간에서 시각적 단서를 사용하여 이뤄졌다.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에도 학생의 지하철 이용하기 기술이 유지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중재 종료 2주 후에 유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적 단서와 관찰의 단계적 소거가 적용된 지역사회중심 교수를 통해 자폐 청소년에게 지하철 이용하기 기술을 교수하였을 때, 통학하기 구간에서의 지하철 이용하기 기술의 수행률이 증가하였다. 둘째, 시각적 단서를 사용한 지역사회중심교수를 통해 자폐 청소년에게 지하철 이용하기 기술을 교수하였을 때, 비교수 환경인 다른 지하철역에서도 지하철 이용하기 기술의 수행률이 증가하였다. 셋째, 시각적 단서와 관찰의 단계적 소거가 적용된 지역사회중심 교수를 통해 자폐 청소년에게 지하철 이용하기 기술을 교수하였을 때, 교수 종료 2주 후에도 통학하기 구간에서의 지하철 이용하기 기술의 수행률이 유지되었다.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using visual cues and withdrawing strategy in teaching three adolescents with autism subway riding skills. Three participants learned to ride the subway between school and home to attend school. The experimental design was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participants. In processing the intervention, educator provided participants with community -based instruction by a actual subway in community. Instruction has been carried out to participants in a real time to go to school or back to home. To collect generalization data, the participants rode the subway way to a department store in the Sundays. Follow-up data were collected two weeks after the termination of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 1. In teaching students subway riding skills through withdrawing visual cues and observation, the performance rate of subway riding skills were increased. 2. In teaching students subway riding skills through withdrawing visual cues and observation, subway riding skills were generalized at another subway stop. 3. In teaching students subway riding skills through withdrawing visual cues and observation, subway riding skills were maintained after two weeks in termination of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intervention using community-based instruction using visual cues is effective in acquisition, generalization, and maintenance of subway riding skills for students with autis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C. 용어정의 = 5 II. 이론적 배경 = 6 A. 자폐 청소년을 위한 지역사회 중심 교수의 실제 = 6 B. 이동 기술의 교수 = 12 C. 시각적 단서의 사용과 최소촉진법 = 16 III. 연구방법 = 23 A. 연구참여자 = 23 B. 실험기간 = 25 C. 실험장소 및 실험도구 = 26 D. 실험설계 및 실험조건 = 28 E. 관찰 및 측정 = 34 F. 관찰자간 신뢰도 = 36 IV. 연구결과 = 38 A. 지하철 이용하기 기술의 습득 효과 = 38 B. 일반화 효과 = 42 C. 유지 효과 = 43 V. 논의 및 제언 = 44 A. 논의 = 44 B. 제한점 = 49 C. 제언 = 50 참고문헌 = 51 부록 = 60 Abstract = 6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2746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시각적 단서 및 관찰의 단계적 소거가 적용된 지역사회 중심의 교수가 자폐 청소년의 지하철 이용하기 기술 수행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x, 6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