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4 Download: 0

청년실업 장기화에 따른 고학력자의 진로행동에 관한 연구

Title
청년실업 장기화에 따른 고학력자의 진로행동에 관한 연구
Authors
유은정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the social tendency of high-educated people's career behavior and the influence of social structure over their career behavior. First of all, in order to look into the influence, this study saw the process that the chronic youth unemployment has become the structural conditions of labor market. And this study constructs investigation model based on nine factors of self-efficiency, achievement motivation, anxiety as psychological dimension factor, influence of significance, career search supporting system of the graduated college, social policy as environmental dimension factor, sex, economic level of domestic, a graduated college as population sociological background dimension factor. This study analyzes organization of high-educated people's career behavior through the upper model. To investigate career behavior of high-educated people, th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ver 15 job seekers among high-educated people. Major findings are summarized in the below. The tendency of high-educated people's career behavior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weak conditions of labor market caused situations that high-educated youth job seekers went into precarious position as a first workplace. After the impatient entrance into the company, some people got out of their jobs voluntarily in order to have the better employment. Others changed their jobs frequently, therefore they made wasteful work record. Secondly, high-educated youth experienced the chronic duration of seeking work. That term was self-compromised time without intention to face up to reality about labor demand and to mediate their own career decision and self-developed time to develop their capabilities for their career. Lastly, high-educated youth had double expectations to adjust to career decision. They did not abandon their career expectations concerning a college graduate's traditional job, 'decent job' and they adjusted to career decisions made by experiencing conflict between social restriction and career decision. High-educated youth job seeker's career behavior is constructed as one organization through nine factors of self-efficiency, achievement motivation, anxiety as psychological dimension factor, influence of significance, career search supporting system of the graduated college, social policy as environmental dimension factor, sex, economic level of domestic, a graduated college as population sociological background dimension factor. Frist, the youth with low self-efficiency because of high approachable barrier of labor market mediated their career decisions for their employment. And the youth who had experienced partially rising self-efficiency because of partial entrance into labor market chose the chronic duration of seeking work or went to work to correspond with career expectations. The youth with low self-efficiency made by self-evaluation abou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ere employed into uncertain position in case of the people who didn't make career decision or chose to wait more time for secure position in case of the people who had fixed career decision. Second, high-educated youth who had definite achievement goal experienced that achievement motivation became weakened because of repetitive failure to get a job and the failure influenced their career decisions. On the other hand high-educated youth who had definite achievement goal and experienced partial success in labor market experienced that achievement motivation became strengthened and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ecame more enthusiastically. And the youth with uncertain achievement goal or skeptic attitude of achievement goal experienced that achievement motivation was not been changed particularly and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passive. Third, anxiety