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5 Download: 0

玉珠好緣' 연구

Title
玉珠好緣' 연구
Authors
김현옥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Okjuhoyeon" is one of the ancient novels, which was published in the beginning 19th century and had basked in steady popularity with variform editions until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The old researches on "Okjuhoyeon" were divided into two parts of the study focusing on the strange relationship and the study on a style of heroine novel, however, both of which had a result to overlook an essential character of work's own with being trapped in the limit of seeing only the one side of it. This study emphasized the unique creativity of "Okjuhoyeon" by analyzing the significance it had in representing characters and plots, based on old researches. The object this study designated as a text was the 29th woodblock-printed book kept in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In chapter II, I showed that the framework of extraordinary encounter was compromised with that of heroine tales in the plot of "Okjuhoyeon" and it's style suffered the transformation in a ways that the meeting of a man and a woman could be possible forming love relationship as it changed into an male feature by motives of heroine tales while a sacred thing in plot of extraordinary encounter couldn't be a medium to bring about a meeting because it could never existed in a real world. I magnified the composing sections of the disguise as a male into five sections because I would try to strengthen the meaning of meeting and continue a tension. With a regard to characters, I examined the shaping manner centering around the ordeal and activity of heroine and men and women of three twins born at the same time, which was caused by their own will. In chapter III, I extracted the spirit of writer based on the analysis of chapter II. I described that both difference being divulged when a hero and a heroine born at the same time left home and the conflict between father and three sisters didn't reflect conflict among individuals but expressed the conflict between an individual and a society, which, in other words, meant the conflict of an age with double characters. And I exposed three sisters' awakening on the old woman, especially emphasizing that of Myeong-ju among three sisters who have creative personality, and three sisters' independent will which made them complain of the reality fixing them in a boudoir and finally hurdle the fence of home by an extreme measure. It could be seen that the will to go through sufferings for themselves was enough strong to develop their own lives independently and broaden their awakening on womanhood. In chapter IV defining the status of "Okjuhoyeon" in novel history as a result discussed until now, I explained that the successful story of unifying a man and a woman converted the central value of heroic novel weighing the prominence of a hero into coexisting value a man and a woman appreciated and had a significance in overcoming simple and superficial conflict between a man and a woman in late heroine novels and transforming it into coexisting value. Then I showed that "Okjuhoyeon" satisfied reader's desire through the emergence of heroine who provided the experience of catharsis from repressed woman's psychology originating from the failure of advancement into a society. ;<玉珠好緣>은 19세기 초에서 중엽 사이에 이루어진 작품으로 추정되는 고소설로 필사본, 판각본, 구활자본등의 유통으로 여러 독자층을 형성한 소설이다. 이 작품의 기존 연구는 기이한 인연에 중점을 둔 연구와 여성영웅소설 속 유형으로의 연구로 나누어지는데, 이는 <옥주호연>의 일면만을 강조하여 작품이 가진 본질을 간과하는 결과를 낳게 하였다. 본고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를 기반으로 <옥주호연>의 구조와 인물이 가지는 특징, 그러한 특징이 지니는 의의등을 통해 본 작품의 독자적인 성격을 추출하였다. 연구 대상 작품은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소장 경판 29장본으로 정했다. Ⅱ장은 <옥주호연>구조가 기봉구조와 여성영웅구조가 결합되었음을 보았고 이 결합의 배경에는 기봉류소설을 향유한 독자들의 천정의식과 여성영웅소설을 향유한 독자들의 여성우위설화의 전통이 있었음을 알아 보았다. 다음으로 변모 방식은 천강형 기봉구조에서 신물로 연결되어야 할 신물이 지상에 존재하는 신물이 아니기에 신물로 인한 만남과 재합이 없는 대신 여성영웅소설의 남장화소로 남녀가 만나고 그 만남이 결연으로 이어짐을 살펴 보았다. 그리고 음양변체(남장)의 구성 단락을 다섯 단락으로 나눠 확대시킨것은 만남의 의미 강화와 긴장의 지속을 주었다는 점을 알아 보았다. 인물의 특성에서는 동태한 세 쌍둥이 남녀, 자의에 의한 여주인공의 시련과 극복, 활약과 대사를 중심으로 그 형상화 방식을 살펴 보았다. Ⅲ장에서는 Ⅱ장의 분석을 토대로 <옥주호연>의 작가 의식을 추출했다. 먼저 동태한 남녀주인공이 집을 나설때 드러나는 차이점과 아버지와 삼녀가 지닌 갈등이 개인과 개인의 갈등이 아니라 개인과 사회의 갈등이라는 점이 이중적인 성격을 지니면서 시대적 모순을 반영한 것임을 살펴 보았다. 그리고 삼녀가 지닌 개성적인 면모중 막내 명주에게 비중을 두어 기존의 여성상에 대한 각성을 표출시켰고, 삼녀들의 주체적 의지는 남성과 같은 능력을 지니고도 여성이기에 규방의 아녀자로 남아야 하는 현실을 한탄하게 만들어 결국 가출이라는 극단적인 방법으로 가정의 울타리를 넘게 되었음을 보았다. 그러나 스스로 만든 고난을 헤쳐나가는 의지 역시 강하기에 그녀들의 삶은 주체적으로 전개되고 여성의식은 확대되는 결과를 낳았음을 보았다. Ⅳ장에서는 지금까지 논의한 결과로 <옥주호연>의 소설사적 위상을 점검하는 부분으로 먼저 <옥주호연>의 남녀결연담은 한 인물이 가진 우월성이라는 영웅소설의 중심적 가치를 남녀가 공존할 수 있는 가치로 전환시켰음을 보았고 더 나아가 후기여성영웅소설이 지닌 남녀의 단순 대립이라는 표면적인 갈등을 너머 남녀가 相生할 수 있는 가치로 전환하였다는 점을 살펴 보았다. 그래서 <옥주호연>의 결연담은 애정소설의 전통을 이어오면서 변화를 보인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음을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옥주호연>은 사회적 진출이 억제된 당대 여성의 현실을 여성영웅이라는 형상화로 여성의 자아에 대한 관심과 인식을 작품 속에 수용한 소설임을 살펴 보았다. 즉 남성의 사회적 위치에 의해서만 여성의 지위가 결정되던 사회의 모순을 지적하면서 여성이 남성과 동등한 또는 그 이상의 능력을 지녔으며 때로는 남성보다도 더 사회가 원하는 일을 잘 수행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시대가 원하는 여성의 모습을 거부하면서 어지러운 세상을 평정, 개혁하는 적극적인 행동으로 여성이 자신의 자아를 발견하고 실현하는 모습이라 할 수 있다. 즉 여성의 자아 인식과 실현은 능력과 이상에 따라 자신의 삶을 구체적으로 선택하고 발전시켜 나가는 새로운 여성상을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새로운 여성상은 <옥주호연> 작품 속에 그대로 수용되어 여성 독자층의 가슴 속에 남아있는 '자아'를 실현시키는 양상으로 대리만족을 준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