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하지연-
dc.creator하지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7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7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94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94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94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인 여가스포츠활동 참여자의 여가태도, 여가기능, 몰입경험과 여가스포츠활동 관여도와 참여정도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3년 서울시 소재 직장인(사무직 근로자)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20개의 직장을 무선으로 선정하였다. 표집방법으로는 무선집락표집을 이용하여, 사무직 근로자 총 1500명을 표집하였다. 이 중 실제 분석에 사용된 연구대상은 총 450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직장인 여가스포츠활동 참여자의 여가태도, 여가 기능, 몰입경험과 여가스포츠활동 관여도와 참여정도의 관계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여가태도척도(Leisure Attitude Scale : LAS)", "여가기능척도 (Leisure Diagnostic Battery : LDB)", "몰입경험 척도 (Flow Experience Scale :FES)", "관여도 척도(Consumer Involvement Profile : CIP)","여가스포츠활동 참여척도(Leisure Sports Participation Scale : LPS)"를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한 주요 통계기법은 단순빈도, 신뢰도 분석 및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과 중다회귀분석, 그리고 LISREL을 이용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첫째, 직장인 여가스포츠활동 참여자의 여가태도와 몰입경험은 관여도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여가기능은 관여도에 대해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각 변인의 관여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상대적 크기는 여가기능< 몰입경험 < 여가태도 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가스포츠활동 관여도는 참여정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장인 여가스포츠활동 참여자의 여가태도와 관여도는 참여정도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여가기능과 몰입경험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가스포츠활동 참여정도에 대한 여가태도, 여가기능, 몰입경험의 효과에 대하여 관여도가 매개역할을 하지 않았다. 셋째, 여가스포츠활동 관여도를 독립변수로 재구성하여 각 변인과 참여정도의 관계에 대해 검증한 결과, 여가스포츠활동 참여정도에 대하여 여가태도와 관여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여가기능과 몰입경험은 유의하지 않은 변인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여가기능과 몰입경험, 각각의 변인과 참여정도의 상관관계를 고려할 때, 여가기능과 몰입경험이 여가태도와 여가스포츠활동 관여도를 매개로 하여 참여정도에 미치는 간접효과를 가지는 모형을 상정할 수 있다. 이러한 수정된 제안모형과 참여정도에 대한 여가기능의 직접적 효과를 경로로 설정하는 경쟁모형과의 비교결과, 본 연구에서는 경쟁모형을 최종 연구모형으로 설정하였다. 최종 연구모형에 대한 분석결과, 직장인 여가스포츠활동 참여자의 경우, 여가태도가 참여정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관여도, 여가기능의 순으로 참여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가스포츠활동 관여도 변인이 여가태도, 여가기능, 몰입경험과 참여정도의 관계에 대하여 매개역할은 하지 않지만, 참여정도에 대하여 여가태도 다음으로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장인의 일반적 특성 (성별, 연령, 수입)에 따른 여가태도, 여가기능, 몰입경험과 여가스포츠활동 관여도와 참여정도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남성 직장인의 경우 여가태도, 여가기능, 여가스포츠활동 관여도 변인이 모두, 여성 직장인의 경우 여가태도 변인만이 여가스포츠활동 참여정도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에 따른 분류에서,20대 직장인은 여가태도, 여가스포츠활동 관여도 변인이, 30대 직장인의 경우 여가태도, 여가기능, 여가스포츠활동 관여도 변인 모두, 40세 이상 직장인의 경우에는 여가기능 변인만이 여가스포츠활동 참여정도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에 따른 분류에서는 월수입200만원 이하의 그룹의 경우, 여가태도와 여가스포츠활동 관여도 변인이, 월수입 200만원 이상의 그룹에서는 여가태도, 여가기능, 여가스포츠활동 관여도 변인이 모두 참여정도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가 기능의 경우, 연령에 따라 여가스포츠활동 참여정도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른 여가기능의 차이는 연령의 효과가 개입된 동시에 성별의 효과로 인한 여가기능의 차이이며, 수입에 따른 여가기능의 차이는 순수 수입에 의한 차이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socio-psychological variables(leisure attitude, leisure function, experience of absorption), involvement, and degree of participation in leisure sports of white color worker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hite color workers who were working in a company located in Seoul, were selected as population of this study. After selecting 10 companies randomly, by using random cluster sampling method, 500 white color were sampled for this study. A total of 450 subjects were used for employee data analysis.