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趙美里.-
dc.creator趙美里.-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4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4Z-
dc.date.issued1982-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74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01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742-
dc.description.abstractIn Korea, modern ceramics has been developed since 1960, which has added new artistic features to the traditional pottery. Geometric pattern in the modern pottery typically represents surface-decoration patterns. It shows modern aesthetic consciousness in harmony with modern sense. In this study, the geometric pattern is analyzed with decoration components such as dots, lines and plains. And is also studied the aesthetics of our contemporaries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decoration technics and forms of potteries. Technics of decoration are classified, by its body, into decorations under the plastic state, semiplastic state and after first firing state. There are two catagories in the shapes of potteries; one is pot-form which puts emphasis on the function, another is nonpot-form, that is, a form of decoration pot which neglects the function. As a result of these classifications and studies of modern ceramic works of Korea, the following three conclusions are drawn: First, the geometric pattern which consists of basic elements such as dots, lines and plains, create mechanical and artificial orders to lead the modern chaotic society into a comfortable status. Second, lines are especially the most effective and basic components of decoration and have diverse varieties, among which the straight lines are used most frequently because of its special properties. Third, revival of the geometric pattern, which was the main stream in the ancient pottery, is greatly attributed to the inborn desire of human beings for decoration, the psychological fullness and the expression of human existence. Fourth, different from the simple unconscious decoration in the ancient times, creation today depends on the personal consciousness of work. So, various decoration technics came to be used, from the formation stage, to pursue beauty, which resulted in the appearance of many kinds of pots from the pots for functional use to those neglecting the function. Some potteries are still easy going. However, sincere attitude for creation is needed for the development of pottery. Efforts should be concentrated on the establishment of original beauty of Korea which will last forever on the basic of the succession of high level technics in pottery making.;한국의 현대도예는 1980년대 초 전통도예에 새로운 예술성을 부여하면서 시작하게 된다. 그 후 20여년이 지난 오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향에로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다양하게 전개되는 현대도예 가운데 가장 뚜렷한 흐름을 갖고 있는 것이 기하학적인 문양양식으로, 이는 현대적인 감각과 잘 조화되어 현대적 조형의식을 표현하고 있다. 本考에서 기하학적인 문양을 점·선·면 등의 문양구성요소에 따라 분석하고, 형태와 장식기법상의 표현방법을 통해 현대인들의 조형성까지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여기서 형태는 기능성을 위주로 한 도자형태와 기능은 무시한 시각적인 도자형태로 분류하고, 장식기법은 소지의 상태에 따라 가소성상태의 장식, 반건 상태의 장식, 초벌 후의 장식으로 분류하였다. 이렇게 분류·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이 결론지을 수 있었다. 첫째, 현대도예의 대표적인 표현양식으로 나타나는 기하학적인 문양은, 기계적인 질서를 창조하여 혼란된 현대사회 속에서 인간 지성의 도움을 받아 질서 있는 안정감의 세계로 이끌어 간다. 둘째, 기하학적인 문양을 구성하는 기본단위는 점·선·면으로, 이 세 기본요소들은 상호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그 중 선은 가장 효과적인 요소로 다양한 변화로 움을 갖으며, 특히 직선은 독특한 성격으로 현대에 가장 애용되고 있다. 셋째, 원시토기에서 주류를 이루고 있던 기하학적 문양의 현대적 재등장은 인간 본래의 장식욕구, 심리적 충족감, 인간존재에 대한 표현에서 비롯된다. 넷째, 현대에서는 원시시대의 무의식적인 단순한 장식과는 달리 개성적인 제작의식에 의하여 창작한다. 따라서 성형 시부터 여러 가지 장식기법을 사용하여 미적 추구를 하게 되고, 이 결과 기능도자로부터 기능은 무시한 시각적 도자에 이르는 다양한 형태의 출현을 맞이하게 된다. 그러나 아직도 안일한 제작태도가 많이 있어 확고하게 창작하려는 태도가 필요하다. 그리하여 과거 높은 수준의 도자전통을 밑거름으로 영원히 살 수 있는 한국적인 독창미를 정립하여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부단한 연구와 노력이 요구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目次 = ⅲ 論文槪要 = ⅷ Ⅰ. 序論 = 1 A. 硏究의 目的 = 1 B. 硏究의 內容 = 2 C. 硏究의 方法 = 2 Ⅱ. 幾何學的 紋樣의 發生 = 4 Ⅲ. 現代陶芸에 나타난 幾何學的 紋樣 = 14 A. 現代陶芸의 槪念 및 時代的 狀況 = 14 1. 現代陶芸의 槪念 = 14 2. 時代的 狀況 = 15 B. 裝飾技法 = 18 Ⅳ. 幾何學的 紋樣의 造形性 分析 = 26 A. 現代陶芸의 形態 = 26 B. 幾何學的 紋樣의 造形性 分析 = 30 1. 点紋 = 31 2. 線紋 = 32 (1) 直線 = 34 (2) 曲線 = 40 (3) 直線과 曲線의 複合形 = 43 (4) 기타 = 45 3. 面 = 45 4. 기타 = 47 Ⅴ. 結論 = 52 參考文獻 = 62 ABSTRACT =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70168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기하학문양-
dc.subject한국도예-
dc.subject도예기하학-
dc.title韓國 現代 陶藝의 幾何學的 紋樣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Geometric pattern in the modern pottery of Korea-
dc.format.pageix, 67 p. : 삽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도예과-
dc.date.awarded198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