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1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서기희-
dc.creator서기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4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4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49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12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499-
dc.description.abstract현대사회에서의 교육은 학습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비판적 성찰을 통해 자신의 학습과정을 지속적으로 관찰하며 학습내용 뿐만 아니라 학습하는 방법을 아는 학습자를 기르는 것이 주요한 목표이다. 비구조화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고안하고 해결해나가도록 하는 프로젝트 기반 학습은 그러한 학습자를 기르는 데에 적합한 학습 환경이다. 그러나 교수자는 이러한 학습 형태를 구성해주는 것만으로 성찰적인 학습이 일어나기를 기대해서는 안되며 학습자들이 인지적 갈등을 해결해 나가면서 문제를 개선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고무하고 지원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찰활동을 돕는 성찰일지 쓰기가 학습과정이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프로젝트 기반학습 시 학생들에게 수업과 프로젝트 경험에 대한 성찰일지를 쓰도록 지원해주고 비판적 사고, 학습동기, 학습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으로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을 수강하는 K 대학교 학생 55명을 선정하였으며, 한 집단은 성찰일지를 쓰도록 하고(26 명), 다른 한 집단은 성찰일지를 쓰지 않도록 하여(29 명) 결과를 살펴보았다. 실험 전에 학습자의 수업에 대한 필요성 인식과 경험정도에 대한 집단간 동질성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성찰일지 쓰기에 관한 충분한 오리엔테이션을 해주었다. 프로젝트 기반 학습은 9 월 첫째 주부터 10 월 넷째 주까지 약 두 달 간 이루어졌다. 집단 간 비판적 사고능력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프로젝트 기반 학습 기간 동안에 실시한 토론에 대해 메시지 분석을 하였으며, 학습동기 검사를 실시하여 집단 간 학습동기 차이를 확인했다. 또한 프로젝트 평가 기준에 따라 프로젝트 점수를 최종 산출하여 집단 간 비교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으로는 유의수준을 0.05 로 하여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서 성찰일지 작성 여부에 따라 비판적 사고 능력에 의미있는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본 결과, 분석, 추론, 설명 영역에서 실험집단이 점수가 높게 나타나 성찰일지 '쓰기가 이러한 사고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었다. 둘째,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서 성찰일지 작성 여부에 따라 학습동기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본 결과, 실험집단이 학습동기가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관련성과 자신감 영역에서 점수의 차이를 보여주어, 성찰일지 쓰기가 이러한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었다. 세 번째 연구 문제인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서 성찰일지 작성 여부에 따라 학습성과에 의미있는 차이가 있는가를 확인해본 결과, 집단 간 학습성과는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으므로 성찰일지 쓰기가 프로젝트 결과에는 결정적인 영향을 주지 못했음을 알 수 있었다. 중합해볼 때 학습자가 프로젝트를 하는 과정에서 성찰일지를 작성하는 것이 분석, 추론, 설명과 같은 고도의 비판적 사고능력과 관련성, 자신감과 같은 학습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겠다. 이는 학습자의 성찰이 대안적 시각을 개발할 수 있는 방법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 Gamble 등(1999)의 연구, 성찰일지 작성으로 학생들의 상위 인지적 사고를 더욱 촉진시켰다고 보고한 Arredondo등(1994)의 연구와 일치한다. 또한 성찰일지 쓰기가 학습자의 동기수준을 높이기 위한 도구로 활용되었던 Klein 등(1998)의 연구, 그리고 성찰적 실천 과정을 통해 학습자의 태도, 비판적 사고력, 학습 결과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준 정영란(2003)의 연구와도 일치되는 결과라고 할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ffects of reflective journal writing on critical thinking,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outcomes in the project based learning. 55 student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 K University. As a experimental group, 12 teams of 26 members wrote the reflective journal 5 times during the project based learning. Instructor facilitated the experimental group for reflective loaming. And 13 teams of 29 members were selected as a control group. The two groups are provided same information about project and same environment for project based learning. Students worked their team projects and had discussions relation to the studies. The scores of loaming motivation, critical thinking messages, project evaluation were regarded as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ritical thinking message scores such skills as Analysis, Inference, Explanation according to the reflective journal writing. And the differences, 0.004, 0.021 and 0.045 are verified as each of the significant values in concordance to the t-test. It could be told that Reflective journal writing of project based loaming has positive effect on critical thinking skills of students, Second, learning motivation of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group. Especial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levance and Confidence areas. And the differences, 0.049 and 0.030 are verified as the significant values in concordance to the t-test. Third, project evaluation scores of experimental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group. Although students developed their projects by reflecting their learning process and result, reflective journal writing didn't have definitive effects on the project's quality. The result suggests that reflective journal writing was the useful instructional and learning method that developed students' higher order thinking skills and loaming motivation of domai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 1 B.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 4 C. 용어정의 = 5 II. 이론적 배경 = 7 A.프로젝트 기반 학습 = 7 1.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개념 = 7 2.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특징 = 8 B. 성찰과 성찰일지 쓰기 = 11 1. 성찰의 개념 = 11 2. 성찰일지 쓰기 = 12 C. 비판적 사고와 성찰 = 14 1. 비판적 사고의 개념 = 14 2. 비판적 사고와 성찰 = 17 D. 학습동기와 성찰 = 19 1. 학습동기의 개념 = 19 2. 학습동기와 성찰 = 20 E. 관련 선행연구 = 22 1.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 관한 연구 = 22 2. 성찰과 성찰일지 쓰기 효과 연구 = 23 III. 연구방법 = 27 A. 연구대상 = 27 B. 연구도구 = 28 1. 성찰일지 쓰기 지원 도구 = 28 2. 비판적 사고 메시지 분석도구 = 30 3. 학습동기 및 검사도구 = 31 4. 학습성과 평가도구 = 32 C. 연구절차 = 33 1. 실험 전 단계 - 집단 구성 및 오리엔테이션 = 33 2. 실험 단계 = 36 3. 실험 후 단계 - 토론내용 메시지 분석, 학습동기 검사, 학습평가 시행 = 38 4. 자료분석 방법 = 41 IV. 연구결과 = 42 A. 성찰일지 쓰기 여부에 따른 비판적 사고 차이 분석 = 42 B. 성찰일지 쓰기 여부에 따른 학습동기 차이 분석 = 46 C. 성찰일지 쓰기 여부에 따른 학습성과 차이 분석 = 50 V. 결론 및 제언 = 52 참고문헌 = 55 ABSTRACT = 61 부록 = 6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3059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프로젝트 기반 학습에서 성찰일지 쓰기가 비판적 사고, 학습동기,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i, 6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공학과-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