caused a variety of body symptoms to the youth job seeker. In case of people with high anxiety level, they chose career without careful consideration and made frequent labor mobility career according to employment into uncertain position. Proper anxiety level provided tension with the youth and encouraged the youth to have positiv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people with low anxiety level, they tended to have passiv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case of people with excessive anxiety, obstacles of career behavior were occurred. Fourth, family offered mental and physical stability to the youth job seeker, or added psychological burden to high-educated youth through excessive concern and anxiety about employment. And Family involved in career decision making directly. In addition, family's career of labor influenced formation of recognition about labor. Opposite sex companion offered a escape as a marriage. Friends who already got job were a factor as a psychological burden for the unemployed youth. And colleagues and seniors who had prepared same career played a supporting role on career decision. Fifth, career search supporting system of the college failed to offer enough information to the youth positively and to connect a college graduate to labor market. Since there was a disparity of employ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college ranks, structure of entrance according to college ranks had become strengthened. In order to overcome such problems, the youth utilized private ways to obtain information. Also manpower career supporting system was not used especially. Sixth, generally, level of using social policy was not high. Government's unemployment policy such as IT education to solve disproportion of labor supply-demand, helping for the youth to find employment into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nd the internship system were considered as dissatisfactory alternative plan not to reflect high-educated people's career expectations. Also supporter roles in administration were considered as a temporary expedient not to help the youth to get into stable position. High-educated youth job seekers hoped that government provided more essential policy for the youth unemployment. Seventh, in case of the youth who want to have a job with extreme separation of occupational category by sex distinction, they didn't experience distinction of career behavior by sex distinction. However in case that female job seekers wanted to be employed in a large enterprise, most of them experienced high entrance barrier with overlapping hardship of seeking work and sex distinction. It became a factor for them to change their career decisions. Such female job seekers decided to be a government officer or to get into public enterprise, which have relatively lower discrimination between male and female. Male also didn't deny male's predominance on the labor market. Male job seekers thought that they had to try more than female to have more competitive edges. Eighth, the youth with stable economic level of domestic kept their career decision so chose the chronic duration of seeking work. But the youth with both unstable economic level of domestic and not enough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hose career without careful consideration and made unstable work record. In case of the youth who had responsibility for economic of domestic but precede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employment was able to be employed into stable position quickly. Ninth, a large enterprise in general premised entrance structure of labor market based on college ranks. Therefore the youth with failure of employment by college ranks had downward career decision and chose to go to the position which had less discrimination. High-educated youth who ware able to use college ranks positively kept their career decision and tended to choose the chronic duration of seeking work in order to be employed into 'decent job' they wanted. ;본 연구는 청년실업이 장기화 되어감에 따라 개인적 차원의 여러 요인들을 통해 고학력자의 진로행동이 어떠한 경향을 드러내는지에 주목한다. 