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인재-
dc.creator조인재-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3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3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61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12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617-
dc.description.abstractThe force of natural life has been expressed with various materials in formative art activities. Although the number of materials for formative expression is almost infinite, nothing is superior to those suggested by nature. Because the natural environment is created by the regular cooperation of many elements, we found limitless materials for formative art activities. Forms found in nature have new formative meanings. They also develop into shapes, expanding their validity. The force of life exists in plants. It is the most fundamental strength to maintain themselves as well as energy to change. In other words, it is an infinite desire to survive. That is, there are continuity, time and cyclicity in the processes of fundamental occurrence, growth and cessation. These processes are a cycle of returning to nature, which makes us realize the rationality of nature. Moreover, the force of life in plants has been used as the symbols of man's emotions, passions, beliefs and religious wish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perties of living organic matters, which are the essence of life, through 'leaves' symbolizing the life force of nature and, based on the findings, to apply the formative nature of leaves in creating flower vessels that give aesthetic values to living spaces. Leaves are natural objects that we can find easily around us. The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people's sentiment, and their formative characteristics, structure and color produce diverse changes, which cause the transition of people's formative sense. First, as for images found in the shape of leaves, the formative nature of the surface and the veins of leaves are mainly composed of organic curves, giving the feeling of movement and rhythm. Images inherent in leaves also display balance, change, repetition, rhythm and harmony, which are the principles of beauty formation. Moreover, various images are found over seasonal changes. Sprouts in spring give the feeling of liveliness, dark green leaves in summer the feeling of dynamism, colorful leaves in autumn the feeling of romanticism, and the force of life lies below the naked ground in the winter. Thus in this study leaves were considered appropriate to express the life force of plants. In creating flower vessels using the image of leaves, the author started with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the structure and the formative nature of leaves. As to theoretical background,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particularly, the life force of plants and formative art was examined, and the characteristics, structure and various formative natures of leaves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types of flower vessels were studied. Works were mainly created through slip casting. Sometimes two molding methods were used together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 and shape of design. Slips were added after slip casting, and manual molding was added after slab molding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 of curves. As for clay, super white of high whiteness and transparency or porcelain clay of silk raw clay was used in slip casting, and fine stoneware clay of high viscosity was used in slab molding. As for glaze, clean oil of high firing