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수경-
dc.creator신수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6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36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13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368-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에서는 기존에는 시도되지 않았던 東아시아 열녀도에 대한 정리와 脫性, 禁慾的 이미지가 열녀도라는 틀을 통해 東아시아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열녀도의 출현은 그 始原이 中國이다. 西漢의 유향이 『列女傳』을 저술하였으며 이를 畵本으로 하여 열녀도가 제작되기 시작하였는데, 주로 황제나 황녀를 위한 鑑戒的 목적으로 제작되었다. 이후 귀족계층에서도 병풍이나 무덤을 장식하여 儒敎的 교훈을 강조하게 된다. 宋代부터 儒敎的 家父長制에 따른 여성 통제가 강화되면서 여성교육을 위한 목적으로 열녀전의 삽화로써 열녀도가 그려지기 시작한다. 明代에는 열녀의식이 더욱 강조되었으며 열녀도의 제작 또한 절정에 이른다. 韓國에서는 朝鮮時代부터 열녀도가 본격적으로 그려졌으며 현전하는 작품 또한 朝鮮時代 이후의 작품뿐이다. 朝鮮역시 儒敎的 家父長制를 기반으로 한 여성교육의 일환으로 열녀도를 제작하였고, 그 체제는 中國에서 수입한 『古列女傳』을 기초로 韓國의 열녀 설화를 증보하여 재창조한 것으로 크게 3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日本의 열녀도는 江戶시대이후부터 본격적으로 제작되었다. 武士계급이 통치하게 된 江戶時代에 主君에 대한 충성과 권력 강화를 위한 사상적 기반으로 주자성리학을 도입하였고, 이를 여성에게 교육하기 위해 中國과 朝鮮의 열녀도를 수입하여 교육에 활용하게 된다. 17세기후반부터 일본문화와 설화를 바탕으로 한 열녀도가 새로이 제작되었다. 이와 같은 배경 속에 형성된 東아시아의 열녀도에 대해서 本 論文에서는 도상적 특징에 따라 身體毁損·獻身·自殺·女俠으로 분류하여 각 나라의 열녀도를 비교, 분석하였고 분석을 통해 도출된 東아시아 열녀도에 나타나는 여성이미지를 정리하였다. 初期열녀도의 형태는 현전하는 中國의 <武梁祠 畵像石>, <列女仁智圖>, <司馬金龍墓 출토 木板漆屛風>를 통해 알 수 있고 이중 <武梁祠 畵像石>을 열녀도의 始原으로 설정하여 비교의 기준으로 삼았다. 中國의 열녀도는 宋·明代의 작품을 影宋 道光本『新編古列女傳』,『仇畵列女傳』, 萬曆本『古列女傳』을 통해 살펴보며, 朝鮮의 경우 『三綱行實圖』, 『東國新續三綱行實圖』,『五倫行實圖』를, 일본 江戶時代의 작품으로『本朝列女傳』의 열녀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東아시아 삼국의 열녀도에 나타나는 공통된 여성의 이미지는 '희생 이미지'로 결론지을 수 있으며, 여성의 '희생이미지'를 강조함에 있어서 中國에서는 '義'를 위한 헌신적 이미지에 비중을 두었고, 朝鮮 열녀도에서는 남편과 家門, 정절수호를 위한 신체훼손의 측면을 강조하였으며, 日本 江戶時代 열녀도는 남편을 위해 대신 싸우는 강하고 용감한 女俠의 이미지를 부각시켜 묘사하는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 즉 각국이 처한 사회적 배경과, 가치관에 따라 집중 부각되는 도상과 표현양식은 차이를 보이는 것이다. 양식상의 변화로는 中國은 明代를 기점으로, 朝鮮은『五倫行實圖』에서부터 교훈 전달의 목적보다 繪畵性이 강조된 화면으로의 변화를 보여준다.;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igeonhole the Lienu¨ picture(the virtuous woman picture) of east Asia and examine the progress of its unsexual and ascetic image, which hasn't been tried. The Lienu¨ picture has its root in China. It was painted and made to teach the king and princess in the base of "Lienu¨ Zhuan" which had been written by Liu xiang in the period of the western Han. From then, nobles decorated their folding screens and tombs with the Lienu¨ picture to emphasize Confucian lessons. From the period of Song, the regulation on women by the name of Confucian ideas was reinforced and the Lienu¨ picture was made as an illustration in "Lienu¨ Zhuan". At the period of Ming, the spirit of virtuous women was emphasized more and climaxed. In Korea, the Lienu¨ picture was made intensively at the period of Chosun and handed down from that time. Chosun also was based on the Confucian ideas and the Lienu¨ picture was made to teach women. the Lienu¨ picture of Chosun was imported from China, but developed on the help of the unique virtuous women stories. The Lienu¨ picture of Japan was imported from China and Chosun and made intensively at the period of Aedo(江戶) when soldiers dominated the country and swore their loyalty to the king, because it wa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ountry system and to teach women the Confucian ideas. In this thesis, the organizations of the Lienu¨ picture are classified into self-torment, sacrifice, suicide and brave woman. And the woman image of the Lienu¨ picture is induc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Lienu¨ pictures of the east Asia. The origin of the Lienu¨ picture is the 'Wu Liang Ci wall carving' and the early forms of the Lienu¨ picture are 'Lienu¨ Renzhi Tu' (列女仁智圖), 'Wood painted in lacquer from the tomb of Sima Jinlong'. Lienu¨ pictures of China which are examined here are Do-kwang version of "New version Lienu¨ Zhuan" (道光本 新編古列女傳), "Guhwa Lienu¨ Zhuan" (仇畵列女傳), Manluck version of "Lienu¨ Zhuan" (萬曆本 古列女傳). Lienu¨ pictures of Chosun are "Samgang-haengshil-do" (三綱行實圖), New version of"Samgang-haengshil-do" (東國新續三綱行實圖), "Olun-haengshil-do" (五倫行實圖). The Lienu¨ picture of Aedo is "Bonjo Lienu¨ Zhuan" (本朝列女傳). After all,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same woman image which can be extracted from the Lienu¨ picture of the east asia is 'sacrifice'. But to embody that image, righteousness was emphasized in China, self-torment for husband, family and chastity was emphasized in Chosun, and brave woman who fought instead of her husband was emphasized in Aedo. This difference was originated from the difference of each country's social background and value. The organizations of the Lienu¨ picture have been changed to emphasize more pictorial explanation than lesson from Ming in China and "Olun-haengshil-do" (五倫行實圖) in Chosu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ⅳ Ⅰ. 머리말 = 1 Ⅱ. 열녀도의 형성 = 5 1. 열녀도의 개념 = 5 가. 열녀전과 女誡文學 = 5 나. 열녀도의 始原的 형태와 전개 = 15 <武梁祠 畵像石 열녀도> = 18 Ⅲ. 東아시아 열녀도의 전개 = 24 1. 宋ㆍ明 時代-影宋 道光本 『新編古列女傳』,『仇畵列女傳』, 萬曆本『古列女傳』= 24 가. 도상 = 27 나. 양식 = 31 2. 朝鮮時代 -『三綱行實圖』,『東國新續三綱行實圖』, 『五倫行實圖』= 38 가. 도상 = 44 나. 양식 = 50 3. 江戶時代 -『本朝列女傳』 = 56 Ⅳ. 東아시아 열녀도의 여성이미지 = 64 Ⅴ. 맺음말 = 69 참고문헌 = 73 도판목록 = 83 부록 = 87 참고도판 = 88 ABSTRACT = 10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3369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東아시아 열녀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ⅴ, 10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