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4 Download: 0

담백' 그 한국인의 미적정서에 대하여

Title
담백' 그 한국인의 미적정서에 대하여
Authors
한상희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정보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과학문명의 발달과 눈부신 경제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심각한 사회문제와 정치적인 불안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것은 우리의 정체성의 혼돈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20세기를 살아오면서 잃어버린, 우리 조상들이 살아온 철학적 삶에 대한 회복의 길 즉, 한결 같은 마음을 다스리는 것, 담백하게 살아가는 삶, 세속에 젖으며 살지 않고 인간의 가치를 존중하며, 판단하며, 작위적 행동이나 형식에 얽매여 사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그러함"으로 살아가고, 그러한 삶을 살기위한 노력으로 마음을 다스리는 사유의 삶이 회복되어야 한다는 견해는 우리에게 정체성을 회복하는 근본적인 방법을 제시해 주고 있다. 우리의 역사 속에서 수많은 시련을 거듭했던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옛 물건들, 여기저기 흩어진 유적들, 박물관이나 미술관에 전시된 조형예술품들은 버려지거나 죽은 것들이 아니다. 담백의 미적 가치는 인간의 본질적인 미(美)이며, 생명유지원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우리 자신의 구석구석에 내부의 택스트들로 지극히 생생하고, 명확한 모습으로 증거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담백'의 의미를 캐내고 그 캐낸 의미가 시각적 사고를 유발할 수 있도록 의미의 구조를 논리적으로 편집 시키고, 명제가 될 수 있는 어떤 의미를 표현하여 개념화 하고자 했다. 과거로부터 오늘날에 이르는 우리의 조형 예술을 전통적 시각에서만 논의 하려한다면, 우리 조형 예술의 근본 특징들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관념론에 치우치거나 직관적 감각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게 될지도 모른다는 관점에서 본 연구는 심상, 사고, 언어등에 대한 연구를 수반하여 언어와 이미지와의 관계와, 언어와 사고의 관계를 동시에 논의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때문에 먼저 '담백'의 언어적, 사상적, 미학적 성향을 분석하고, 한국인의 의식주, 미학적 기질과 조형의식에서의 '담백'의 이미지를 고찰하였으며,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담백'의 성향을 분석하여 얻어진 형용사들-깊은, 솔직한, 깨끗한, 잡스럽지 않은, 간결한, 조용한-을 기본구도로 하였으며 구상으로 시작된 스케치를 기본으로 하되 그것을 한지에 먹으로 간결히 표현하는 것을 반복하면서 도출된 형용사들에 부합되도록 하는 것에 비중을 두어 작업하였다. 담백의 미는 자연과 사람, 사람과 자연, 안과 밖이 없고, 겉과 안이 없는 삶을 살던 사람들이 추구했던 한국의 아름다움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연구자는 담백한 물건에 가치가 있는 것이 아니며, 그것을 소유했다는 자긍심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러한 정신을 이어받고, 계승하며, 담백한 삶을 사는 것이 중요한 것임을 알게 되었으며, 이러한 우리의 탁월한 아름다움은 문화 전달자로서의 사명을 가진 조형예술인에게, 그리고 다른 것 찾기와 아이디어의 고갈에 빠진 디자이너에게 담백한 물을 제공해 줄 것임을 확신하게 되었다.;Even though the remarkable economic growth and the advance of science, we are living under serious social problems and political unrest and it could be due to the confusion of our identity. So the view of recovering the philosophic life of our forefathers, that is, to rule the consistent mind, not to compromise the secular world and to manage their mind to live with respecting the man’s dignity, can present the fundamental way to cure our identity. In our history, no more usable things that stand numerous trials, relics that scattered here and there and the arts and crafts that exhibited in the museum and gallery, are not abandoned or hoarded. The aesthetic value of "Dambaik" is the fundamental beauty of human being and it is lively and clearly expressed as the internal text of our everyday life connecting organically with the source of maintaining life. In this study, I will firstly search for the meaning of "Dambaik" and edit logically and express the structure of meaning to visualize and induce the idea of "Dambaik". If we discuss our formative art in the view of only traditional point, there will be biased to idealism or not be deviated from the limitation of intuitional feeling to understand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our formative art. Thus, to emphasize the discussions about the relation between language and image, and the relation between language and speculation, the study of language, speculation and mental image are accompanied. So, firstly lingual, ideal and artistic propensity of "Dambaik" was analyzed, and the adjectives were taken from analyzing the propensity of "Dambaik", such as deep, frankness, clean, concise and calm. The works were based on the prior background and the sketches of works were founded on the image of prior adjectives with Korean traditional paper and ink-stick. The beauty of "Dambaik" is the beauty of Korea. From this study, I understand that the real value of the certain thing is not the pride of possession but how to inherit such spirit and live the life of "Dambaik". And also such a excellent beauty, "Dambik", can give the inspiration to the formative artist who have the mission to deliver the culture of an age and the designer who is dried up their creative idea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정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