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기현주-
dc.creator기현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5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5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78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05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78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첫째, 형제구조 변인에 따른 어머니의 형제대우의 차이, 둘째 형제구조 변인에 따른 형제 상호작용의 차이, 셋째 어머니의 형제대우와 형제 상호작용의 관계, 넷째 어머니의 형제대우 및 형제 상호작용과 또래 유능성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Ⅰ. 형제구조 변인에 따라 어머니의 형제대우는 차이가 있는가? 1. 형제지위 변인에 따라 어머니의 형제대우는 차이가 있는가? 1-1. 형제지위 변인에 따라 어머니의 형제대우 행동은 차이가 있는가? 1-2. 형제지위 변인에 따라 형제대우 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2. 형제 기질 변인에 따라 어머니의 형제대우는 차이가 있는가? 2-1. 형제 기질 변인에 따라 어머니의 형제대우 행동은 차이가 있는가? 2-2. 형제 기질 변인에 따라 형제대우 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Ⅱ. 형제구조 변인에 따라 형제 상호작용은 차이가 있는가? 1. 형제지위 변인에 따라 형제 상호작용은 차이가 있는가? 2. 형제 기질 변인에 따라 형제 상호작용은 차이가 있는가? Ⅲ. 어머니의 형제대우와 형제 상호작용은 관계가 있는가? Ⅳ. 어머니의 형제대우와 또래 유능성은 관계가 있는가? Ⅴ. 형제 상호작용과 또래 유능성은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도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만 5, 6세의 첫째와 이들과 3년 이하의 연령터울인 둘째로 구성된 형제 40쌍과 이들의 어머니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형제 상호작용의 경우 일상생활 상황과 Volling(1997), Volling과 Belsky(1992)의 반구조화된 상황을 참조한 소꿉놀이 상황을 관찰하였다. 형제 상호작용의 하위영역은 Abramovitch, Corter, & Lando(1979)의 하위영역을 중심으로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형제대우 행동은 일상생황 상황과 Dunn과 Plomin(1986)의 색점토 과제 상황을 관찰하였다. 어머니의 형제대우 행동의 하위영역은 Brody, Stoneman, & McCoy(1992a)의 하위영역을 사용하였다. 형제대우 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은 Daniels와 Plomin(1985)이 제작한 Sibling Inventory of Differential Experience (SIDE) 중 형제대우 행동에 대한 어머니 인식에 해당하는 문항을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형제의 기질은 천희영(1992)의 유아기질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또래 유능성은 Ladd와 Profilet(1996)의 Child Behavior Scale(CBS)을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하여 각 가정에서 형제 상호작용과 어머니의 형제대우 행동을 비디오로 촬영하였고, 이후 비디오를 보고 분석하였다. 형제대우 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형제의 기질은 어머니에게 설문지를 배포한 후 회수하여 각각의 점수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첫째의 또래 유능성은 첫째가 다니는 유아교육기관의 교사에게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여 점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연구문제에 따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출생순위에 따라 어머니의 형제대우 행동은 차이가 있었다. 즉, 어머니는 첫째에게 부정적 혹은 통제적 행동을, 둘째에게 긍정적 혹은 지원적 행동을 더 많이 했다. 형제 성구성에 따른 어머니의 형제대우 행동의 경우 부정적 행동에서만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형제 성구성에 따른 형제대우 행동에 대한 어머니 인식의 차이는 없었다. 둘째, 형제 기질조합 집단에 따라 어머니의 형제대우 행동 및 그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어머니는 이형 기질조합 형제보다 동형 기질조합 형제에게 차별적인 통제 행동을 더 많이 하였다. 그리고 어머니는 통제 측면에서 이형 기질조합 형제보다 동형 기질조합 형제에게 차별행동을 더 많이 한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형제지위 변인에 따른 형제 상호작용을 살펴보았다. 먼저 출생순위에 따른 형제 상호작용의 경우 첫째는 둘째보다 시작행동, 부정적 시작행동, 그리고 긍정적 시작행동에 대한 부정 혹은 무반응을 더 많이 했다. 둘째는 첫째보다 반응행동, 긍정적 시작행동, 긍정적 시작행동에 대한 긍정 혹은 모방, 그리고 부정적 시작행동에 대한 모방을 더 많이 했다. 다음으로 형제 성구성에 따른 형제 상호작용의 경우, 남아 형제는 여아나 이성 형제보다 신체적인 유형의 긍정적인 형제 상호작용을 많이 했다. 반면, 여아 형제는 남아 혹은 이성 형제보다 언어 유형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더 많이 했다. 넷째, 형제 기질조합에 따른 형제 상호작용을 살펴본 결과, 동형 기질조합 형제는 서로 자랑하거나 서로의 부정적 행동에 대해 무반응을, 이형 기질조합 형제는 서로 긍정적 행동을 많이 했다. 다섯째, 어머니의 형제대우 행동 및 그에 대한 인식과 형제 상호작용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우선 어머니의 형제차별 행동과 형제 상호작용의 관계의 경우, 어머니가 긍정적 혹은 지원적 행동에서 형제를 차별할수록 대개 긍정적인 형제 상호작용은 감소하고 부정적인 형제 상호작용이 증가했다. 그리고 어머니가 부정적 혹은 통제적 행동에서 형제를 차별할수록 대개 긍정적인 형제 상호작용이 증가하고 부정적인 형제 상호작용은 감소했다. 다음으로 형제대우 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형제 상호작용의 관계는 어머니가 첫째를 통제한다고 인식할수록 형제는 서로에게 긍정적인 행동을 더 적게, 부정적인 행동은 더 많이 하였다. 