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7 Download: 0

중년여성의 자원봉사활동과 자아정체감이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Title
중년여성의 자원봉사활동과 자아정체감이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Authors
박경혜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여성의 자원봉사활동과 자아정체감이 중년여성의 위기감에 미치는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특히 자원봉사활동이 자아정체감을 높이고, 위기감을 낮추어 줄 수 있는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중년기를 잘 대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에 거주하는 35세 이상 59세 이하의 중년 여성160명을 조사대상으로 하였고, 조사기간은 2003년 11월 3일부터 11월 14일까지로 중년기위기감 척도, 자아정체감 척도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0.0 (Statistical Package for Service 10.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상관분석(부분상관 partial correlation 포함) 및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조사에 참여한 여성들의 일반적인 위기감의 수준을 살펴 보면, 265점 만점에 평균165.91로, 표준화점수로는 3.13을 나타내어 느끼고 있는 위기감의 수준은 중간보다 조금 낮게 나타났다. 위기감의 하위영역에서는 '개별화과정'에서 여성들은 가장 큰 위기를 느끼고 있었다. 선행연구와 연결하여 볼 때 중년여성들이 무력감 속에서 자신의 존재의미에 대한 의문을 가지고 주체성의 위기의식으로 당황하게 되면서 불균형의 시기를 맞이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자아정체감의 수준은 100점 만점에 평균59.55로, 표준화점수로는 2.94로 느끼는 정제감의 수준은 보통수준으로 나타났다. 정체감의 하위영역의 상관관계를 살펴 보면 P<.001 수준에서 친밀성과 자기수용은 r=.579의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갖는다. 셋째, 자아정체감과 위기감 사이의 상관관계를 살펴 보면 자아정체감이 높을수록 위기감의 수준은 낮게 나타났다. 특히 자아정체감의 하위요인 중 위기감을 낮게 하는 변인으로는 '친밀성(r=.981)'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구학정인 특성과 위기감과의 상관관계를 살펴 보면 위기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력' 으로 이는 학력이 낮은 여성들에 비해 높은 여성들이 상대적으로 위기상황 및 스트레스 상황에 대처하는 방법이나 관련지식이 풍부함에서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학력'의 요인과 함께 생활수준이 높고, 직업을 가진 여성들이 그렇지 않은 여성들에 비해 낮은 위기감을 갖고 있었다. 특히 직업을 가진 여성들의 위기감이 낮음은 여성의 사회활동이 여성들의 위기감을 감소시키는데 중요한 요인임을 대변해 준다. 동일집단 내에 자원봉사활동을 하고 있는 여성들을 대상으로 인구학적인 특성을 부분상관 partial correlation 을 통해 봉사활동유무와 위기감의 하위변인 사이의 상관관계를 살펴 보았다. 그 결과 중년 여성의 연령(r=-.40), 막내자녀의 연령(-.37), 기혼여성(-.33) 여가시간(-.31)이 봉사활동과 위기감 사이에 영향을 주고 있음으로 나타났다. 즉 양육부담이 적어 여가시간이 확보되어 있는 중년여성들이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했을 때 그렇지 않은 여성들에 비해 위기감이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자원봉사활동 유무가 중년여성의 자아정체감과 위기감 사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보면, 자원봉사활동변수를 부분상관관계를 활용하여 통제해 봄으로 자아정체감과 위기감사이의 상관관계 변화값을 살펴 보았다. 결과 자원봉사활동이 정체감을 높이고 위기감을 낮추고 있음이 각 각의 하위요인들의 상관관계 변화값을 통해 알 수 있었고, 특히 자아정체감의 '친밀성' 요인은 위기감의 각 하위 요인들 - 정서적 위기감(.06)/ 개별화과정(.07)/ 능력과 활력의 상실(.07)/ 역할불만족(.10) - 과 상관관계를 이루며 자원봉사활동변수 통제 유무에 따가 가장 크게 변화 값을 보였다. 즉 자원봉사활동이 타인과의 관계를 맺고 유지하며 사회적인 관계망이 형성되는 친밀성을 강화시키고, 이는 또한 위기감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자원봉사활동의 필요성을 증명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중년여성의 자원봉사활동을 활성화 시키고, 이를 통해 중년여성의 위기감 극복에 도움을 주며, 안정적인 중년기를 통해 의미 있는 노후를 준비할 수 있는 도우미 역할이 되기 바란다. ;This study has been done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middle-aged women's volunteer works and their self-awareness between the sense of crisis they can feel in their everyday-lives. The ultimate aim is to show the volunteering to public service can raise the workers's pride and, at the same time, erase the sense of crisis. This relationship, once proven, will provide an idea to middle-aged women in coping with problems in the new phase of their lives. The survey was subjected to 160 women in their middle-age, from 35 to 59 years old. It was done from November third to fourteenth, in the year of 2003. The questionnaire largely comprised of index of middle-age crisis and self-awareness. The materials were processed with SPSS 10.0(Statistical Package for Service 10.0) program, the Pearson's correlation(including partial correlation) which explains frequency and relationship, and th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roughy summarized below; First, the sense of crisis which the answerers expressed was scored 165.91 even out of 265(standardized score 3.13), which locates slightly lower than the average. Especially, where the answerers feel the crisis themselves most was 'the step of individualization.'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middle-aged women are believed to come to the step of unbalance, questioning their 'raison-d-etre' and being embarrassed about themselves. Second, the score of the self-awareness surveyed was 59.55 out of 100(standardized score 2.94), which meets to the regular level. In the sub-sector, intimacy and self-acceptance have relatively much relationship with it, measuring r=0.579(P<0.001). Third, the correlation of the self-awareness and the sense of crisis was revealed reversed each other. Interestingly, one of the sub-factors that lower the sense of crisis was the 'intimacy(r=0.981).' Fourth, when using the characters of demography, the greatest factor which affect to the sense of crisis was 'education.' That is, educated women are better-versed with theoretical and practical methods to cope with crisis and stressful situation than women of low education. The standard of living and the career also affirming relationship with lowering the sense of crisis. This result tells women's social activity greatly helps their crisis. The partial correlation of participating in the public-service with the sense of crisis was also surveyed on the female co-workers doing same volunteer works in a place. As a result, the older they(r=-0.40) and their last child(r=-0.37) are, the more time they have for recreation(r=-0.31), the smaller sense of crisis they have. Whether they got married(r=-0.33) also has an influence on it. This means that middle-aged women with grown children who have time to spare for hobbies and recreation can plunge into volunteer works in public sector, and find the way to escape from the sense of crisis. Lastly, the changing feature of partial correlation between the self-awareness and the sense of crisis were pursued, blocking the variable of volunteer works to move. In a word, it showed that volunteering raises the self-awareness but lowers the sense of crisis, with the correlation-variables in each sub-factor. The most meaningful result was, the 'intimacy' showed the most sensitive change according to whether the variable of volunteer works was blocked or not. It had strong relationship with the sub-factos of the sense of crisis, such as mental crisis(0.06), individualization(0.07), lose of ability and activeness(0.07), and discontent with their role(0.10). Therefore, it can be proved that volunteer works strengthen the intimacy which makes middle-aged women to have positive relation with other people and form social networks, so consequently. lowers the sense of crisis. This study will be, hopefully, helpful to middle-aged women to involve into many kinds of volunteer works, to solve the problems in their special life-phase and to enjoy stable middle age connecting straight to fruitful old ag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