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徐智銀.-
dc.creator徐智銀.-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2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2Z-
dc.date.issued1982-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78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92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780-
dc.description.abstract1.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and distribution of the Korean Cheilostomata was done with the materials collected from 22 localities in the coastal seas and islands of South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1965 to 1981. 2. The materials were anesthetized with the menthol in the field and then preserved in 70-80% alcohol. For the identification, the author stained the materials with the boraxcarmine solution and mounted with Canada balsam. 3. The identified Cheilostomata were one subspecies, 36 species, 22 genera, 14 families and two suborders, of which 17 species were newly added to the Korean Cheilostomata fauna. They are as follows: Antropora granulifera, Caulibugula occidentalis, Bugula robusta, Bugula pugeti umbelliformis, Dendrobeania murrayana, Beania magellanica, Beania discodermiae, Beania petiolata, Beania vegae, Canda clypeata, Amastigia rudis, Tricellaria longispinosa, Schizoporella unicornis, Codonellina spatulata, Codonellina montferrandii, Dakaria bidentata and Fenestrulina mutabilis 4. Among the identified 25 species, 15 genera, nine families (67.6%) belong to the Anasca and 12 species, seven genera, five families (32.4%) to the Ascophora. 5. The proportions of Cheilostomata in three costal seas is as follows: 36 species (97.3%) were found in the South Sea, three species (8.1%) in the Yellow Sea and two species (5.4%) in the Sea of Japan. 6. In the oceanic distribution, 24 species (64.9%) were distributed in the Pacific Ocean, 16 species (43.2%) in the Atlantic Ocean, 12 species (32.4%) in the Indian Ocean, two species (5.4%) in the Arctic Ocean and one species (2.7%) was distributed in the Antarctic Ocean. 34 species (91.9%) were distributed in Japan. 7. As to substratum, eight species (21.7%) were attached to the seaweed, six species (16.2%) to shell. Five species (20%) in the Anasca were attached to the sponge and the bryozoan respectively, four species (33.3%) in the Ascophora incrusted the seaweed. 8. Up to the present 91 species were recorded in the Korean Cheilostomata fauna including those found in the present study. Of those 85 species (93.4%) were found in the South Sea, 12 species (13.2%) in the Yellow Sea, nine species (9.9%) in the Sea of Japan.;1. 본인은 한국산 순구류의 분류 및 분포에 관한 연구를 하기 위하여 1981년 5월에서 12월까지 남해의 노화도, 완도, 청산도, 상주리, 미포에서 직접 채집한 재료들과 1965년부터 1980년까지 황해의 6개 지역, 남해의 13개 지역, 동해의 1개 지역에서 채집되어 생물학과와 자연사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는 재료들을 사용하였다. 2. 동정. 분류하기 위하여 태충류를 멘톨(menthol)로 마취시킨 다음 70-80% 알콜에 액침 보존하였다. 먼저 군체의 외부형태를 관찰하고 미세구조는 보락스카-민 염색법으로 염색한 후 영구 프레파라트를 만들어 관찰하였다. 3. 동정. 분류된 한국산 순구류는 모두 2아목 14과 22속 36종 1아종이었고 이 중에서 한국미기록종은 16종 1아종이었으며 그들은 다음과 같다. 공굴이끼벌레(Antropora granulifera) 줄기다발이끼벌레(Caulibugula occidentalis) 떡갈이끼벌레(Bugula robusta) 산형화이끼벌레(Bugula pugeti umbelliformis) 무라이수지콩이끼벌레(Dendrobeania murrayana) 마겔라니카콩이끼벌레(Beania magellanica) 두껍질콩이끼벌레(Beania discodermiae) 엽병콩이끼벌레(Beania petiolata) 강장콩이끼벌레(Beania vegae) 방패이끼벌레(Canda clypeata) 막대이은이끼벌레(Amastigia rudis) 긴세방가시이끼벌레(Tricellaria longispinosa) 한구멍이끼벌레(Schizoporella unicornis) 스파투라이끼벌레(Codonellina spatulata) 철빛종이끼벌레(Codonellina montferrandii) 두이자주이끼벌레(Dakaria bidentata) 변이방사이끼벌레(Fenestrulina mutabilis) 4. 동정. 분류된 37종의 한국산 순구류를 아목별로 보면 무낭 아목에 9과 15속 25종(67.6%), 유낭 아목에 5과 7속 12종(32.4%)이었다. 5. 삼해역별 분포를 보면 남해에 분포하는 종이 가장 많아서 36종(97.3%), 황해에 3종(8.1%), 동해에 2종(5.4%)으로 나타났다. 6. 대양별 분포를 보면 우리나라와 태평양에 공통으로 분포하는 종이 24종(64.9%)으로 가장 많았고 대서양과는 16종(43.2%), 인도양과는 12종(32.4%), 북극해와는 2종(5.4%)이었으며 남극해와는 1종(2.7%)으로 가장 적었다. 그리고 37종 중 34종(91.9%)이 일본에 분포하였다. 7. 저질을 살펴 보면 해조에 붙은 종이 가장 많아서 8종(21.7%)이었고 그 다음이 조개껍데기로서 6종(16.2%)이 부착하여 살고 있었다. 아목별로 보면 무낭류는 해면류, 태충류는 각각 5종(20%)으로 가장 많았고 유낭류는 해조에 4종(33.3%)으로 가장 많았다. 8. 지금까지 밝혀진 한국산 순구류 91종에 대한 삼해역별 분포를 보면 남해에 85종(93.4%)으로 가장 많았고 황해에 12종(13.2%), 동해에 9종(9.9%)이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Ⅱ. 재료 및 방법 = 4 A. 재료 = 4 B. 방법 = 6 Ⅲ. 종의 목록 = 8 Ⅳ. 형태 및 종의 기재 = 13 A. 형태 = 13 B. 종의 기재 = 16 Ⅴ. 분포 = 48 Ⅵ. 고찰 = 53 Ⅶ. 결론 = 54 참고문헌 = 56 도판설명 = 64 도판 = 68 ABSTRACT =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7716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한국-
dc.subject순구류-
dc.subjectOrder cheilostomata-
dc.title한국산 脣口類 (Order cheilostomata)의 분류 및 분포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and distribution of the korean cheilostomata-
dc.format.pagevii, 76 p. : 삽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생물학과-
dc.date.awarded198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생명·약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