그리고 어머니가 둘째를 통제한다고 인식할수록 형제는 서로에게 부정적 상호작용을 덜 하였다. 여섯째, 어머니의 형제대우 행동 및 그에 대한 인식과 또래 유능성간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어머니가 첫째에게 긍정적인 유형의 행동을 더 많이 할수록 첫째의 또래 유능성이 높아졌으며, 첫째에게 부정적인 유형의 행동을 더 많이 할수록 첫째의 또래 유능성이 낮아졌다. 그리고 어머니가 둘째에게 긍정적인 유형의 행동을 더 많이 할수록 첫째의 또래 유능성이 낮아졌으며, 둘째에게 부정적인 유형의 행동을 더 많이 할수록 첫째의 공격성 혹은 불안정성이 감소하였다. 다음으로 형제대우 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첫째의 또래 유능성간 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가 첫째에게 통제적 행동을 더 한다고 인식할수록 첫째의 또래 유능성은 감소하였고, 어머니가 둘째에게 통제적 행동을 더 한다고 인식할수록 첫째의 또래 유능성은 증가하였다. 일곱째, 형제 상호작용과 첫째의 또래 유능성간 관계를 살펴보았다. 전반적으로 형제간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많이 할수록 첫째의 또래 유능성이 높아졌으며, 형제간 부정적인 상호작용을 많이 할수록 첫째의 또래 유능성이 낮아졌다. 그리고 형제간 서로의 긍정적 시작행동에 대해 부정적 반응을 많이 할수록 첫째의 또래 유능성이 낮았으며, 형제간 부정적 시작행동에 대해서는 복종을 많이 할수록 첫째의 또래 유능성이 낮았다. ; This research is performed to find out four matters as below; differences of maternal differential treatment of siblings by sibling construction variables, differences of sibling interaction by sibling construction variables,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differential treatment of sibling and sibling interac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differential treatment of sibling or sibling interaction and peer competenc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to meet the above purpose. Ⅰ. How are the maternal differential treatment(maternal behavior, the mother's own perception of differential treatment) by sibling construction variables? 1. How are the maternal differential treatment by sibling construction variables? 1-1. How are the maternal differential treatment behavior by sibling status variables? 1-2. How are the mother's own perception of differential treatment by sibling construction variables? 2. How are the maternal differential treatment by sibling temperament variable? 2-1. How are the maternal differential treatment behavior by sibling temperament variable? 2-2. How are the mother's perception of differential treatment by sibling temperament variable? Ⅱ. How are the sibling interaction by sibling construction variables? 3. How are the sibling interaction by sibling status variables? 4. How are the sibling interaction by sibling temperament variable? Ⅲ. How a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nal differential treatment and sibling interaction? Ⅳ. How a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nal differential treatment and peer competence? Ⅴ. How are the relationship between sibling interaction and peer competence? The research targeted 40 sibling pairs and their mothers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To observe the sibling interaction, the researcher visited at sibling's home and recorded the daily life and semi constructed role play. Volling (1997), Volling & Belsky(1992) are referred to support the survey. The quality of sibling interaction was analysed by the revised inferior scale of Abramovitch, Corter, & Lando(1979). To observe the maternal differential behavior, the researcher visited at sibling home and recorded the daily life and semi constructed color clay task. Dunn & Plomin(1986) are referred to support the survey. The quality of the maternal differential behavior was analysed by the inferior scale of Brody, Stoneman, & McCoy(1992a). Sibling Inventory of Differential Experience(SIDE) developed by Daniels & Plomin(1985) was used to see the mother's own perception of differential treatment. Infant's Temperament Questionnaire developed by Heeyoung Chun(1992) was used to investigate the sibling's temperament. And Child Behavior Scale(CBS) developed by Ladd & Profilet(1996) was used to investigate the peer competenc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ed.