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고은미-
dc.creator고은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5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5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79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05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798-
dc.description.abstract고은미의 Double Concerto 및 분석은 2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1부는 Double Concerto에 대한 분석이고 2부는 Double Concerto 이다. 2부의 Double Concerto는 Chamber Orchestra의 단악장으로 구성된 약 20분 길이의 실내 오케스트라 곡이다. 1부의 제2부 본론은 다시 4부분으로 세분되며 작품 분석에 앞서 작품 전체의 부분별 음 조직과 음 진행에 대한 이론을 서술한 후 형식을 제시한다. Double Concerto는 전통 Canon(캐논)에서 사용되어온 Dux(둑스, 주제,선행선율)와 Comes(컴즈, 응답, 후행선율)의 모방 관계를 12음 체계 안에서 폴리포니(polyphony, 다성) 개념에 의한 Canon으로 구성한 작품이다. 전통 Canon의 Dux와 Comes는 기본적으로 단선(homophony)을 조정하는 이론으로서의 선법(modal) 이론의 협화(consonance), 불협화(dissonance) 음정의 개념과 화성(harmony) 이론으로서의 조성(tonal) 이론의 tonic(타닉), dominant(도미넌트) 관계에서 비롯된 화성의 보(complement) 관계에 제한된다. 따라서 Canon의 Dux와 Comes의 개념이 근본적으로 폴리포니에 근거함에도 불구하고 전통 Canon에서는 하나의 선율에 대한 단음적(mono- phonic), 단일성부 모방(imitation) 개념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모든 음정(interval) 관계로 모방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모방 음정의 가능성들이 화성 체계의 축(axis)을 형성하는 tonic, dominant region 관계에 종속되는 한계를 갖게 되었다. 즉, 화성과 일치시키기 쉬운 음정에 의한 모방 음정만이 선호되어 모든 음정을 다룰 수 있는 Canon의 특성이 쇠퇴되었다. 또한 Canon의 Dux와 Comes의 리듬은 음 조직 및 음 기능과 별개로 처리되어왔다. 따라서 이러한 전통 Canon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하여 음 진행과 관련된 리듬 구조를 갖는 Dux와 Comes의 구성 뿐 아니라 주제 선행선율인 Dux 자체가 협화, 불협화 및 조성의 한계에 머무르지 않고 반음계적 변화 음들이 더 이상 변화 음으로 취급되지 않을 경우와 이에 대한 후행선율인 Comes를 논리적으로 전개할 수 있는 이론적 필요성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Double Concerto는 12음에 의한 Dux와 이에 대한 새로운 보(complement) 관계를 이루는 Comes를 구성하여 전통 Canon의 협화, 불협화 및 조성의 개념을 넘어선 Canon을 구성하였다. 즉, Dux의 선율을 단일 성부에 의한 하나의 주제 선율 진행이 아닌 복합선율 개념으로 확대, 발전시켰으며 선행선율인 Dux 자체를 변주(variations) 하였다. 또한 12음의 구조적 체계를 통하여 어떠한 변화음도 필요 없는 엄격한 모방을 이루는 Comes에 폴리포니 개념이 적용된 모방 음정 내용의 변화를 주어 모방 음정의 한계를 극복하였다. 리듬조직 역시 음 조직과 적용되도록 구성하였으며 또한 이 작품에 적용된 이론은 이 작품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일반화된 이론으로도 적용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이 작품은 전통적으로 폴리포니를 구성하기 위하여 사용 되어온 기법인 전통 Canon의 논리들을 새로운 음 이론으로 구성한 ‘12음(dodecaphonic) Canon’이다.;This dissertation, Double Concerto by Eunmee Koh with Analysis consists of two parts. The first part, the analysis of the composition is divided into five sections with a formal analysis of the composition and its structure based on pitch progression. The second part, the Double Concerto is a composition of chamber orchestra in one movement lasting approximately 20 minutes. The primary object of composing the Double Concerto is an improvement of the concept in regard to linear, horizontal, and harmonic relationships of traditional canon. Traditional Canon has had three basic drawbacks: (1) Dux and Comes is limited by concept of consonace and disonance in mode. And it is limited by complement relationship in tonal harmony; (2) Inspite of that the concept of Dux and Comes in canon is based on polyphony texture basically, the concept is composed of monophony imitation in melodic line; and (3) Rhythmic organization of Dux and Comes in traditional canon has not been dealt distinctively from