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7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송주현-
dc.creator송주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1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1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34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96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347-
dc.description.abstract영어 쓰기 교육의 최근 경향은 한 번의 글쓰기로 끝낸 최종 결과물에 대해 한 번의 평가를 받기보다는 최종 수정본이 나오기까지 글을 쓰고 고치기를 반복하는 순환적인 쓰기 활동의 과정 자체에 초점을 두는 과정 중심 접근 방식으로 바뀌고 있다. 과정 중심 쓰기에서 학습자는 글의 주제 선정에서부터 글쓰기를 마칠 때까지 많은 수정의 과정을 거치는데 그 수정 과정에서 교사나 동료 학습자들에게서 받는 적절한 피드백은 학습자가 더 나은 글을 쓸 수 있도록 도울 뿐 아니라 글을 쓰는 방법을 배우면서 자연스럽게 쓰기 능력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결과 중심의 글쓰기보다 더 효과적인 쓰기 접근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작문 과정에서 동료 학습자들 간의 피드백 교환을 통한 수정과정의 가치와 효과는 여러 연구들에 의해 인정받아 왔다. 그러나 작문 수업에서 동료 학습자의 피드백의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교실에서 한정된 시간동안 동료 피드백 교환활동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기 힘들어 피드백 교환활동이 잘 활용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온라인상의 다양한 CMC 도구들을 사용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는데, 최근 다양한 형태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전자 게시판이 동료 피드백 교환활동의 매체로 활용될 수 있다. 비동시성 CMC의 대표적인 도구인 전자 게시판은 문자 중심의 의사소통이 가능하기 때문에 쓰기 학습 활동으로 적합하다. 게다가 사용 시간과 공간이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으며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을 증대시킬 수 있는 좋은 방안으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작문 수업시간에 이루어지는 전통적인 방식인 지면을 통한 피드백 교환활동과 사이버 캠퍼스의 전자 게시판에서의 피드백 교환활동 과정에서 나타나는 피드백의 내용과 동료 피드백 반영률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피드백 교환 매체로서 전자 게시판의 활용가치를 현장 연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 25명이 수강하고 있는 대학 영어 작문 수업에서 11주간에 걸쳐 실시되었다. 학생들은 첫 번째 작문에서는 교실에서 전통적인 방식인 지면 동료 피드백을 제공받아 수정의 단계를 거쳐 글을 완성하였고 두 번째 작문에서는 사이버 캠퍼스의 전자 게시판을 통해 제공받은 동료 피드백을 참고하여 수정의 단계를 거쳐 글을 완성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본 연구자는 보조 교사로 참여하여 학습자들이 교환한 피드백 내용과 수정 과정에서 동료 피드백을 반영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작문 활동이 끝난 후 자가 평가 질문지를 통해 두 가지 피드백 교환활동에 대한 학습자들의 태도 및 반응을 알아보았으며 또 작문 수업을 진행했던 원어민 교사와 심화 인터뷰를 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전통적인 방식인 지면 피드백의 양과 전자 게시판에서 나타난 피드백의 양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전자 게시판에서 제공된 피드백의 양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상위 학습자들은 전자 게시판에서 언어 형태에 대한 피드백, 구성에 대한 피드백, 그리고 정의적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전통적인 방식인 지면에서보다 많이 받았고 하위 학습자들은 모든 유형의 피드백을 전통적인 방식인 지면에서보다 전자 게시판에서 많이 제공받았다. 이것으로 학습자들이 전자 게시판을 통한 피드백 교환활동에서 더 많은 참여를 하였음을 알 수 있었으며 전통적인 방식에서보다 전자 게시판에서 피드백 교환에 더 많은 시간을 소요했다고 설명될 수 있다. 둘째, 학습자들이 글을 수정하는 과정에서 동료 피드백 반영 내용을 분석한 결과, 언어 형태에 대한 피드백 반영률과 구성에 대한 피드백 반영률이 전통적 방식인 지면에서와 전자 게시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전통적인 방식인 지면으로 받은 언어 형태에 대한 피드백 반영률이 더 높았고 전자 게시판에서 받은 구성에 대한 피드백 반영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위 학습자들의 경우 언어 형태에 대한 피드백 반영률은 전자 게시판 상황에서보다 전통적인 방식인 지면에서 더 높았고 구성에 대한 피드백 반영률은 전자 게시판이 전통적인 방식인 지면에서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반면 하위 학습자들의 경우에는 동료 피드백 반영률에 있어서 전통적인 방식인 지면에서와 전자 게시판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한편, 전통적인 방식인 지면을 통한 피드백 교환 후 자가 수정의 비율이 동료 피드백을 반영하여 수정한 비율보다 높았던 반면 전자 게시판에서 피드백 교환 후에는 동료 피드백을 반영하여 수정한 비율이 자가 수정의 비율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다. 셋째, 피드백 교환 매체와는 상관없이 학습자들은 대체적으로 작문 과정에서 동료 피드백 교환활동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었으며 피드백을 주고받는 과정에서 스트레스를 거의 받지 않았다. 또 전체적으로 동료에게 피드백을 주거나 동료에게 받은 피드백을 반영하는데 적극적인 참여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작문 수업을 진행한 원어민 교사와의 인터뷰 결과, 전자 게시판의 활용으로 수업시간을 좀더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었으며 학습자들의 피드백 교환활동을 연습할 기회를 제공하는 도구로서의 전자 게시판의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비동시성 CMC 도구인 전자 게시판을 통한 교환된 동료 피드백들은 수업시간에 전통적인 방식인 지면으로 교환된 지면 피드백들과 질적으로 큰 차이가 없었으며 양적으로는 훨씬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전자 게시판을 활용할 수 있는 간단한 기술적인 지식만으로도 교사는 동료 피드백 교환활동에 소요될 시간을 절약하여 수업시간을 더욱 유용하게 운영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현장 연구의 결과는 피드백 교환 과정에서 학습자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학습자 중심의 교육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도구로서의 전자 게시판의 가치를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교육 현장에 있는 교사들에게 복잡한 기술이 없이도 사용할 수 있는 전자 게시판의 활용이 적극 장려되어져야 하며 또한 교사들은 학생의 언어 능력 수준이나 수업 상황에 맞게 전자 게시판을 비롯한 CMC 도구들을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할 것이다. ;The recent trend in the teaching of writing is process-oriented writing, a teaching method based on constructionism which emphasizes the role of the learner. This method, now recognized to be more effective than product-oriented writing, enables students to improve their writing skills naturally as they learn how to write properly by revising their writing based on feedback. In other words, students go through a cycle of writing and revising, so here the recursive process based on valuable feedback from teachers or peers play an imperative role in enhancing the student’s writing proficiency. The importance and effectiveness of the recursive writing process, or the exchange of feedback among peer