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7 Download: 0

양성평등 교육의 관점에서 본 제6차와 제7차 교육과정의 초중등학교 과학교과서 삽화 비교 분석

Title
양성평등 교육의 관점에서 본 제6차와 제7차 교육과정의 초중등학교 과학교과서 삽화 비교 분석
Authors
공영주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물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과학교과서에 포함되어 있는 성역할 고정관념이나 과학교과서에 나타나는 남성화된 이미지는 학생들의 전통적인 성역할 고정관념을 강화시키며 과학 학업성취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 및 진로 선택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우리나라는 진로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과학 관련 분야로 진출하는 비율이 현저히 낮으며, 국제 평가 연구의 과학 영역에서 여학생에게 불리한 성별 격차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대표적인 나라임을 감안할 때, 과학교육에서 성차 해소를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이 시급하다. 교육에서의 성차 해소는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되어 질 수 있으나, 과학 교육에서 양성 평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성 편견이 제거된 과학 학습 자료를 이용하는 것이 기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제6차와 제7차 교육과정의 초, 중등학교 과학교과서에 나타난 삽화를 양성 평등 교육의 관점에서 비교 분석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물 등장 삽화에 출현하는 남녀의 비율만을 고려한다면, 제6차와 제7차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과학교과서는 성 중립적인 교재라고 할 수 있다. 중학교, 고등학교 과학 및 물리교과서는 제6차,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모두 여성에 비해 남성이 많이 등장하였으며, 성별 등장 비율의 차이는 제6차에 비해 제7차 교육과정에서 다소 줄어들었으나 여전히 남성 편중성이 드러났다. 둘째, 주연으로 등장하는 인물을 성별로 구분하여 남성주연, 여성주연, 공동주연의 삽화수를 조사한 결과 초등학교 과학교과서의 경우 제6차, 제7차 교육과정 모두 주연의 성별 비율이 거의 동등하였다. 하지만 제6차, 제7차 교육과정 모두 학년이 올라갈수록 성별 균형이 깨어져 남성이 주연으로 등장하는 삽화수는 계속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여성이 주연으로 등장하는 삽화수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남성주연 삽화수의 증가 추세는 제7차 교육과정이 제6차 교육과정보다 다소 작았다. 셋째, 과학교과서에 나타난 직업인을 성별로 구분해서 조사한 결과, 직업인으로 등장하는 비율은 여성이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고, 성별 직종 분리 현상도 여전하였다. 교과서에 나타난 과학 활동별로 남녀를 구분해 본 결과, 초등학교 교과서의 경우 제6차 교육과정에서는 과학 활동의 역할에 있어서 성별 분리현상이 나타났으나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역할에 있어서 성별 분리현상이 거의 없어졌다. 중학교, 고등학교 과학 및 물리의 경우는 과학 활동에 관련된 삽화의 인물 제시에 있어서 성 편중성이 존재하였다. 넷째, 과학교과서에 나타난 과학자의 성을 분석해 본 결과, 제6차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교과서는 초, 중, 고등학교 과학교과서를 통틀어 여성과학자가 마리 퀴리 한 명 뿐이었으나,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교과서에서는 마리 퀴리 뿐 아니라 마이트너와 졸리오 퀴리를 소개하였다. 다섯째, 제6차 교육과정의 초, 중, 고등학교 과학교과서와 제7차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과학교과서에서는 과학 관련 직업 소개가 전혀 언급이 되어 있지 않았다. 제7차 교육과정의 중, 고등학교 과학교과서에는 다양한 과학 관련 분야와 직업 모델이 등장하고 있었으나, 직업 모델이 남성 위주로 소개되어 있어 성 편중성이 심각하게 드러났다. 종합해 보면,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 중등학교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삽화는 제6차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교과서에 비해 성 편중성이 감소하기는 하였으나 남녀 출현 비율과 성역할 고정 관념 및 역할 모델 제시에 있어서 여전히 남성 편중성이 드러나고 있었다. ;Sex-role stereotyping or manly image in science textbooks strengthen traditional sex-role stereotyping to students. Also, this affect science achievement, attitude for science, and choice of course. Therefore a balanced and comprehensive portrayal of women in science textbooks is import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ative analyze illustrations on elementary·secondary science textbooks based on 6th, 7th national curriculum from a perspective of gender fair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frequencies of men and women who appeared on illustrations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 based on both 6th and 7th national curriculum are equal. Men appear more frequently than women on illustrations in secondary science textbooks based on both 6th and 7th national curriculum. Both the sexes entrance rate gap decreased in secondary science textbooks based on 7th compared with 6th curriculum. 2. In case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 the number of men leading, women leading, and both the sexes leading are almost equal in textbooks based on 6th and 7th science curriculum. As going into the next grade, the number of illustration that man play the leading part gradually increased and the number of illustration that women play the leading part gradually decreased. Increasing trend of man-leading illustration in 7th curriculum small than 6th curriculum. 3. Women with occupation are rare and their roles are stereotyped in both 6th and 7th science textbooks. 4. Sex-role stereotyping disappeared on science activity illustrations in 7th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than 6th curriculum. This still appeared in secondary science textbook based on 6th and 7th curriculum. 5. Women scientist introduced is only Marie Curie in science textbook based on 6th curriculum, but Marie Curie, Joliot Curie, Meitner in 7th curriculum. 6. There is no introducing occupation regard to science in textbook based on 6th curriculum. Science textbooks based on 7th curriculum introduced some occupation regard to science, but 86.3% of occupation-models are m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물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