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11 Download: 0

바구니형태의 프랙탈 기하학 조형원리를 적용한 패브릭디자인

Title
바구니형태의 프랙탈 기하학 조형원리를 적용한 패브릭디자인
Authors
김고은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텍스타일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Arts and science have kept close relation for a long time. It can be said that modern artists have accessed science and technology by developing devices continuously or having help from machinery for their power of expression or in their means of expression, and mechanics and science have accessed arts, vice versa. Therefore, arts and science of today are in close cooperation each other though they have different purposes. Thus, the researcher, as an attempt to practically combine arts and science, is to suggest method and thought of design applying the fractal theory. Recently, the Chaos Theory, one of scientific theories, has been raised by virtue of the development of computer and information technology. Fractal geometry, a geometrical expression of the Chaos Theory, is applicable in all fields of our daily life like design, engineering, medicine, financing, image and art. In fact, from view of artists, fractal thought is never the new and they have already conducted artistic activities in fractal thought and concept unconsciously. The core of this study, specially, is to create various fractal structures using computer graphic and apply them to fabric pattern design. This study, for the purpose of attempting the combination of fractal theory and fabric design and practicing the applicability, was conduct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First, the potential and need of the application of fractal geometry to fabric design were examined for mutual understanding and exchange between artists and science. Second, as research background, the origin and concept of fractal geometry were looked into, and the form theories and the formative features were drawn out. The form theories including self-similarity, randomity, unanticipated consequences, fractal dimension and irregularity, and their applications to works were examined. In addition, reiteration and repetition, deformation and scaling were examined as formative features. Third, for creation of a fractal structure with digital technology, the recognition that digital media are being broadly used as means of creation in the field of art was made, the description of digital technology enabling an image to be randomly invented and transformed through deformation, combination and composition were done, and the similarity and correlation between digital image and fractal form were analyzed and described. Fourth, at the stage of work production, the extracted fractal form theory was applied to the formative and textile feature of a hand basket, the motif of the work, and various patterns configured and reconstructed into fractal form in computer were created. Fifth, digital printing system was used in implementation of the computer-aided work. The meaning of such digital printing system being increasingly used in fabric design work in terms of textile industry, the characteristics and process of digital printing system, and the merit and demerit of printing by digital printing system and existing printing system were analyzed. From the above proces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obtained: First, in the aspect of design methodology, the researcher found the need of access to design by scientific means corresponding to the times with the pursuit and application of correlation between artists and science by reflecting the current trend that the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ment accelerates changes in all fields of culture, arts, politics, and