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송재민-
dc.creator송재민-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0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0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34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95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344-
dc.description.abstract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는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및 충동성을 주요 특성으로 나타내는 장애이며, ADHD아동들은 학교 환경에서 주의력 결핍으로 인하여 과제에 집중하는데 어려움을 갖고 자주 주의가 흐트러지거나, 과제를 끝맺는데 어려워하는 등 학업수행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선행연구들은 ADHD아동의 과제 수행 증진을 위하여 환경자극을 풍부히 할 것을 제안하였고, 시각적 자극의 하나인 색자극 단서 조건에 따라 ADHD아동과 일반아동간의 과제 수행율의 차이가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반응 정확성과 반응 시간 측면에서 색자극 유무와 자극 제시 순서에 따른 ADHD아동과 일반아동간의 철자기억과제 수행을 비교하여 봄으로써, ADHD아동과 일반아동의 수행 수준을 살펴보고, 각 아동에게 적합한 색자극 단서 조건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교육현장에서 아동특성에 따른 과제에 대한 적절한 색자극 단서의 실제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서울 시내 초등학교 3학년 ADHD아동 20명과 이들과 철자 인지 수준을 일치시킨 1학년 일반아동 2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도구는 일반적으로 철자오류를 범하기 쉬운 단어 100개로 작성된 단어 카드였으며, 단어 카드는 색자극 단서가 첨가된 색자극 카드 50개와 색자극 단서가 첨가되지 않은 무자극 카드 50개의 두 가지 유형으로 제작되었다. 각 단어에 맞는 정답보기와 철자오류를 보이는 오답보기로 이루어진 보기카드 100개가 실험에 사용되었다. 실험은 아동에게 철자오류를 범하기 쉬운 단어를 제시한 후 보기카드에서 정답보기를 고르게 하는 방법으로 전기 색자극 조건과 후기 색자극 조건에서 이루어졌으며, 모든 아동은 두 가지 조건의 실험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서 집단간과 조건간 차 및 상호작용을 검증하기 위해 사용한 통계적 설계방안은 Split-Plot 2.22 ANOVA였다. 반복측정요인은 색자극 유무와 자극 제시 순서이며, ADHD아동 집단과 일반아동 집단에게 반복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0.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반응 정확성과 반응 시간에서 각각 반복 측정에 의한 삼원변량분석(2×2×2)으로 처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반응 정확성에 관한 결과로부터, 첫째, ADHD아동 집단과 일반아동 집단간의 반응 정확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색자극 조건과 무자극 조건간의 반응 정확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무자극 조건보다 색자극 조건에서의 반응 정확성이 높았다. 셋째, 전자극 조건과 후자극 조건간의 반응 정확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전자극 조건보다 후자극 조건에서의 반응 정확성이 높았다. 넷째, 반응 정확성과 관련하여 각 변인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집단·색자극 유무, 색자극 유무·자극 제시 순서간에서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집단·자극 제시 순서 및 집단·색자극 유무·자극 제시 순서에서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ADHD아동 집단은 전·후무자극과 전색자극 조건보다 후색자극 조건에서의 반응 정확성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아동 집단은 전·후무자극 조건보다 전·후색자극에서 유의하게 높은 반응 정확성을 보였고 전색자극 조건과 후색자극 조건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반응 시간에 관한 결과로부터, 다섯째, ADHD아동 집단과 일반아동 집단간의 전체 반응 시간(정반응 & 오반응)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일반아동 집단보다 ADHD아동 집단이 더 빠른 전체 반응 시간을 보였다. 정반응 시간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일반아동 집단보다 ADHD아동집단의 정반응 시간이 유의하게 빨랐다. 여섯째, 색자극 조건과 무자극 조건간의 전체 반응 시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무자극 조건보다 색자극 조건에서의 전체 반응 시간이 유의하게 빨랐다. 정반응 시간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무자극 조건보다 색자극 조건에서의 정반응 시간이 유의하게 빨랐다. 일곱째, 전자극 조건과 후자극 조건간의 전체 반응 시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정반응 시간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여덟째, 전체 반응 시간과 관련하여 집단, 색자극 유무, 자극 제시 순서간에 어떠한 상호작용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정반응 시간과 관련하여 집단·색자극 유무간에 유의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즉, ADHD아동 집단은 무자극 조건보다 색자극 조건에서 정반응 시간이 유의하게 빨랐으나, 일반아동 집단은 색자극 조건과 무자극 조건간의 정반응 시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반응 정확성 측면에서는 ADHD아동 집단은 후색자극 조건에서 가장 높은 반응 정확성을 보인 반면, 일반아동 집단은 전색자극 조건과 후색자극 조건 모두에서 유의하게 높은 반응 정확성을 보였다. 이는 일반아동 집단은 과제 초기부터 단서를 이용하여 과제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과제 전기에 단서가 제공되었을 때 과제 수행이 증진될 수 있는 반면, ADHD아동 집단은 연습기회가 주어진 후 후기에 단서가 제공되어야 그 단서를 이용하여 과제 수행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반응 시간 측면에서는 일반아동 집단보다 ADHD아동 집단의 전체 반응 시간이 빨랐고, 두 집단 모두 색자극 조건에서 전체 반응 시간이 빨랐다. 