pitch function. In order to remedy those defects in the traditional canon, this Double Concerto has taken the following new alternatives: (1) New complementary relationships are developed between the Dux and Comes in twelve-tone procedure; (2) Melodic line of Dux and Comes is constructed polyphonically. And Comes is constructed according variations of melodic interval of Dux ; and (3) Pitch function is applied to rhythmic organization. The theory which is used in this composi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present composition only, but also can be served as a generalized theory applicable to any canonic composition with twelve-tone. This Double Concerto attempts to remedy drawbacks exsisting in the traditional canon with the payment of special attention to maintaining the basic principle and theory found in the canon and develop canon for twentieth century based upon twelve-tone theor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xxiv 1 부 : 분석 Ⅰ. 서론 = 1 Ⅱ. 본론 = 6 1. Dodecaphonic Canon구성을 위한 예비이론 = 6 1.1 PT0의 구조 = 6 1.2 Combinatoriality 구성 = 12 2. Dodecaphonic Canon = 15 2.1 음조직 (Pitch Organization) = 15 2.11 Derived Set (추출집합) DA = 15 a) Derived Set DA의 구조 = 15 b) Derived Set DA의 trichords = 16 c) Derived Set DA의 tetrachords = 19 2.12 Derived Set DB와 DB = 22 a) Derived Set DB = 23 b) Derived Set DB = 28 2.13 Derived Set DC = 31 a) Tetrachordal Motive = 31 b) Hexachordal Motive = 32 2.14 Derived Set DD와 DD 및 DD = 41 a) Interval M5에 의한 추출 = 41 b) Interval M7에 의한 추출 = 42 c) Interval M11에 의한 추출 = 45 2.2 음진행 (Pitch Progression) = 50 2.21 Derived Set DA에 의한 Progression = 50 2.22 Derived Set DB와 DB 에 의한 Progression = 55 a) DB/P와 DB /P의 결합 = 55 b) DB/I와 DB /I의 결합 = 57 c) DB 1, 2/P와 DB 1, 2/I의 결합 = 58 d) DB 3, 4/I와 DB 3, 4/P의 결합 = 59 e) DB/P, I와 DB /P, I의 결합 = 60 2.23 Derived Set DC에 의한 Progression = 61 a) Tetrachordal Motive 변용에 의한 성부 구성 = 61 b) Hexachordal Motive 변용에 의한 성부 구성 = 63 2.24 Derived Set DD와 DD 및 DD에 의한 Progression = 65 a) DD1: PT0/M5 = 65 b) DD 1: PT0/M7 = 66 c) DD 1: PT0/M11 = 67 2.3 형식 (Form) = 68 3. 분석 = 71 3.1 SectionⅠ(mm. 1-62) = 71 3.11 PreludeⅠ(mm. 1-9) = 71 3.12 Canon 1 (mm. 10-24) = 73 3.13 Canon 2 (mm. 25-39) = 76 3.14 Canon 3 (mm. 39-50) = 79 3.15 CadenceⅠ(mm. 51-62) = 82 3.2 SectionⅡ(mm. 63-118) = 82 3.21 PreludeⅡ(mm. 63-70) = 82 3.22 Canon 4 (mm. 71-78) = 84 3.23 Canon 5 (mm. 78-91) = 86 3.24 Canon 6 (mm. 92-112) = 88 3.25 CadenceⅡ(mm. 113-118) = 88 3.3 SectionⅢ(mm. 1-62) = 90 3.31 PreludeⅢ(mm. 119-126) = 90 3.32 Canon 7 (mm. 127-135) = 90 3.33 Canon 8 (mm. 136-149) = 93 3.34 CadenceⅢ(mm. 150-156) = 95 3.4 SectionⅣ(mm. 157-225) = 95 3.41 PreludeⅣ(mm. 157-165) = 96 3.42 Canon 9 (mm. 165-178) = 98 3.43 Canon 10 (mm. 178-200) = 99 3.44 Canon 11 (mm. 200-214) = 102 3.25 CadenceⅣ(mm. 214-225) = 104 3.5 SectionⅤ: Finale (mm. 226-241) = 104 4. Orchestration = 106 Ⅲ. 결론 = 112 A. Dux와 Comes 모방 단위(unit) = 114 1. 균등(even) 분할된 Canonic unit = 115 2. 비 균등(uneven) 분할된 Canonic unit = 119 B. Dux와 Comes의 변주(variations) = 119 1. 선율 변주 = 120 2. 리듬 변주 = 122 C. 후서 = 123 참고문헌 = 125 ABSTRACT = 12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9008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고은미의 Double Concerto 및 분석-
dc.typeDoctoral Thesis-
dc.format.pagexv, 128,61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