economics. Second, from the view of combination between scientific theory and design, the fractal-applied design approach of this study suggested a direction applicable to fabric design. Third, digital art using computer can suggest a new possibility in artist's expression in the dimension of introduction of technical properties into a field of arts. From this point view, it was found that computer graphic can express visually functional characteristics including image making, transformation, and reproduction as well as is suitable for creation of fractal form. Fourth, a hand basket, as an element of formative expression in terms of form and material, has enough condition as aesthetical motif and was effective in the creation of diverse fractal patterns with the application of fractal concept. Fifth, digital printing system, as lean production system of a high value added product, is expected to be one of alternatives enabling fabric design to meet consumers' manifold individualities on the basis of differentiated design. ;예술과 과학은 오랫동안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 왔다. 현대의 작가들은 자신들의 표현 역량을 위해서도, 또는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방법상에 있어서도 어떤 장치를 계속 개발하거나 기계의 도움을 받는 방식으로 과학과 기술에 접근해 왔다고 할 수 있으며, 역으로는 기계 기술이 예술에 접근해 왔다고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오늘날의 예술과 과학은 그 목적을 달리하면서도 서로 긴밀한 협조관계에 놓여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예술과 과학의 실제적 접목의 한 시도로서 프랙탈 이론을 적용한 디자인 방법과 사고를 제시하고자 한다. 최근 컴퓨터와 정보 기술의 발달로 과학적 이론의 하나인 카오스 이론이 점차 대두되고 있으며, 카오스 이론의 기하학적인 표현형태로써 프랙탈 기하학은 디자인을 비롯한 공학, 의학, 금융, 영상, 미술 등 우리 일상에서 거의 모든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며, 실제로 적용되고 있다. 사실 예술가들의 입장에서도 프랙탈적 사고는 결코 새로운 것이 아니며 작가들은 이미 자신들이 깨닫지 못하는 사이에 프랙탈적 사고와 개념으로 예술활동을 해오고 있었던 것이다. 특히 본 연구의 핵심은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하여 다양한 프랙털 형태를 창출하고 이를 패브릭 패턴디자인에 응용함에 있다. 본 연구는 프랙탈 이론과 패브릭 디자인의 접목 시도와 그 응용가능성의 실험에 연구의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첫째, 예술과 과학의 상호이해와 교류를 위해 프랙탈 기하학의 패브릭 디자인 적용의 가능성과 필요성을 고찰하였다. 둘째, 연구의 기본 배경으로서 프랙탈 기하학의 발생배경과 개념을 살펴보고, 조형 원리와 형태적 특성을 도출하였다. 조형 원리로서 자기유사성, 프랙탈 차원, 무작위성, 비선형성, 불규칙성, 비예측성 등의 원리를 고찰하고, 이로부터 중첩과 반복, 형태 왜곡, 스케일링의 변환으로 나타나는 형태적 특성을 도출하며 이들이 작품에 적용된 예들을 살펴보았다. 셋째, 디지털 기술의 활용을 통한 프랙탈 형태의 창출을 위해, 미술 영역에서 디지털 매체가 창작의 도구나 표현의 수단으로 폭넓게 이용되고 있음을 인식하고, 변형, 조합, 합성으로 이미지의 임의적인 조작과 유연한 변형이 가능한 디지털 테크놀러지의 특징을 기술하여 디지털 이미지를 구현하는 디지털 프랙탈 형태 특성과의 유사성을 찾아 분석하고 연관성을 설명하였다. 넷째, 실제 작품 제작 단계에서는 추출해낸 프랙탈 조형원리를 작품의 모티브인 바구니의 형태적, 질감적 특성에 적용시켜 컴퓨터 상에서 프랙탈적 형태로 형상화하고 재구성한 다양한 패턴을 창출하였다. 다섯째, 컴퓨터를 통해 작업된 내용을 구현함에 있어 디지털 프린팅 시스템을 활용하였다. 최근 패브릭 디자인 작업에서 그 활용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는 디지털 프린팅 시스템이 섬유산업계에 갖는 의미, 디지털 프린팅 시스템의 특성 및 공정 과정, 디지털 프린팅 시스템을 활용한 날염 작업과 기존의 날염 시스템을 통한 작업에 대한 장, 단점을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디자인 방법론적 측면에서, 과학기술의 발달이 문화, 예술, 정치, 경제, 각 방면에 변화를 일으키고 있는 현 시대의 흐름을 담아 예술과 과학의 상호관계성을 발견하고 적용하면서 시대에 부합하는 과학적인 방법으로 디자인에 접근해야 됨을 알게 되었다. 둘째, 과학이론의 디자인과의 접목이라는 점에서, 프랙탈을 적용한 본 연구의 디자인 접근 방법과 시도는 패브릭 디자인에 적용 가능한 하나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셋째, 컴퓨터를 이용한 디지털 미술은 기술이 지니고 있는 본질적인 특징을 예술의 영역에 도입한다는 방향에서, 작가의 표현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해 줄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컴퓨터 그래픽은 이미지 창조와 변형, 복사 등의 기능적 특징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또한 프랙탈 형태 창출에도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바구니는 형태와 재료의 측면에서 조형적인 표현요소로서, 미학적인 모티브로서의 충분한 조건을 가지며, 프랙탈 개념을 적용하여 다양한 프랙탈 패턴을 창출함에 효과적이었다. 다섯째, 디지털 프린팅 시스템은 고부가가치 제품의 다품종 소량생산 시스템으로, 차별화 된 디자인을 바탕으로 소비자들의 다양한 개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패브릭 디자인을 가능하게 해 주는 대안 가운데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텍스타일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