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maternal differential treatment behavior by birth order. That is, mother acted a negative or controlled behavior to the first sibling and an affirmative or supportive behavior to the second sibling. There were differences in mother's differential negative treatment behavior by sibling's sex combination. And there weren't differences in mother's own perception of differential treatment by sibling's sex combination. Second, mother acted more differential behavior to different temperament combination sibling than same temperament combination sibling. And mother perceived more differential control behavior to different temperament combination sibling than same temperamental combination sibling. Third, first sibling acted more initial behavior, negative initial behavior, and the negative or no response to affirmative initial behavior than second sibling. Second sibling acted response behavior, affirmative initial behaviors, the affirmative response or imitation to affirmative initial behaviors, and imitation to negative initial behaviors. Next male sibling acted physical affirmative sibling interaction than female or mixed sibling. Female sibling acted lingual affirmative sibling interaction than male or mixed sibling. Fourth, same temperament combination sibling acted more boasting or no response to negative behaviors than different temperament combination sibling and different temperament combination sibling acted more affirmative behaviors than same combination sibling. Fifth, the more were maternal differential treatment behaviors in affirmative or supportive behavior, the less were affirmative sibling interaction and the more negative interaction. The more were maternal differential treatment behaviors in negative or controllable behavior, the more were affirmative and the less negative sibling interaction. And the more perception of maternal differential treatment in first sibling control, the less affirmative and the more negative sibling interaction. The more perception of maternal differential treatment in second sibling control, the less negative sibling interaction. Sixth, the more maternal affirmative behavior to first sibling were, the higher the first sibling's peer competence were. the more maternal negative behavior were, the lower the first sibling's peer competence. The more maternal differential affirmative behavior to the second sibling were, the lower the first sibling's aggression or nervousness were. And the more perception of maternal differential treatment in the second sibling control were, the higher the first sibling's peer competence were. Seventh, generally the more affirmative sibling interaction were, the higher the first sibling's peer competence were. The more negative response to affirmative behavior of sibling were, the lower the first sibling's peer competence were. The more submission to negative initial behavior were, the lower the first siblings' competence we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8 Ⅱ. 이론적 배경 = 9 A. 형제 상호작용 = 9 B. 형제 상호작용과 관련된 변인들 = 13 1. 형제지위 변인 = 15 2. 형제 기질 변인 = 25 3. 어머니의 형제대우 = 31 C. 또래 유능성 = 46 1. 어머니의 형제대우와 또래 유능성 = 47 2. 형제 상호작용과 또래 유능성 = 50 Ⅲ. 연구방법 = 54 A. 연구대상 = 54 B. 연구도구 = 55 C. 연구절차 = 63 D. 자료처리 및 분석 = 69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76 A. 형제구조 변인에 따른 어머니의 형제대우 = 76 B. 형제구조 변인에 따른 형제 상호작용 = 80 C. 어머니의 형제대우와 형제 상호작용의 관계 = 88 D. 어머니의 형제대우와 또래 유능성의 관계 = 93 Ⅴ. 논의 및 결론 = 98 A. 논의 = 98 B. 결론 및 제언 = 110 참고문헌 = 116 부록 = 138 ABSTRACT = 14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4076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형제구조, 어머니의 형제대우 및 또래 유능성과 형제 상호작용의 관계-
dc.typeDoctoral Thesis-
dc.format.pageix, 150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