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진아-
dc.creator정진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9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9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59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95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59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보다 행동 발달면에서 지각능력이 충분히 발달하지 못한 아동의 미적이고 안전성을 겸비한 아동복을 개발하는 것이다. 우선 반사안전소재의 생산품목과 매출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현재 반사안전소재를 생산, 공급하고 있는 업체 2곳의 담당자와 직접 면담조사를 하였다. 조사결과 생산, 공급하고 있는 품목은 반사원단, 반사필름, 반사비닐, 반사잉크, 반사실, 반사지퍼, 반사 웨빙테잎(webbing tape), 반사스트링(string), 반사파이핑(piping), 열전사 라벨 등이었다. 아동복에 공급하는 물량은 전 매출의 20%이하였으며 스포츠웨어 브랜드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즉, 현재 반사 안전소재가 아동복에 적용되는 경우는 미미하여 안전성을 중요시하는 아동복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반사 안전소재 아동복에 대한 착용실태와 인지도, 요구사항을 조사하기 위해 아동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반사안전소재가 적용된 아동복 착용빈도는 미미하였으며, 반사안전소재에 대한 인지도가 거의 없는 실정이여서, 아동의 안전을 위한 아동복 개발에 높은 호응도를 보였다. 안전성의 목적에 부합하는 아동복을 개발하기 위해 위치, 동작별로 가시성 착의실험을 하여 가시성이 좋은 신체부위를 평가하였다. 가시성 실험은 정면, 측면, 후면의 세 위치에서 각기 서있는 자세, 걷는 자세, 뛰는 자세를 취하게 하였고 평가부위는 상의는 네크라인, 어깨, 진동, 가슴, 옆선, 밑단, 팔꿈치, 소매단, 소매옆선의 9부위와 하의는 엉덩이, 허벅지, 무릎, 밑단, 옆선의 5부위를 평가하였다. 착의실험 결과 정면과 후면은 가슴(등) 부위, 진동 부위, 팔꿈치 부위가 가시성이 높게 평가되었으며 측면은 가슴 부위와 소매옆선 부위가 우월하게 평가되었다. 위치별 가시성 평가결과는 서있는 자세, 걷는 자세, 뛰는 자세 모두 가슴(등) 부위와 진동 부위, 팔꿈치 부위가 우수하였다. 하의에서 동작별 가시성 평가 결과, 정면과 후면은 무릎부위, 엉덩이부위, 허벅지부위가 높게 평가되었으며 측면은 무릎부위와 옆선부위로 결과를 보였다. 심미적이고 안전성을 최대한 적용한 아동복을 개발하기 위해 선호 아이템인 점퍼와 트레이닝복에 위의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4가지 형태의 연구의류를 개발하였다. 첫째, 반사실을 적용한 남아점퍼는 가슴부위와 등부위, 팔꿈치 부위에 반사실을 적용하고 더욱 효과를 주기위해 부자재를 반사지퍼로 구성하였다. 둘째, 진동부위, 밑단부위, 소매 옆선부위, 소매단 부위에 반사원단을 적용한 여아점퍼를 가시성이 좋게 구성하였다. 셋째, 동작활동성이 좋은 라글란 소매에 가슴과 등부위, 무릎부위에 동일성을 주어 문양을 제작한 반사필름을 적용한 남아 트레이닝복을 구성하였다. 넷째, 반사 웨빙테잎을 적용한 여아 트레이닝복은 가슴부위, 무릎부위와 옆선부위가 접목되는 부위를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디자인을 구성하고 제작하여 가시성실험과 외관실험을 하였다. 가시성 실험결과는 네가지 형태 모두 높은 가시성을 보여 적합한 위치에 효과적으로 구성하였음을 보여주었고 반사문양이나 절개의 형태, 크기 모두 좋은 결과를 보이며, 소재의 선택, 전체적인 외관에서 좋은결과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아동의 안전을 최대한 보장하면서 외적으로도 심미적인 아동복을 개발하였다.;Childrens wear needs extra safety precaution to avoid unexpected dangers. On the way to school, children are open to traffic very often. Especially in early morning or late evening, or in dark cloudy day, they might be unrecognized by drivers within safe dist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various ways of applying safety reflector to childrens wear as a means of high recognition, which can protect children from traffic accidents.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as follows:- 1. It is studied by interview with the reflector manufacturer that how Reflective and Reflecxite reflect lights to the light source, what kind of safety reflector products are available, and how these materials are being used in clothing industry. 2. Interview with mothers of primary school children was carried out to find out what they think about the effect of safety reflector, the need of the clothing using safety reflector and design preferences. Apparently the need seems obvious, if the price is appropriate. 3. In order to apply safety reflector efficiently, the position of high recognition from the light source have to be figured out. The field test using car light in the darkness was done to compare the efficiency depending on various position. Chest, armhole and elbow for shirts, knee, hip and thigh for pants appear right positions to apply safety reflector. 4. Shirts, pants and jumpers for both girls and boys of 8 years old were designed as a case study of applying safety reflector to clothing. Reflective fabric, trim, stripe, piping, film, vinyl, ink, thread, zipper, label, weaving tape and many other reflective products were used. The designs were verified through wearing tes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반사 안전소재에 대한 고찰 = 4 B. 반사 안전소재의 특징 = 7 C. 반사 안전소재의 종류 = 9 D. 반사 안전소재의 용도 = 15 E. 아동복의 구성방법 = 21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25 A. 반사 안전소재 생산업체 현황 조사 = 27 B. 반사 안전소재에 대한 인지도 조사 = 27 C. 위치·동작별 가시성 실험 = 28 D. 연구의류 제작 및 착의실험 = 35 Ⅳ. 연구결과 및 고찰 = 43 A. 반사 안전소재 생산업체의 조사결과 = 43 B. 반사 안전소재의 인지도 조사결과 = 44 C. 위치·동작별 가시성 평가 결과 = 49 D. 연구의류 개발 = 63 Ⅴ. 결론 및 제언 = 88 A. 결론 = 88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 90 참고문헌 = 91 Abstract = 94 부록 = 9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0723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재귀반사 안전소재를 활용한 아동복 개발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iv, 10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직물학과-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