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9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숙경-
dc.creator김숙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7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7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15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10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15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을 2회 이상 받는 여성암환자를 대상으로 가족지지, 자가간호 행위 및 건강상태의 관계를 규명하여 이를 기초로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여성암환자의 자가간호 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시도된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경기지역 N 암센터에서 입원 또는 외래에서 최초 암진단을 받고 복합항암화학요법을 2회 이상 시행하거나, 재발된 암치료를 위해 복합항암화학요법을 투여 받고 있는 난소암, 유방암, 자궁암 환자 중 본 연구의 목적에 동의한 환자 9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2004년 4월 1일부터 2004년 5월 13일까지 조사하였다. 연구도구는 Cobb(1976)가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개발한 도구를 강현숙(1984)이 수정보완한 가족지지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자가간호 행위도구는 항암화학요법 치료기간 중의 자가간호 행위를 기록한 Dodd(1984)의 항암화학요법 일지를 번역한 후 각각의 부작용에 대한 자가간호 행위 내용을 나열식으로 열거하여 표시하게 하는 조영수(2002)의 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지각된 건강상태 측정도구는 Ware & Sherbourne(1992)이 개발한 Short Form(SF-36) Health Survey Questionaire을 고상백 등(1997)이 번역한 36개 문항 중 김정희(2002)가 사용한 일반건강항목 5문항으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SPSS 1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은 빈도, 백분율로 구하였고, 일반적 특성 및 질병 특성에 따른 가족지지, 자가간호행위, 건강상태 정도의 차이는 t-test와 ANOVA를 사용한 후 Duncan방법으로 검증하였으며, 가족지지, 자가간호행위, 건강상태의 관련성은 Pearson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가족지지, 자가간호 행위, 지각된 건강상태에 대한 분석 결과 가족지지 점수는 총점 48.14, 평균평점 4.38점으로 높은 편이었으며, 자가간호 행위는 3.48로 비교적 높은 정도의 점수를 나타냈고, 하부 영역별 자가간호 행위를 분석한 결과 감염예방(4.11), 피로완화(3.77), 탈모(3.74)등의 순이었으며, 대상자의 지각된 건강상태 점수는 평균 60.34점으로 중간 수준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족지지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지각된 건강상태는 직업의 유무에 따라서 차이를 보였으며(t=2.636, p=.010), 자가간호 행위는 가정 월 수입에 따라서 차이를 보였으나 (F=2.944, p=.038) 연령, 학력, 결혼상태, 종교, 직업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3. 가족지지와 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과의 관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지각된 건강상태는 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 중 치료력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F=4.274, p=.003), 자가간호 행위는 진단명 (F=5.349, p=.006), 치료력(F=4.686, p=.002)에서만 차이를 보였다. 4.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가족지지와 지각된 건강상태(r=.258, p=.013), 자가간호 행위(r=.250, p=.017)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고, 지각된 건강상태와 자가간호 행위(r=.255, p=.015)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대상자의 가족지지가 높을수록 지각된 건강상태가 좋으며, 대상자의 가족지지와 지각된 건강상태가 자가간호 행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여성암환자의 건강상태를 높이고 자가간호 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support, self-care behavior and perceived health among patients under the chemotherapy. Data were collected by 94 patients of ovary cancer, breast cancer, uterine cancer who are treated under chemotherapy on in-patient dept. or out-patient dept. of N Cancer Center in Kyoung-gi province (from April to May, 2004). The tool of research was family support-measurement tool which was the tool of cobb(1976) modified and complemented by Kang Hyun Suk(1994) and was modified chemotherapy self-care behavior tool by Cho Young Soo(2002). The measurement tool of Perceived health was measured with five items of general health of thirty-six items on SF-36 Health Questionnaire of Ware & Sherbourne translated by Go Sang Bak et al.(1997). SPSS 10.0 was used to analysis for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n the analytic results of family support, self-care behavior, perceived health, family support is inclined to be high and self-care behavior is represented highly in comparison and perceived health is normal level. 2. According to usual character of object, meaningful differences are not found out in family support, on the other hand they are found out in perceived health along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job and they are found out in self-care behavior along monthly income and not along age, his educational background, the state of marriage, religion, job. 3. Meaningful differences are not found out in the relationship of family support and character related to disease but they are found out according to treatment history of character related to disease in perceived health. Self-care behavior is a difference only in diagnosis, treatment history. 4. On this study, family support, perceived health and self-care behavior is significant correlation. In conclusion, the higher family support is the better perceived health and family support and perceived health have an positive impact on self-care behavior. Therefore, to improve self-care behavior and health of female cancer patient treated chemotherapy through family support, it needs that systematically nursing approach should be gotte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목적 = 3 C. 용어정의 = 3 1. 가족지지(Family support) = 3 2. 자가간호행위(Self-care behavior) = 4 3. 지각된 건강상태(Perceived Health Status) = 4 Ⅱ. 문헌고찰 = 5 A. 항암화학요법 = 5 B. 가족지지와 지각된 건강상태 = 8 C. 자가간호 행위 = 12 Ⅲ. 연구방법 = 14 A. 연구설계 = 14 B. 연구대상 = 14 C. 연구도구 = 14 1. 가족지지 = 14 2. 자가간호 행위 = 15 3. 지각된 건강상태 = 16 D. 자료수집 = 16 E. 자료 분석 = 17 F. 연구의 윤리적 측면 = 17 G. 연구의 제한점 = 18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19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19 B. 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 = 21 C. 대상자의 가족지지, 자가간호행위, 지각된 건강상태 = 23 1. 가족지지 = 23 2. 자가간호 행위 = 24 3. 지각된 건강상태 = 26 D.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족지지, 자가간호 행위, 지각된 건강상태의 차이 = 27 E. 질병 특성에 따른 가족지지, 자가간호 행위, 지각된 건강상태의 차이 = 29 F. 대상자의 가족지지, 자가간호 행위, 지각된 건강상태의 관계 = 32 V. 결론 및 제언 = 34 A. 결론 = 34 B. 제언 = 36 참고문헌 = 37 <부록 1> 연구도구 = 45 <부록 2> 가족지지 = 55 <부록 3> 대상자의 지각된 건강상태 = 55 <부록 4 >자가간호 행위 = 56 Abstract =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3703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c.title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여성암환자의 가족지지, 자가간호행위 및 지각된 건강상태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x, 6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보건학과임상간호학전공-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