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99 Download: 0

제7차 고등학교 프랑스어 교과서의 문화 비중 분석

Title
제7차 고등학교 프랑스어 교과서의 문화 비중 분석
Authors
이현주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불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언어는 인간의 사회생활을 가능하도록 해주는 기본 수단이며, 의사소통 상황에서 복잡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문화와 결합된다. 그러므로 외국어 학습에서 문화교육은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 나라 제2 외국어 교육 현장에서는(특히 프랑스어, 독일어 등 유럽어권)학생들이 목표어 환경에 쉽게 접해보지 못할 뿐 아니라, 원어민(학습자의 목표 외국어를 모국어로 쓰는 사람들)과의 만남을 통해서 목표어를 구사할 기회가 극히 적어, 목표어를 배우는 현장에서조차 문화적 의미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 따라서, 우리의 현실은 외국어 교육에 있어서 문화교육의 중요성을 간과하는 문제를 야기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이라도 하듯, 제7차 프랑스어 고등학교 교육과정은 이전의 교육과정과는 달리 문화를 독립된 하나의 항목으로 신설하여 문화의 비중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그렇다면 실제로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프랑스어 교과서 는 프랑스 문화교육의 비중을 높였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제7차와 제6차 교과서를 본문, 문화 설명란, 사진과 실재자료로 나누어 비교·분석해 보았고, 이와 더불어 평가부분이라 할 수 있는 최근 4년간의 수능기 출문제에 나타난 문화항목도 분석해 보았다. 이와 같은 내용을 통해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교과서의 본문 부분에서는 제7차 교과서가 제6차 교과서와 비교하여 문화량이 줄었다. 둘째, 교과서의 문화 설명란 부분에서는 제7차 교과서가 제6차 교과서와 비교하여 문화량이 늘었다. 셋째, 교과서의 사진과 실재자료 부분에서는 제7차 교과서가 제6차와 비교하여 문화량이 늘었다. 넷째, 제6차 교육과정의 수능기출문제에서는 전제 문제의 10%가 문화문제에 해당하였다. 이와 같은 결론을 토대로 우리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제6차 교과서와 비교하여 제7차 교과서에서는 문화 설명란, 사진과 실재자료부분에서 문화량이 증가하였지만 가장 중요한 본문에서 문화량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결론적으로는 문화량이 증가하였다고 말하기 힘들다. 이러한 본문의 문화량의 감소는 제6차 교과서의 단어수에 비해 제7차 교과서의 단어수가 감소한 것과 상관이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문화량을 증가하기 위해서는 어휘수의 증가가 요구된다. 한편 제한된 지면과 어휘 그리고 시간을 고려해 볼 때, 한국 문화의 소개보다는 프랑스 문화를 조금이라도 더 많이 소개하는 것이 프랑스어 교육에 효과적일 것이다. 교사의 역할에서는 본문의 문화량이 줄어든 만큼, 제7차 교과서에서 증가된 문화 설명란, 사진 그리고 실재자료를 적절히 활용해야 할 것이다.;La langue est ve´ritablement un tre´sor culturel. De ce point de vue, la culture est tre`s importante dans l'enseigenment de la langue e´trange`re. Donc, il faut introduire et traiter se´rieusement les e´le´ments culturels dans une classe franc¸aise, cependant tre`s peu de travaux syste´matiques lui ont e´te´ consacre´s, tant sur le plan de la recherche que sur celui de la production pe´dagogique. Heureusement la septie`me re´forme du programme pe´dagogique a cre´e´ le contenu et l'objetif de la culture dans les objetifs d'enseignement pour intensifier l'enseignement de la culture. Nous avons alors re´flechi si la charge culturelle de franc¸ais a e´te´ augmente´e dans les manuels de franc¸ais de la septie`me re´forme du programme pe´dagogique(lyce´es). Pour le faire, nous avons tout d'abord e´tudie´ les the´ories relatives au domaine culturel et le concept de 'Charge Culturelle Partage´e'. Ensuite nous avons analyse´ et compare´ la charge culturelle et les contenus de la culture dans les manuels de franc¸ais selon la sixie`me re´forme et la septie`me re´forme du programme pe´dagogique. Puis nous avons choisi les textes, les colonnes de l'explication en ce qui concerne de la culture, les photos et les documents authentiques pour analyser les contenus culturelles et la charge culturelle de la culture. Pour finir, nous avons analyse´ les questions concernant la culture dans les examens d'entre´e a´l'universite´, c'est-a`-dire 'Su-Neung' dans les quatre dernie`res anne´es. Les conclusions tire´es ont e´te´ les suivantes. Premie`rement, la charge culturelle dans les textes des manuels de franc¸ais selon la septie`me re´forme du programme pe´dagogique a e´te´ diminue´e en comparaison de la sixie`me re´forme du programme pe´dagogique. Deuxie`mement, la charge culturelle dans les colonnes de l'explication culturelle, les photos et les documents authentiques des manuels de franc¸ais selon la septie`me re´forme du programme pe´dagogique a e´te´ augmente´e en comparaison de la sixie`me re´forme du programme pe´dagogique . Trosie`mement, les questions de la culture est 30% dans 'Su-Neung'. C'est a´partir de ces donne´es que nous avons formule´ la proposition suivante. Bien que la charge culturelle dans les colonnes de l'explication culturelle, les photos et les documents authentiques des manuels de franc¸ais selon la septie`me re´forme du programme pe´dagogique a e´te´ augmente´e, nous ne pouvons pas dire que la charge culturelle a e´te´ augmente´e totalement dans la septie`me re´forme du programme pe´dagogique. Parce que la charge culturelle des textes est la plus importante, mais elle a e´te´ diminue´e dans la septie`me re´forme du programme pe´dagogique. C'est peut-e^tre a´cause de la diminution des vocabulaires dans la septie`me re´forme du programme pe´dagogique en comparaison de la sixie`me re´forme du programme pe´dagogique. Donc il est necessaire de reconside´rer la diminution des vocabulaires pour l'ensignement de la cul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불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