learners, have already been recognized through many studies. However, despite the effectiveness of feedback among peers in the classroom, the limited amount of time given in a single class hinders full-fledged peer feedback exchange activity. In order to overcome this impedimen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how the use of various CMC tools, especially the web-based bulletin board, can serve as an efficient medium for peer feedback exchange activities. The fundamental method used for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effectiveness of web-based cyber campus bulletin boards for feedback was action research, comparing the effectiveness of the use of a bulletin boards with that of a traditional mode - written feedback given during class. Twenty-five students in a university English writing class were given writing assignments and observed for 11 weeks. For the first writing assignment, students completed their work through editing based on written feedback received within the classroom. For the second assignment, students were required to complete their work through editing based on peer feedback acquired from the cyber campus web-based bulletin board. Afterwards, students were asked to fill out a self-evaluation questionnaire to find out about their different attitudes and reactions. The native English teacher who instructed the class was also interviewed. The research produced three major results. First, in terms of quantity, the amount of feedback received through the web-based bulletin board was much greater than traditional written feedback. In detail, high-level students received more feedback on surface, structure and affective while low-level students received more feedback in all areas compared to the feedback they received in a traditional situation. Second, the analysis of how feedback was reflected in the completed work showed that there was a noteworthy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ype of feedback and the type of medium the feedback was received through. Feedback on surface had a higher reflection rate when received in a traditional written mode. On the other hand, feedback on structure had a higher reflection rate when received through the web-based bulletin board. However this pattern also varied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student as the difference mainly applied only to high-level students while low-level students had a similar reflection rate regardless of the medium. In addition, in a traditional written mode, self correction rate was higher than corrections made based on feedback from peers but was the opposite when feedback was received through web-based bulletin boards. Third, the medium used for feedback exchange (whether it was traditional written mode or web-based bulletin board) did not affect the students’ attitude. Overall, students were positive toward peer feedback exchange and were not stressed in the feedback exchange process. In fact, students were found to actively participate in giving and receiving feedback with peers. In conclusion, the quality of feedback is the same regardless of whether feedback was received through an asynchronous CMC tool such as the web-based bulletin board or exchanged among peers in a traditional written mode during class, but the web-based bulletin board produced much more in quantity than the other. Therefore, if peer feedback exchange activity takes place on-line through web-based bulletin boards, time can be saved in the classroom. Moreover, it was found that on-line communities and the Internet are already a part of students’ lives so actually students themselves prefer using web-based bulletin boards. The implications of the action research show the value of utilizing web-based bulletin boards as a tool to improve the learning process by inducing more participation in exchanging feedback. It also suggests that more action researches need to be conducted by English teachers to see how different variables affect the effectiveness of the web-based bulletin board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ⅸ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3 1. 과정 중심 쓰기 영어 = 3 1) 과정 중심 접근법 쓰기 = 3 2) 과정 중심 쓰기에서의 수정 과정 = 4 3) 과정 중심 쓰기 접근법과 동료간의 피드백 = 6 2. CMC와 영어 교육 = 8 1) 언어교육에서의 CMC의 활용 = 8 2) 쓰기에서의 전자 게시판의 활용 = 10 3. 현장 연구(Action Research) = 11 1) 현장 연구의 개념 = 11 2) 현장 연구의 절차 = 13 4. 선행연구 = 15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19 1. 연구 문제 = 19 2. 연구 대상 = 20 3. 연구 자료 = 21 1) 피드백 유형 분류표 = 21 2) 수정 사항 분류표 = 22 3) 작문 평가 기준표 = 23 4) 자가 평가 질문지 = 24 5) 원어민 교사와의 인터뷰 질문지 = 25 4. 연구 절차 = 25 5. 연구의 제한점 = 28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30 1. 동료간 교환된 피드백 유형 분석 = 30 1) 전체 학습자 피드백 유형 분석 = 30 2) 작문 능력 수준별 피드백 유형 분석 = 39 2. 수정 과정에서 나타난 동료 학습자의 피드백 반영률 분석 = 42 1) 전체 학습자들의 동료 피드백 반영률 분석 = 42 2) 작문 능력 수준별 피드백 반영률 분석 = 51 3. 피드백 교환 활동에 대한 학습자 반응 분석 = 54 4. 원어민 교사와의 인터뷰 결과 = 60 Ⅴ. 결론 및 제언 = 63 참고문헌 = 67 부록 = 74 ABSTRACT = 8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6003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한국 대학 영어학습자를 위한 과정 중심 쓰기에서 동료 피드백 교환 매체로서의 전자게시판 활용에 관한 현장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i, 8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