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3 Download: 0

한국 대학생 영어학습자의 채터봇과 메신저를 이용한 채팅에 관한 사례 연구

Title
한국 대학생 영어학습자의 채터봇과 메신저를 이용한 채팅에 관한 사례 연구
Authors
윤숙경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국제화, 세계화 시대에 의사소통 수단으로서 영어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제 2언어가 아닌 외국어로서 영어를 학습하게 되는 우리나라 상황에서는 학생들이 실제로 영어로 의사소통할 기회는 많지 않다. 최근 컴퓨터를 매개로 한 의사소통 도구는 학습자들에게 실제적이고 유의미한 의사소통 환경을 제공해 준다는 측면에서 각광받고 있으며, 특히 동시적 의사소통 도구는 실시간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거의 실제 대화 상황과 동일하다. 또, 문자 기반 의사소통 도구는 키보드를 이용하여 자신의 의견을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되는 언어는 말과 글의 특징을 동시에 가진다. 채터봇과 메신저는 동시적 문자 기반 의사소통 도구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채터봇은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 작용, 메신저는 인간과 인간의 상호 작용이라는 측면에서 다르다. 따라서 이 두 채팅 도구는 다른 특성을 띄고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 역시 다를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두 도구가 어떤 영향을 미치며 어떤 도구가 더욱 학습자의 영어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동시적 문자기반 의사소통 도구들 중에 채터봇과 메신저를 이용한 채팅이 우리나라 대학교 영어 학습자들의 쓰기 및 말하기 능력과 정의적 측면, 전략 사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는 데 있다. 또한 두 도구를 이용한 채팅에 나타나는 언어적 특징에 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12주간 한국 대학생 영어 학습자 12명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각각 채터봇과 메신저를 이용하여 16회에 걸쳐 채팅을 하도록 하였다. 학습자들에게 사전 및 사후 쓰기 평가와 말하기 평가,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채터봇과 메신저의 사용이 표현 능력과 정의적 측면 및 전략 사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채팅 내용을 분석하여 채팅 내용에 나타나는 언어적 측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채터봇과 메신저를 이용한 채팅 활동이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과 말하기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수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쓰기 능력의 향상도에 대한 평균 차이에 관한 유의도 검증을 통계적 방법으로 실시하지는 못했지만 사전·사후 쓰기 평가 및 말하기 평가를 실시한 결과 점수의 향상이 있었다. 둘째, 채터봇과 메신저는 동시적 문자기반 의사소통 도구라는 공통점을 지니므로 다음과 같은 공통점이 발견되었다. 총 16회 중 1회, 6회, 11회, 16회의 채팅 내용을 T-unit으로 분석한 결과 채터봇과 메신저 이용 집단 모두 T-unit의 길이가 점진적으로 길어졌다. 이것은 학습자들이 한 문장 내에서 사용한 단어 수가 더 많아졌음을 의미하며, 채팅을 통해 쓰기 능력이 증진되었음을 말한다. 또, 두 집단 모두 도움 요청 전략을 사용하였고, 대문자를 써야할 곳에도 소문자를 사용하였다. 쓰기 평가에서 학생들이 문장 첫 단어를 대문자로 사용한 것과 비교해 볼 때, 이것은 학생들이 '쓰기'라는 부담감 없이 채팅에 임하였고, 하고 싶은 말을 써 넣어야 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 나타난 특성으로 보인다. 셋째, 서로 다른 채팅 도구에 나타나는 언어적 특징에는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채터봇 이용 집단의 경우 시간이 흐르면서 기초적이고 쉬운 문장에서 범하던 문법적인 오류가 줄어들었고, 주제 회피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또, 대화를 자연스럽게 이어가는 능력이 길러졌다. 이런 경향은 채터봇의 특징인 같은 주제나 문장에 대한 반복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반복은 오히려 학생들이 채터봇의 한계를 느끼고, 채터봇과의 채팅에 대한 흥미를 잃어버리게 하기도 하였다. 반면, 메신저 이용 집단의 경우 'hmm', 'uh'와 같은 표현과 대화의 중복 같은 구어적 특성이 더 많이 나타났다. 학생들이 가끔 스스로 오류수정을 하였으며, 그 횟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 채팅 초기에는 언어 전환(code switching)이 나타났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 외에 이모티콘의 사용이 두드러졌으며, 문법적으로 정확하지 않더라도 학생들이 의사소통하는 데 커다란 지장을 주는 정도는 아님을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궁극적으로 두 도구가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면서도 각 도구의 특성을 잘 활용할 때 더 효 율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넷째, 학습자들의 정의적 측면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채터봇과 메신저 모두가 영어 학습 및 말하기, 쓰기에 대한 태도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채터봇 집단의 경우 채터봇과의 대화의 한계나 지나친 반복 등으로 인해 흥미가 약간 떨어지기도 하였다. 따라서, 인공지능프로그램으로 개발된 채터봇을 활용할 경우에는 학습자들의 흥미와 관심을 지속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결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가 우리 나라의 영어 교육 현장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채터봇과 메신저의 특성을 고려하여 영어 교수 및 학습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채터봇의 경우 반복이라는 특성을 지님으로써 기본적인 문법적 오류를 줄여주고, 대화를 자연스럽게 이어가는 능력을 길러준다. 반면 메신저의 경우 이용자들이 비슷한 배경을 지니고 있을 때, 학습자들이 문법적으로 정확하지 않은 문장도 서로 이해하도록 하였다. 반면 시간이 흐를수록 채터봇과의 대화는 학생들이 지루해했다. 따라서, 이러한 두 가지의 서로 다른 채팅 도구의 특성을 절충하여 언어의 정확성이나 반복 연습이 필요한 학습 단계에서는 채터봇을 사용하고, 언어의 유창성이나 즉각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능력을 신장하기 위한 단계에서는 메신저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채터봇과 메신저라는 동시적 문자기반 의사소통 도구를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한 예비 도구로 사용할 수 있다. 채터봇과 메신저는 문자 채팅이므로 구두 토론보다 부담감이 없으면서도 채팅에 나타나는 글은 문어이면서도 구어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동시성을 지님으로서 비동시적 의사소통 도구의 활용에 비해 실제 의사소통에 가까운 특성을 지닌다. 따라서 실제 구두토론에 앞서 연습의 단계에서 채터봇과 메신저를 활용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 결과로 보아 채터봇과 메신저를 이용한 채팅은 학생의 표현 능력과 정의적 측면 및 전략 사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이것은 동시적 문자기반 의사소통 도구가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이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매체 자체가 가진 매력은 곧 소멸되기 마련이므로 적절한 주제를 선정하고 이에 알맞은 활동 개발을 통해 학생들의 관심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는 것 역시 중요하다. 