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71 Download: 0

혼혈청소년의 자아정체감에 관한 연구

Title
혼혈청소년의 자아정체감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ego-identity of the amerasian adolescents
Authors
김미혜.
Issue Date
1982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사업학과
Keywords
혼혈청소년자아정체감청소년기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성장발달중 가장 중요한 시기에 있는 혼혈청소년들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지도하기 위해서 Erikson의 성격이론에 입각하여 혼혈청소년의 심리사회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집단을 혼혈청소년, 결손가정 청소년, 정상가정 청소년으로 구별하여 자아정체감(서봉연 : 1975) 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이 비교해 보았다. 첫째 : 혼혈청소년, 결손가정 청소년, 정상가정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수준을 비교해 보았다. 둘째 : 혼혈청소년은 인종별, 성별, 학교수준별로 자아정체감 수준을 비교해 보았다.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 혼혈청소년은 결손가정 청소년과 자아정체감 수준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정상가정 청소년보다는 낮은 자아정체감 수준을 보였고 하위척도에서 「안정성」이외에는 별 차이가 없었다. 혼혈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혼혈"이라는 요인보다 결손가정이라는 "가정환경"이라 할 수 있다. 둘째 : 혼혈남학생은 다른 두 집단의 남학생보다 자아정체감 수준이 낮고 여학생의 경우에는 정상가정의 여학생과는 차이가 없고 오히려 결손가정 여학생보다 자아정체감 수준이 높았다. 하위척도에서 보면 「안정성」은 혼혈남학생과 혼혈여학생이 정상가정 남학생과 여학생보다 낮았다. 셋째 : 혼혈중학생은 다른 두 집단의 중학생보다 자아정체감 수준이 높고 혼혈고등학생의 경우에는 두 집단보다 낮은 자아정체감 수준을 보이고 있다. 하위척도에서 보면 『자기수용』과 『대인관계』에서 혼혈중학생이 결손가정 중학생보다 높았고 『자기존재의식』에서는 정상가정 중학생보다 높았다. 혼혈고등학생은 『대인관계』에서 결손가정 고등학생보다 낮고 『목표지향성』에 있어서는 정상가정 고등학생보다 낮았다. 『안정성』에 있어서는 혼혈중학생과 혼혈고등학생이 정상가정 중학생과 고등학생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 혼혈청소년간의 인종별 자아정체감 수준에는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혼혈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인종적 요인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시준해 주고 있다. 그러나 황인계의 경우 자아정체감 전체척도상의 점수나 하위척도상『안정성』에서 낮은 점수를 보이는데 이는 황인계 혼혈청소년들이 자기규정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말해 준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 : 혼혈청소년간의 남학생과 여학생의 자아정체감 수준에는 별 차이가 없었고 하위척도에서 남학생이 『자기수용』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 혼혈청소년들간의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 수준은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형성발달과는 반대되는 현상으로 이런 현상은 혼혈청소년이 성장함에 따라 혼혈인에 대한 사회의 인식과 어두운 장래전망을 알게되고 혼혈인으로서 한국사회에서 위치를 확보하기 어렵다는 것을 깨닫게 되면서 자아정체감 혼미에 빠지기 때문에 일어나는 것 같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따라 혼혈인이 지닌 문제가 혼혈이라는 사실보다 이들이 처한 사회경제적 지위의 약화에서 나오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며, 또한 이들을 돕는 기관뿐 아니라 사회에서 이들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이들의 사회·경제적 지위향상을 위해 사회제도적인 지원이 요구 된다고 제언하였다.;This study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Amerasian psychosocial characters within the frameworks of Erikson's psychosocial theory of personality development in order to understand and guide them right. For this study, the Ego Identity Scale (Suh, Bong Yun 1975) were administrated to three adolescent groups of the Amerasian Adolescents (AAs), broken home adolescents (BAs) and normal home adolescents (NAs). With these data, the following subjects have been handled: 1. AAs were compared with BAs and NAs with respect to their overall ego identity level. 2. Among AAs, they were compared by race, sex and educational level with respect to their overall ego identity level.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re are no differences between AAs and BAs with respect to their overall ego identity level. AAs' ego identity level is lowerer than NAs' but there are no differences in the subcategories of ego identity except "Stability". This fact shows that home environment influences AAs' ego identity establishment more than Amerasian. 2. Male AAs achieve a lower level than male BAs and male NAs. On the contrary, female AAs achieve a higher level than female BAs and also achieve a higher level as much as NAs. In the subcategories of ego identity, "Stability" of male AAs and female AAs is lower than male NAs and female NAs. 3. Middle school AAs achieve a higher level than middle school BAs and middle school NAs. On the contrary, high school AAs achieve a lower level than high school BAs and high school NAs. Among the subcategories of ego identity, "Self-accepta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middle school AAs are higher than middle school BAs. "Sense of self" of middle school AAs is higher than middle school NAs.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high school AAs is lower than BNs. "Gold-directedness" of high school AAs is lower than high school NAs. Especially "Stability" of middle school AAs and high school AAs is low than middle school NAs and high school NAs. 4. No differences are found in the variable of AAs' race with respect to their overall ego identity level. This shows that race factor doesn't influence AAs' ego identity establishment. Among AAs, Yellow AAs achieve a lowest level with respect to overall ego identity and in the subcategories of ego identity. This fact shows that they have difficulty in defining themself. 5. No differences are found in the variable of AAs' sex with respect to their overall ego identity level. "Self-Acceptance of male AAs in the subcategories of ego identity is higher than female AAs. respect male AAs in the subcategories of ego identity is higher than female AAs. 6. Middle school AAs achieve a higher level than high school AAs. This phenomenon of developing AAs' ego identity is opposite to other Korean adolescents. This phenomenon is caused by AAs' ego identity confusion which they have experienced as they grows because they become aware of the community recognition about Amerasian, their dark future perspective and difficulty in getting scial position as a community member. According to these results of study, I present it as following fact: The problems of Amerasians are caused not because of Amerasian but because of weakness of socio-economic status in the Community. So welfare center helping Amerasian and Community ought to have new recognition about Amerasian and support them socially and institutionally in order to improve their socioeconomic status in the commun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