이 결과를 두 집단간의 반응 정확성에서의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과 정반응 시간 분석에서 일반아동 집단보다 ADHD아동 집단의 정반응 시간이 빨랐던 것과 연관하여 볼 때, 전체 반응 시간이 빨랐던 것은 ADHD아동의 특성인 충동적 성향에 의한 것이라기 보다는 색자극 조건이 정확한 반응과 함께 빠른 반응을 야기시켜 과제 수행을 증진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색자극 단서 조건이 아동의 과제 수행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본 연구 결과는 색자극 단서를 각 아동의 특성에 맞도록 일반아동에게는 과제 전기에, ADHD아동에게는 과제 후기에 제공하는 교수전략의 교실 내 적용 가능성을 시사해 준다고 하겠다. ;According to optimal stimulation theory, it was suggested that color stimulation cue was used for improving task performance of children with ADH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pelling memory task performance in color stimulation cue conditions between children with ADHD and those without ADHD. For this purpose, twenty 3rd grade boys with ADHD and twenty 1st grade boys without ADHD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spelling level.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with the spelling memory task performance in early color condition(color added early to relevant letters) and late color condition(color added late to relevant letters). The comparison of task performance with three independent variables(group, color stimulation, and stimulation order) was made with respect to mean response accuracy and mean response time.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by three-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Split-Plot 2.22) on two factors(color stimulation and stimulation or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In terms of response accuracy, 1.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children with ADHD and those without ADHD in the number of correct response. 2.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color stimulation condition and non-color stimulation condition. All children made significantly more correct responses in color stimulation condition than in non-color stimulation condition. 3.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early stimulation condition and late stimulation condition. The number of correct responses of childre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late stimulation condition than in early stimulation condition. 4. a significant interaction was found among group, color stimulation, and stimulation order. The number of correct responses of children with ADH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late color stimulation condition than in other conditions, while that of correct responses of children without ADHD was high in both early and late color stimulation conditions. No other significant interaction was found. In terms of response time, 5.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in response time. Children with ADHD were faster than those without ADHD in response time. 6.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color stimulation conditions. All children took longer to respond in non-color stimulation condition than in color stimulation condition. 7.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wo stimulation orders. 8. no significant interaction was found among group, color stimulation, and stimulation order. Based on the results mentioned above,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color stimulation cue improved the spelling memory task performance of children involved in this study, and that the color stimulation cue is possible to be used in regular classrooms to improve task performance in early color stimulation condition for children without ADHD, but in late color stimulation condition for children with ADH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5 C. 용어 정의 = 6 II. 이론적 배경 = 9 A.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의 개관 = 9 1. ADHD의 정의 및 출현율 = 9 2. ADHD의 역사적 배경 = 10 3. ADHD아동의 행동특성 = 11 4. ADHD의 원인모형 = 14 B. 색자극 단서 조건 = 20 1. 색자극 단서 조건의 개념 = 20 2. 색자극 단서 조건의 제시 순서 = 21 C. ADHD아동의 과제 수행 특성 = 23 1. 반응 정확성 = 24 2. 반응 시간 = 25 D. 색자극 단서 조건에 관한 선행 연구 = 26 III. 연구방법 = 33 A. 연구 대상 = 33 B. 연구 도구 = 36 C. 연구 절차 = 40 D. 자료 분석 = 44 IV. 연구 결과 = 45 A. 반응 정확성 분석 결과 = 45 B. 반응 시간 분석 결과 = 52 V. 논의 및 제언 = 61 A. 논의 = 61 B. 제한점 = 67 C. 제언 = 68 참고문헌 = 69 부록 = 76 ABSTRACT =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6995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색자극 단서 조건에 따른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철자기억과제 수행 비교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i, 8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