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1 Download: 0

지체장애인의 운동경험, 장애유형, 및 등급에 따른 신체의미와 신체만족에 관한 조사연구

Title
지체장애인의 운동경험, 장애유형, 및 등급에 따른 신체의미와 신체만족에 관한 조사연구
Authors
함완숙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학부사회체육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지체장애인의 운동경험, 장애유형, 장애등급 및 장애원인 등이 지체장애인의 신체의미와 신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3년 현재 19세 이상 60세 이하의 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운동경험 지체장애인과 비 경험 장애인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운동경험자 200명과 비 운동경험자 200명을 표본으로 하고 장애인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서울 경기 지역의 장애인 사회복지관, 재활학교, 장애인 회관 등에서 의도적 무선표집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는 크게 개인의 일반적 특성 영역, 장애 특성과 운동경험 영역, 신체의미 영역, 신체만족 영역 등 4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회수된 설문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사용된 통계분석은 SPSS WIN 10.0을 활용한 기술통계,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등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 방법과 절차를 거쳐 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체장애인의 운동경험 유무, 운동수준, 운동경력, 운동종목 등과 신체상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경험이 많을수록, 운동기간이 길수록, 운동수준이 높을수록 자신의 신체에 대한 의미와 만족이 많으며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개별 변인에 대한 차이 분석에서 지체장애인 중 운동경험이 있는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운동 경험이 있는 집단이 없는 집단에 비해 신체의미와 신체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수준에 있어서도 운동선수생활을 한 경험이 있는 집단이 생활체육 활동을 한 집단에 비해 신체의미와 신체만족이 높았다. 운동기간에서도 10년 이상 한 집단이 운동기간이 비교적 짧은 집단에 비해 신체의미와 신체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종목에서는 휠체어 농구를 하는 지체장애인이 타 종목을 하는 집단에 비해 자신에 신체에 대한 주관적 의미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둘째, 지체장애인의 장애특성과 신체상과의 상관관계는 장애유형과 신체의미 사이에 상관을 보이고 있다. 장애유형에 따른 신체의미와 신체만족의 변량분석 결과, 장애유형에 따라 신체의미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즉, 소아마비 장애인이 뇌성마비 장애인에 비해 자신의 신체를 주관적으로 가치 있고, 의미 있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셋째, 지체장애인의 장애등급에 따라 신체의미와 신체만족의 변량분석 결과, 장애등급이 신체의미와 신체만족 모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의미에 대해서는 3급 장애인이, 신체만족에 대해서는 2급과 3급 장애인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넷째, 지체장애인의 장애원인은 신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고에 장애를 입은 집단이 질병으로 인한 집단보다 신체만족이 높았다. 다섯째, 개인의 특성에 따른 신체의미와 신체만족은 성별과 연령이 신체만족과 상관을 보이고 있으며, 학력, 경제활동 및 월수입이 신체의미와 상관을 보이고 있다. 개인적 특성에 따른 차이분석에서는 남자가 여자에 비해 신체만족이 높았으며, 30대가 신체의미와 신체만족이 높았다. 학력에 있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학력이 높을수록 신체의미와 신체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활동과 월수입에 따라서도 신체의미에 대해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경제 활동을 하고 있는 장애인이 자신의 신체의미를 가치 있게 평가하고 있으며, 월수입이 100-150만원 정도 되는 장애인이 신체의미를 긍정적으로 보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 볼 때, 운동경험, 장애유형, 장애등급 및 장애원인 등이 지체장애인의 신체의미와 신체만족에 영향을 미친다고 결론을 지을 수 있다. ;This study was based on the purpose of how sports participation, type of disability, class of disability, and cause of disability effects to body meaning and body satisfaction. Therefore, an universe of disabled people with sports participation and without sports participation of disabled people who are between 19 years old and 60 years old have been created. Each 200 people of disabled people with sports participation and without sports participation have been selected concerned about specialities of people with a physical disability from welfare facilities, schools, and a community of disabled by intentional gathering. A questionnaire of this study has been organized by 4 sections such as the field of general character, type of disability & the field of sports participation, the field of body meaning, and finally body satisfaction. A statistical analysis based on the purpose of material for statistics ar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etc. The results through the above methods and process of a study were as follows. The first, there were not only certain correlation between the body and disabled person's sports participation, sports level, sports career, and sports type, but also their experiences, period of sports participation, and higher sports level. From an analysis of each different sample, a group of disabled people with sports participation had more body meaning and body satisfaction, compare to a group of disabled people without sports satisfaction. A group of disabled people, who had an experience of sports participation as a player, had substantially different body meaning and body satisfaction than other groups. From a view of type of sports, handicapped basketball player gave affirmative value of subjective significance to their bodies than other sports players. Secondly, a correlation between a type of disability and the body meaning was related between a type of disability and body meaning. As a consequence of analysis of body meaning and body satisfaction by a type of disability came into a view according to a type of disability of distinction to body meaning remarkably. The third, as a consequence of analysis of body meaning and body satisfaction by a class of disability, a class of disability exerted an influence on body meaning and body satisfaction. The 3rd grade of disabled people appraised affirmatively concerning body meaning and the 2nd & the 3rd grade of disable people did a positive evaluation concerning body satisfaction. In forth, a cause of disability had an effect upon body satisfaction and a group of disabled people by accident had higher body satisfaction than a group of disabled people by disease. Fifthly, body meaning and body satisfaction depended on a trait of character are associated with their sex and age, scholarly attainments, economic activities, and a monthly income. An analysis upon individual difference, men and an age group of thirties had higher correlation with body satisfaction than other groups. In a viewpoint of scholarship, high educational background effected highly to body meaning and body satisfaction. There were also substantive different that someone who had an economic activities with a regular income high value on body meaning, specially someone, who got between 1 million won and 1.5 million won as a monthly base, had strong appraisal.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sports participation, type of disability, class of disability, and cause of disability exerted close influence upon body meaning and body satisfaction of people with a physical disabi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