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0 Download: 0

상황이야기 중재가 정신지체 고등학생의 자기옹호 행동에 미치는 영향

Title
상황이야기 중재가 정신지체 고등학생의 자기옹호 행동에 미치는 영향
Authors
하인숙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장애학생이 통합되어 다양한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이 늘어갈수록 주장 상황, 갈등 상황, 감사한 상황, 부당한 상황 등에서 자신의 권리, 의사, 감정, 상황을 표현하고, 옹호하는 기술은 점점 더욱 요구되고 있다. 또한, 장애학생이 중등교육 이후의 지역사회, 직장, 대학으로 가게 되었을 때 자기옹호를 해야 할 상황을 더 많이 접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신지체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상황이야기 중재를 통하여 자기옹호 행동이 증가하는지, 보호 작업장에서도 일반화되는지, 중재가 제거된 이후에도 효과가 유지되는지를 알아보았다. 낮은 수준의 자기옹호 행동을 보이는 인문계 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정신지체 학생 3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중재에 들어가기 전에 면접, 관찰을 통하여 우선적으로 교수해야 할 자기옹호 행동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연구 참여자들에게 우선적으로 교수해야 할 자기옹호 행동으로 연구 참여자 1은 도움 요청하기 행동, 연구 참여자 2는 거절하기 행동, 연구 참여자 3은 공격적인 말에 대응하기 행동이 선정되었다. 면접, 관찰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연구 참여자별로 상황이야기를 제작하고, 연구 참여자별로 9가지 평가상황을 만들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간 중다간헐 기초선 설계(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를 사용하여 기초선, 중재, 일반화, 유지 평가를 하였다. 상황이야기 중재는 방과 후 특수학급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 참여자들의 자기옹호 행동 평가는 학교 일과 중의 자연스런 환경에서 이루어졌다. 중재 효과가 일반화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보호 작업장에서 4회기 동안 일반화 평가를 하였다. 또한, 상황 이야기 중재가 종료된 이후에도 그 효과가 유지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4회기 동안 유지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황이야기 중재를 통하여 연구 참여자 모두의 자기옹호 행동이 증가하였다. 둘째, 상황이야기 중재를 보호 작업장에서 실시하였을 때 일반화 결과는 일치하지 않았다. 즉, 연구 참여자 2, 3은 중재의 효과는 일반화되었다. 그러나 연구 참여자 1은 기초선에 비하여 수행점수는 높았으나 중재의 효과가 일반화되었다고 말할 정도의 수행점수는 아니었다. 셋째, 상황이야기 중재가 종료된 5주 후 중재의 효과는 유지되지 않았다. 즉, 연구 참여자 1은 기초선에 비하여 자기옹호 행동의 수행점수는 높았으나 자기옹호 행동의 감소경향을 보였다. 연구 참여자 2는 자료의 변화가 크고 불안정하였다. 연구 참여자 3은 중재 및 일반화와 비슷한 수준의 수행점수를 보였으나, 자기옹호 행동의 감소경향을 보였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상황 이야기 중재는 정신지체 고등학생의 자기옹호 행동을 증가시키는 데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다른 장소에서의 일반화 결과는 일치하지 않았으며, 중재 제거 후 중재의 효과는 유지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기옹호라는 사회적 행동을 가르치는 데 효과적인 도구임을 보여준다. 또한, 상황이야기 중재는 교사에게는 제작, 중재하기에 비교적 간단한 중재 도구이며, 학생의 읽기 및 이해력, 흥미 등을 고려하여 상황이야기 책자를 만들기 때문에 학생에게는 매력적인 중재 도구임을 시사하여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social story intervention to improve the self-advocacy behavior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ree mentally retarded high school students showing low levels of self-advocacy behaviors in the school participated for the study. Before the social story intervention, the researcher selected the preferential self-advocacy behaviors to teach the participants based on the appropriate functional assessment. As a result, the researcher identified that the preferential self-advocacy behaviors for three participants were asking for help, refusing requests, and coping with aggressive words, respectively. Based on the outcomes of functional assessment, the researcher developed the social story intervention and also designed nine situations to evaluate self-advocacy behaviors. For the study, a multiple-probe across subjects was used to evaluate baseline sessions, intervention, generality, and follow-up sessions. The evaluation of self-advocacy behaviors was conducted by selecting a situation out of nine situations in a natural setting. The intervention and follow-up sessions was conducted in the school and the generality was tested in the sheltered workshop of the participants' post-secondary education ag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story intervention resulted in significant increase of self-advocacy behaviors for all three participants. Second, the results of the generality showed mixed results, when the social story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in the sheltered workshop. The effects of the social story intervention was generalized for the second and third participants but it was not generalized for the first participant. Third, the effects of interventions was not maintained five weeks after the social story interventions. Participant one received the higher score of self-advocacy behaviors, however there was a trend that the participant's self-advocacy behaviors has been decreased. For the case of participant two, the variety of data was wide and unstable. Participant three showed a similar level of score of performance compare to the intervention and generality but there was also a trend that the participant's self-advocacy behaviors has been decreased. The data from this study clearly demonstrated that the social story intervention showed significant increase of self-advocacy behaviors.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was not generalized in the sheltered workshop and was not also maintained after the withdrawal of the intervention for all three participa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