후속 연구에서는 각 도구의 특성을 보다 잘 살리고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다양한 교수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개발과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As the world has become globalized, proficient writing and speaking skills are needed much more than before. However, Korean university students who study English in an EFL setting do not have enough opportunities to use spoken and written English in a communicative environment. Recently, the usage of CMC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tools is being recognized as an effective method that helps students' practical learning of English. Text-based chatting is known to be especially effective in enhancing writing and speaking skills in language use. Even though both chatterbot and messenger are text-based synchronous CMC tools, they also have their own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nd are expected to influence students differen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impact of two synchronous text-based CMC tools, chatterbot and messenger, on writing and speaking skills of English, students' attitudes and use of strategies. This study also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language use, using the two chatting tool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sing chatterbot and messenger, the researcher carried out experiments on 12 university students for 12 weeks.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ach using chatterbot and messenger. Before and after the use of the tools, the researcher tested the students' written and spoken language proficiency and surveyed questionnaires. Also carried out was an analysis of language used in the chatting scripts of the students, to examin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language used. The following are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First, chatting activities using both chatterbot and messenger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writing and speaking abilities of the learners. Although it has not been possible to provide statistically meaningful comparison of means due to the small sample size, there was improvement in the test results between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Second, the two synchronous text-based CMC tools had a similar influence on the language use of the learners in chatting. When measuring the average of chatting tasks of the learners using T-unit analysis, the T-unit length had shown a gradual extension. Also, both group learners used 'appeal for help' strategies and did not use capital letters, although they used them in the writing tests. Third, the two chatting tools had a different influence in language use in chatting. The students using chatterbot tended to decrease basic grammatical errors and topic avoidance. Due to the repetition of sentences or subjects which is a unique character of the chatterbot system, the students who used chatterbot, were able to converse better in English. However, some eventually lost interest in using chatterbot. In the messenger group, there were more characteristics of spoken language, such as fillers and overlapping of conversation. The learners in this group showed occasional self-correction and the frequency of self-correction gradually increased. Also, there were code-switching and use of emoticons. Students understood each other very well, even though the sentences they produced were not grammatically correct. Fourth, both chatting tool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learner's motivation, confidence, goal orientation and use of strategies. However, there had been a minor decrease in the interest of learners in the chatterbot group. Thus, it can be concluded that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re necessary in maintaining students' interests. In conclusion, the use of two synchronous text-based CMC tools, chatterbot and messenger, positively influenced students' achievements of writing and speaking skills, affective attitudes and the use of strategies. The use of CMC tools, however, should be used properly to maximize the effects of their potential, and it is important to maintain students' interest through choosing appropriate subjects and activities. This also calls for future studies which explore various ways of using tools to fit their own characteristics and pedagogical purpos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