temperature was mainly use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 of design, green and brown colors, iron oxide, cobalt and red color were used partially. In addition, greenish glossy glaze of high firing temperature was used in order to heighten the effect of lines. Glaze was applied by spraying and dipping. As for firing, the first firing was made in a 0.14㎥ electric kiln at finishing temperature of 850°C for 9 hours, and the second firing was made with oxidizing flame at finishing temperature of 1250°C for 10 hours. In addition, for color developing effect, works were fired with reducing flame in a 0.3㎥ dawn draft kiln for 12 hours.;인간은 자연 환경에서 태어나 성장하고, 자연과 교감을 하며, 정서적 안정과 생활의 아름다움을 찾는다. 또한 예로부터 미의 소재나 원리를 자연에서 영감을 얻었고, 그 속에서 무한한 조형적 가치를 표현 해 왔다. 자연에 대한 관심은, 자연 그 자체의 아름다움과 미적 가치를 발견 할 수 있게 하며, 이러한 자연의 물리적 외형 뒤에, 보이지 않는 그 본질의 원천인 생명력은, 우리의 삶에 강한 에너지를 충족 시켜 준다. 생명력은 식물이 존재하는데 가장 근원적인 것으로, 자신의 모습을 유지시키려는 힘과 변화시키려는 에너지가 존재한다. 이러한 것은 삶의 무한한 생존의 욕구라고 말 할 수 있다. 즉, 탄생과 함께 성장기의 변화를 통하여 연속성과 시간성이 존재하며, 이들은 다시 자연으로 돌아가는 순환의 과정으로, 자연 그 자체의 순리성을 일깨워 준다. 또한, 식물의 생명력은 인간의 미적 표현의 대상으로 실체화 되었고, 끊임없는 예술적 영감을 불러일으킨 표현적 소재로서 가치가 있다고 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의 생명력을 상징하는 '나뭇잎'을 통하여, 생명의 본질인 살아있는 유기체의 속성을 파악하고, 그 결과에서 얻은 나뭇잎의 조형성을 도자화병에 표현하여, 생활공간의 미적 가치를 부여 하고자 하는데 있다. 나뭇잎은 생활 주변에서 친근하게 접할 수 있는 자연물로, 인간의 정서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고, 그의 형태적 특징과 구조 그리고 색깔 등에서 다양한 이미지를 가지며, 이것은 디자인의 소재로서 풍부한 가치를 갖는다. 먼저 나뭇잎의 형태에서 보여 지는 이미지로 형태 자체에서의 면과 잎맥을 통한 조형성은, 유기적인 곡선이 주 형태를 이루고 있어 생동감, 율동감, 리듬감을 느낄 수 있고, 그 속에 내재한 이미지는 미의 형성의 원리이기도한 균형, 변화, 반복, 율동, 조화를 찾아 볼 수 있다. 또한, 계절에 따른 변화에서 다양한 이미지를 느낄 수 있는데, 봄에는 새싹의 생동감, 여름에는 진록의 역동감, 가을에는 색채의 낭만성 그리고, 겨울에는 헐벗은 대지 속에서 꿈틀거리는 생명력이 존재하며, 이러한 나뭇잎의 조형적 이미지는 연구의 소재로서 식물의 생명력을 표현함에 적합하다고 생각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은 자연과 공예와의 관계와 식물의 생명력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나뭇잎의 특징 및 구조, 그리고 다양한 조형성을 파악하였으며, 한국 화병의 역사적 고찰과 나뭇잎을 주제로 한 여러 작가의 작품사례를 연구하였다. 작품제작 방법은 주로 이장주입 성형하였고, 디자인의 특성과 형태에 따라 두 성형 방법을 혼합한 형식으로 제작하기도 하였는데, 이장 주입 성형 후 슬립을 덧붙이는 방법, 그리고 물레성형 후 형태를 변형하고 조각하여 제작 하였다. 작품 제작 시 태토는 이장주입 성형을 할 경우, 백색도가 좋은 슈퍼화이트나 실크소지의를 사용하였고, 물레성형의 경우 점력이 뛰어나 성형시 용이한 석기질의 고운 조합토를 사용하였다. 유약은 주로 고화도의 투명유를 사용하였고, 디자인의 특징에 따라 부분적으로 Green과 Brown 안료와 산화철, 그리고 Blue와 Red 안료를 사용하였다. 또한 조각 부분의 효과를 더하기 위하여 고화도 녹색광택유약을 사용하였고, 시유 방법은 분무시유와 담금법을 병행하였다. 소성 방법은 0.14㎥의 전기가마에서 850°C를 마침온도로 9시간 동안 1차 소성한 후, 1250°C를 마침온도로 10시간 동안 산화염 소성하였다.(작품 2, 3, 4, 6, 7, 8, 9, 10) 그리고 0.3㎥의 도염식 가스가마에서 12시간 동안 환원염 소성하였다.(작품 1, 5) 본 연구를 통해 나뭇잎은 연구자의 조형의식을 표현하는데 적당한 소재가 되었고, 나뭇잎이 지닌 다양한 조형미와 그 속에 내재한 이미지는 디자인의 소재로서 풍부한 가치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화병이 꽃을 꽂기 위한 그릇의 개념만이 아니라,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공간을 다양하게 연출 할 수 있는 보다 다양한 화병 디자인의 필요성을 느꼈다. 현대인은 자연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정서적인 안정과 휴식을 취할 생활공간에 자연적 요소를 도입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현대인이 추구하는 정서에 맞고, 조형적인 꽃꽂이 경향과 부합되며, 기능성과 장식성을 고루 갖춘 공간예술의 소재인 화병 개발의 많은 연구가 계속되길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1. 서론 = 1 1.1 연구의 동기 및 목적 = 1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2 .나뭇잎과 공예 = 3 2.1 자연과 공예 = 3 2.2 나뭇잎의 특징 및 구조 = 6 2.3 나뭇잎의 조형성 = 8 3. 화병에 대한 고찰 = 11 3.1 한국화병의 역사적 고찰 = 11 3.2 나뭇잎을 이용한 작품사례 연구 = 15 4. 작품제작 및 해석 = 24 4.1.1 디자인과정 = 24 4.2 작품제작과정 = 48 4.3 작품해석 = 53 5 결론 = 72 참고문헌 = 74 ABSTRACT =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5213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나뭇잎의 이미지를 응용한 도자 화병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x, 7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도자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