청년실업을 경험하고 있는 행위자 중심의 연구를 통해서 사회구조적 조건이 개인에게 어떠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개인은 그러한 사회구조적 조건과 어떠한 상호작용을 하고 사회적 의미를 생산해 내는지 그 과정을 보다 역동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청년실업의 장기화가 노동시장의 구조적인 요건으로 자리 잡아 온 과정을 먼저 살펴보고 그와 같은 노동시장 환경에 따라 고학력자의 진로행동이 심리적 차원 요인, 환경적 차원 요인, 인구 사회적 배경 차원 요인을 통해 어떠한 영향을 받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심리적 차원 요인으로는 자기효능감, 성취동기, 불안수준, 환경경적 차원의 요인으로는 중요한 타인의 영향력, 출신학교의 진로탐색지원, 사회정책, 인구사회학적 배경 차원의 요인으로는 성별, 가정경제수준, 출신대학의 9가지 요인을 토대로 하여 진로행동 모형을 설정하고, 그를 중심으로 고학력자의 진로행동 체계를 분석했다. 본 연구는 청년실업이 장기화됨에 따른 고학력자의 진로행동을 분석하기 위해 청년실업의 구체적인 현황 및 원인에 대한 연구를 선행하였고, 고학력 청년 구직경험자 1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고학력자의 진로행동은 다음과 같은 경향을 띠고 있었다. 첫째, 노동시장의 열악한 상황은 고학력 청년구직자들이 불안전한 첫 일자리로 진입을 하게 했다. 그와 같은 성급한 입직 이후 일부는 더 낳은 일자리로의 이동을 위해 자발적으로 노동시장을 이탈하고 있었고, 일부는 잦은 노동이동과 그로 인한 소모적인 노동경력을 형성하고 있었다. 둘째, 고학력 청년층은 구직기간의 장기화를 경험하고 있었다. 그와 같은 장기화되는 구직기간은 노동수요에 대한 현실을 직시하고 진로의사를 조정해 가는 의도하지 않는 자기 타협의 시간이자 자신의 능력개발을 위한 자기 성장의 시간이었다. 셋째, 고학력 청년구직자들은 눈높이 조절에 대한 이중적 기대를 가지고 있었다. 전통적인 대졸자의 괜찮은 일자리에 대한 포기할 수 없는 진로기대 가진 동시에 사회적 제약과 그로 인한 눈높이 사이의 갈등을 경험하며 진로의사를 조절하기도 했다. 고학력 청년구직자들의 진로행동은 심리적 차원 요인인 자기효능감, 성취동기, 불안, 환경적 차원 요인인 중요한 타인의 영향력, 출신학교의 진로지원체계, 사회정책, 인구사회학적 배경 차원 요인인 성별, 가정경제수준, 출신대학의 9가지 요인을 통해 다음과 같은 영향을 받으며 하나의 체계로 구성되고 있었다. 첫째, 노동시장의 높은 진입장벽에 의해 낮은 자기효능감을 경험한 청년층은 눈높이를 조절하여 취업을 하고 있었다. 또한 부분적인 노동시장 진입에 성공한 청년층은 자기효능감의 부분적 고취를 경험하며 구직기간의 장기화를 선택하거나 진로기대와 일치하는 곳으로의 취업을 해나갔다. 그리고 구직행위 이전의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자기평가에 의해 낮은 자기효능감을 갖게 된 고학력 청년층은 진로미결정일 경우 불안전 취업을 했고, 진로의사가 확고한 청년층의 경우 구직기간은 장기화되고 있었다. 둘째, 성취목표가 명확한 고학력자들이 노동시장에의 반복되는 진입실패를 경험한 경우 성취동기는 약화되고, 진로의사는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었다. 또한 명확한 성취목표를 가진 고학력자들이 부분적인 노동시장 진입에 성공한 경우, 그들의 성취동기는 강화되고 진로준비행동은 더욱 적극적으로 변화하였다. 그리고 모호한 성취목표 또는 목표에 대한 거부 인식을 지닌 청년들의 경우, 성취동기의 변화가 크지 않았고 소극적인 진로준비행동의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셋째, 불안감은 청년구직자 개인에게 다양한 신체화 증상이 드러나게 하고 있었다. 불안수준이 높으면 성급한 진로선택을 하여 불안전 취업에 따른 잦은 노동이동경력을 형성하게 하였다. 적정한 불안수준은 긴장감을 주어 적극적인 진로준비행동을 촉구하게 하기도 했다. 또한 불안수준이 낮으면 소극적인 진로준비행동을 하는 경향이 있었다. 한편 지나친 불안수준의 형성은 진로행동 장애를 낳기도 했다. 넷째, 가족은 청년구직자에게 심리적 물질적 안정을 제공해주기도 하고, 취업에 대한 과도한 관심과 염려로써 고학력 청년구직자에게 심리적 부담을 더하기도 했으며, 직접적인 진로의사결정에 관여하기도 하였다. 또한 가족의 노동경력은 노동에 대한 인식 형성에 영향을 주기도 했다. 이성친구는 결혼이라는 일종의 진로도피처를 제공하고 있었고, 함께 구직을 하던 친구들의 입직에 따른 비교의식이 청년구직자에게 심리적 부담으로 작용하기도 했다. 또한 같은 진로준비를 하고 있는 동료나 선후배들은 진로의사결정의 지지자로서 역할을 하고 있었다. 다섯째, 대부분의 학교 진로지원 시스템은 적극적인 차원에서 정보를 공급하고 적극적으로 학생의 노동시장으로의 연계를 지원하는데 실패하고 있었다. 대학서열별로 취업정보보유량도 차이를 보여 서열별 노동시장 진입 구조가 강화될 수밖에 없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와 같은 정보 부족을 극복하기 위해 청년 개인은 사적 정보수집체계를 활용하고 있었다. 대학의 교수나 선후배등 인적 진로지원 체계의 활용 또한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여섯째, 전체적으로 사회정책에 대한 활용도가 그리 높지 않았다. 산업수요와 노동력 공급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의 IT교육, 중소기업 취업알선 및 인턴제 등의 정부 대책은 고학력 대졸자의 진로기대가 반영되지 않는 불만족스러운 대안으로 여겨졌다. 또한 정부의 행정 서포터즈 활동은 안정된 일자리를 찾아가는데 있어 도움이 되지 않는 일시적인 정부대책으로 여겨지고 있었다. 고학력 청년구직자들은 보다 적극적이고 근본적인 청년실업 대책을 희망하고 있었다. 일곱째, 성별직종분리현상이 심한 직종으로 입직을 원하는 경우 성별로 인한 진로행동의 차별성을 경험하고 있지 않았다. 그러나 여성이 대기업에 취업하고자 하는 경우 고학력 구직난과 더불어 여성이라는 성별요인이 중첩되어 진입장벽으로 경험되어 지고 있었고, 그로 인해 진로의사는 변경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경험을 거친 고학력 여성이 선택하는 진로는 비교적 입직 구조 및 업무 특성상 남녀 차별이 적은 공기업 취업 및 공무원 등이었다. 남성들은 일반적인 취업구조에서 남성의 우위성을 인정하고 있었고 그를 받아들이는 동시에 남성이기 때문에 더욱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여덟째, 가정경제 수준이 안정적인 청년층의 경우 진로의사를 고수하며 구직기간이 장기화되고 있었다. 그러나 가정경제 수준이 불안정한 동시에 입직을 진로준비행동이 미흡한 청년층의 경우 성급한 입직을 하게 되어 불안전한 노동경력을 형성하게 되었다. 가정경제에 대한 책임감은 있으나 비교적 입직을 위한 진로준비행동이 선행되었던 청년층의 경우 안정적인 일자리로의 발 빠른 취업이 가능했다. 아홉째, 일반 대기업의 경우 대학 서열을 근간으로 한 노동시장 진입구조가 전제되어 있었다. 따라서 취업에 있어 학력에 따른 진입실패를 경험한 경우 진로의사를 하향화 하던지 학력차별이 비교적 적은 곳으로의 입직을 선택하고 있었다. 취업 시 대학서열이 긍정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고학력자들의 경우 눈높이를 낮추지 않고, 자신이 원하는 괜찮은 일자리로 진입하기 위해 구직기간의 장기화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