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수아-
dc.creator김수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1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1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88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99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882-
dc.description.abstract배경: 비만은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C-반응성 단백(이하 CRP)은 심혈관 질환의 독립적 위험인자인 동시에, 비만도 및 지방량, 체중과 관련이 있음이 밝혀져 있다. 외국의 연구에서는 체중 감량이 CRP의 감소를 초래한다는 것이 밝혀진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폐경 전의 한국인 여성을 대상으로, 체중의 감량이 혈중 CRP를 감소시킨다는 것을 12 주간의 전향적인 연구를 통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25세에서 40세 사이의 42명의 폐경 전 한국인 비만 여성(체질량 지수 25.00-47.02 kg/㎡)을 대상으로, 고 민감도 CRP(high sensitivity CRP;이하 hsCRP) 및 혈청지질, 혈당,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량 및 복부 지방량을 측정하였다. 식사 및 운동 요법과 보조적인 약물요법을 포함한 생활 습관 교정으로 12주간 체중 감량을 실시하였다. 첫 4주간은 보조적 약물요법을 시행하였고 나머지 8주간에는 2주 간격으로 식사 및 운동 상담을 실시하였다. 이들 중 36명을 대상으로 3개월 후 이학적 검사 및 신체계측, 비만도와 hsCRP, 지질대사인자 등을 재평가하였다. 대사관련변수 및 혈청 CRP 수치와의 관계를 Spearmann rank 상관계수로 표시하였고, 체중 감량에 따른 CRP의 변화와 대사관련 변수의 변화는 paired t-test 및 Wilcoxon matched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42명의 폐경 전 비만 여성에서, CRP는 체중, 체질량 지수, 체지방량, 복부 피하 및 내장 지방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고밀도 콜레스테롤, 저밀도 콜레스테롤,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이 중 36명이 12주간의 체중 감량 프로그램을 완료하였다. 12주 후의 평균 체중 감량은 7.97±3.46 kg (p<0.0001), 체지방의 감소는 5.29±2.59 kg (p<0.0001), 제지방의 감소는 1.98±1.20 kg(p<0.0001)이었다. 복부 지방의 면적은 피하지방이 49.01±50.76 ㎠(p<0.0001), 내장지방이 21.87±20.38 ㎠(p<0.0001)의 감소를 보였다. 체중 감량 후의 혈중 CRP의 감소는 0.06±0.15 ㎍/㎖였다(체중 감량 전 0.23±0.38; 체중 감량 후 0.18±0.36). 체중 감량(r=0.484, p=0.0028) 및 복부 내장지방의 감소(r=0.338, p=0.0437)가 CRP 감소 정도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건강한 폐경 전 한국인 비만 여성에서 비만 및 지방량은 혈중 CRP의 의미있는 예측인자였다(단면 연구 결과). 12 주간의 식이 조절을 통한 체중 감량 후, CRP의 의미있는 감소를 보였다. 체중의 감소는 CRP 감소에 중요한 중재가 되었고, 건강한 폐경 전 한국인 비만 여성에서 심혈관 보호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Background Obesity has been proposed as a risk factor of cardiovascular disease. Also, CRP has been proposed 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and has been associated with body weight, adiposity and body fatness. It has been known that weight reduction reduce C-Reactive protein. We examined the hypothesis that weight loss would reduce plasma CRP levels in Korean, obese premenopausal women. Methods In a sample of 42 Korean obese(body mass index, 25.00-47.02 kg/㎡), premenopausal(age, 20-48 years) women, we measured hsCRP, plasma lipid profiles, blood glucose, body weight, body mass indexes, body fatness and intra abdominal body fat area. 12-weeks of weight reduction program was conducted in 36 obese women. Fluoxetine 20mg was administered to each one of the group for the first 4 weeks combined with diet and exercise for 12 weeks. When the program finishe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fat distribution, hsCRP, lipid profile test was repeated. Speaman rank correlation coefficients was used to quantify the relations between plasma CRP levels and the metabolic variables. The effects of weight loss on CRP levels were tested by means of paired t-test and nonparametric Wilcoxon matched test. Results We found that plasma CRP level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body weight, body mass index, body fatness, CT-measured abdominal visceral and subcutaneous fat area.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plasma CRP and LDL-cholesterol, HDL-cholesterol,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Thirty-three of 42 obese women tested at baseline completed a 12-week weight loss protocol. The average weight loss was 7.97±3.46 kg (p<0.0001) with loss of fat mass 5.29±0.59 kg, 1.98±1.20kg lean body mass. Visceral and subcutaneous fat areas were reduced by, 21.87±20.38 ㎠, 49.01±50.76 ㎠, respectively. Plasma CRP levels were both positively associated with plasma CRP level reductions. Conclusion Obesity and adiposity were a significant of plasma CRP in Korean premenopausal women on a cross sectional basis. Moreover, 12-week caloric restriction induced weight loss decreased plasma CRP levels. Weight loss may represents an intervention to reduce plasma CRP, and it mediate to reduce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 Korean obese premenopausal wome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배경 = 1 B. 연구목적 = 3 Ⅱ. 연구방법 = 4 Ⅲ. 결과 = 7 A. 기술통계량 = 7 B. 혈장 CRP와 대사인자간의 상관관계 = 7 C. 체중 감량 후의 체질량지수, 지방량 및 지질의 변화 = 8 D. 체중 감량에 따른 CRP의 변화 = 8 Ⅳ. 고찰 = 14 Ⅴ. 결론 = 18 참고문헌 = 19 Abstract = 2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6175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폐경 전 한국인 비만 여성에서 체중 감량에 따른 CRP 변화-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 2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