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Leisure Attitude Scale(LAS), Leisure Diagnostic Battery(LDB), Modified Consumer Involvement Profile(CIP), Participation in Leisure Sports Scale(PLSS). To analyze data, multiple regression and path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leisure attitude and experience of absorption of participants in leisure sports influenced the degree of involvement with p<.05. However, there was not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function and involvement. Also, degree of involvement was effected by leisure function, experience of absorption, and leisure attitude respectively. Second, leisure attitude and degree of involvement of participants in leisure sport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degree of participation with p<.05. However, leisure function and experience of absorption were not significant variables with the degree of participation. Third, it was founded that the degree of involvement was not a mediator between degree of participation and leisure attitude, leisure function, and experience of absorption. Therefore, results after restructuring the degree of involvement as an independent variables showed that leisure attitude and the degree of involvement were significant variables influencing the degree of participation, while leisure function and experience of absorption were not. However, considering correlations between leisure function and experience of absorption, and each variable and the degree of participation, a model was set that leisure function and experience of absorption influenced the degree of participation mediated by leisure attitude and the degree of involvement. Results of comparison between modified model mentioned above and competitive model that showed a direct effect of leisure function to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dicated that the competitive model was more suitable in this study. It was finally found that established after analyzing the final model, leisure attitude, degree of involvement, and leisure function respectively influenced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other words, although the degree of involvement was not a mediator between social-psychological variables of leisure, it was a variable that influenced the degree of participation next to leisure attitude. Forth, after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psychological variables of leisure with demographic characteristics(gender, age, and income) and the degree of involvement, and the degree of participation, all social-psychological variables for male workers and only leisure attitude for female worker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degree of participation with p<.01. Also, leisure attitude, and the degree of involvement for age of 20's, all social-psychological variables for 30's and 40's subjects, and leisure function for age of over 40'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degree of participation with p<.01. In terms of income, leisure attitude and the degree of involvement for the group of under ₩2,000,000 income, and all social-psychological variables for the group of over ₩2,000,000 incom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degree of participation with p<.01.-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6 C. 연구변인 및 가설 = 7 1. 연구변인간 관계에 대한 이론적 모형 = 7 2. 연구가설 = 8 D. 용어의 정의 = 10 E. 연구의 제한점 = 11 Ⅱ. 이론적 배경 = 12 A. 직장인과 여가 = 12 1. 직장인의 여가 = 12 2. 직장인의 여가에 관한 선행연구 = 14 B. 여가스포츠활동 참여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 16 1. 여가태도 = 18 2. 여가기능 = 23 3. 몰입경험 = 27 4. 여가스포츠활동 관여도 = 34 Ⅲ. 연구방법 = 39 A. 연구대상 = 39 B. 측정도구 = 40 C. 조사절차 및 자료처리 = 49 Ⅳ. 결과 = 51 A. 여가태도, 여가기능, 몰입경험 및 여가스포츠활동 관여도와 참여정도의 관계 = 51 B. 여가스포츠활동 관여도의 매개역할 검증 결과 = 59 C. 연구모형의 재구성 및 검증결과 = 69 D. 직장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여가태도, 여가기능, 몰입경험 및 여가스포츠활동 관여도와 참여정도의 관계 = 81 Ⅴ. 논의 및 결론 = 119 A. 논의 = 119 B. 결론 = 131 참고문헌 = 135 부록 = 148 ABSTRACT = 15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8774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직장인 여가스포츠활동의 참여요인 구명을 위한 탐색적 분석-
dc.typeDoctoral Thesis-
dc.format.pagexiv, 160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체육학부체육학전공-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