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7 Download: 0

慶南 鄕土舞踊 硏究

Title
慶南 鄕土舞踊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local dance in Kyoung-nam province : based on "Yangban-choom" and "Bumboo-choom" in "Mylyang backjoong"
Authors
金美淑.
Issue Date
1982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Keywords
향토무용밀양백중놀이양반춤범부춤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論文은 重要無形文化財 第68號 密陽百中놀이 中에서 양반춤과 凡夫춤을 中心으로 舞踊美學的 接近을 試圖한 것이다. 民俗文化의 일원인 鄕土藝術中에서 특히 生活과 밀접한 들놀음 形態가 보다 깊이 韓國藝術의 뿌리를 이루고 있는 것임을 생각해 볼 때 본 硏究의 課題는 결국 우리의 傳統舞踊에 대한 源泉的인 硏究課題의 하나임을 自覺하게 된다. 춤은 그 一回性 때문에 영구보존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특히 民衆들의 놀이 속에서 추어진 춤의 경우엔 文獻資料를 찾아 보기도 어려운 形便이므로 現場調査와 아울러 舞譜作成이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다. 그리고 다음으로는 百中놀이가 歲時風俗으로서 定着하게 된 形成過程에 대하여 民俗學的 接近方式으로 檢討하는 것이 必要하다. 이러한 先行作業들을 土臺로 密陽百中놀이의 進行節次에서 춤이 차지하는 位置와 機能을 밝히고 이를 慶南鄕士舞踊의 두 줄기인 妓房舞와 덧배기춤과 相互關聯을 짓는 過程이 따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양반춤과 凡夫춤의 춤사위를 하나 하나 分類해 내면서도 전체적인 展開方式을 총괄적으로 보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일련의 過程을 통해 춤의 生成要因을 밝혀 내고 또 形態的 意味와 構造를 分析함으로써 慶南鄕士舞踊의 한 特性과 美的價値를 추론해 낼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硏究過題에 대해 論究한 바를 綜合的으로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慶南은 地理的 條件이나 이 地域 나름의 文化風土 속에서 獨特한 農耕文化의 한 모습을 띤 三韓時代의 문화, 伽倻의 문화를 發展시킨 바 있고 나아가 大陸文化와 海洋文化가 農耕文化 속에 合流되는 統一新羅의 文化를 이룩한 바 있는데 密陽百中놀이는 이러한 歷史的 背景 속에서 꽃핀 이를테면 藝鄕으로서의 文化傳統이 一般 民衆의 農耕生活 속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 具體的인 한 形態가 아닌가 싶다. 百中놀이란 '머슴날' '농부날'인 음력 7월15일, 세벌 논매기를 끝 낸 前後쯤 머슴들의 名節처럼 마음껏 마시고 놀았다는 데서 비롯되었다. 密陽의 百中놀이의 進行節次는 祈農祭儀 性格을 띤 앞놀이로서 잡귀막이굿, 모정자놀이, 農神祭 등이 있고 본놀이로서는 작두말타기, 춤판(양반춤, 병신춤, 凡夫춤, 오북춤) 등이며 끝맺음으로 뒤풀이를 한다. 이 놀이의 過程에서 農神祭를 제외한 대부분이 춤으로만 進行되고 있음을 볼 때 百中놀이에서 춤이 차지하는 役割은 대단한 것으로 보인다. 양반춤의 展開方式은 대체로 활개펴기→어깨에 부채 울러매기→부채폄사위→두루거리 변형→활개펴기→어깨춤→제자리에서 오른팔 오른발 높이들기→부채폄사위 등으로 展開되고 凡夫춤의 경우는 사방돌기를 하며 圓線上에서 추어지는 춤→장고잽이와의 對舞에서 추어지는 춤→Z자형으로 추는 춤 등으로 전개된다. 춤의 形態的 意味를 살펴보면 우선 양반춤에서 활개펴기는 韓國舞踊 特性의 하나로서 "靜中動"을 잘 表現하고 있으며 발디딤새는 妓房의 영향을 받아 안방놀음의 形態로 굳어졌다. 그리고 두루거리 변형 등에서 엇박을 타는 대목은 平凡한 順次的인 進行構造에 한가락의 파란을 일으키는 過程의 動作이라 볼 수 있고, 제자리에서 오른팔 오른발을 높이 드는 動作은 密陽북춤의 영향을 받았다고 추정된다. 또 먹여주는 장단에 어깨짓이 자주 나타난다든지, 부채를 어깨에 울러매는 점은 慶南地方의 樂器編成에서 굳어진 動作이라 볼 수 있다. 범부춤에서의 도무형태는 北方系列 民俗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우리춤의 한 特性을 이룬 傳統的인 形態일 뿐만 아니라 力動的이고 生動的인 춤사위이다. 그리고 한팔 벌려서 엎은 사위나, 양팔을 감는 사위에서는 파동미를 發見할 수 있고 또 춤의 全體的인 進行過程에서 볼 때 배김새는 一群의 흐름에서 다른 一群의 흐름으로 나아가는 中間通路 役割을 하는 緊張과 弛緩을 적절히 배합한 動作이다. 그리고 고갯짓, 어깨짓, 장구꽂이 등은 感覺的인 形態의 動作으로 코믹한 마임形式을 內包하고 있기도 하다. 한편, 形成構造를 보면 양반춤의 경우엔 A와 A'형 構造의 對稱的인 面의 統合性과 이와는 다른 B형의 破格性 등이 서로 부딪치면서도 全體的으로 조화를 이루고 있다. 반면에 범부춤은 A-A'型으로 構成되어 있는데 生動的인 多樣性속에서도 統一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춤사위나 構造上에서의 一般的인 特徵을 살펴보면 양반춤의 경우는 ① 활개펴기가 主된 춤사위로 나타나는데, 대체로 춤이 완만하며, 下體動作이 거의 없고 제자리에서 도듬채를 하기 때문에 全體的으로 볼 때 技巧가 다소 단조롭다. ② 제자리에 멈춰서서 같은 팔과 같은 다리를 자연스럽게 높이 드는 동작이 이색적이고, 매장단의 끝맺음과 함께 부채를 가진 오른팔을 오른쪽 어깨에 가로 매는 경우가 많다. ③ 두루거리 변형시에 대체로 엇박을 타고서는 활개펴기로 이어지는데, 먹어주는 장단에는 어깨짓이 많다. ④ 한 춤사위는 보통 한 장단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어떤 춤사위는 두 세장단을 끌어주는 것도 있다. 또 어떤 경우엔 한 장단 속에 춤사위가 두 세가지 연결되어 進行되는 수도 있다. 凡夫춤의 경우는 ① 건무형태는 도무가 主를 이루므로 力動的이며 生動的인 반면, 엇박을 타는 경우가 거의 없다. 장단의 매듭이 춤동작에서도 맺음으로 나타난다. ② 맺고 어르고 푸는 動作이 뚜렷한 매김새가 特徵을 이룬다. ③ 장구잽이와 대무형식에서 對稱效果의 對比가 일으키는 相互補完的인 調和美를 보인다. 춤의 生成要因을 農耕生活이나 自然環境, 農業, 탈춤, 妓房舞 등에서 추정해 낼 수 있는데 이상의 특징을 살펴보아서도 알 수 있듯이 양반춤은 妓房舞의 일종인 閑良들이 추는 춤과 비슷한 形態임이 명확해지고 범부춤은 慶南鄕士舞踊에서 主流를 이루는 덧배기춤의 하나로서 獨特하고 세련된 배김사위를 主潮로 하고 있다. 특히 密陽배김사위의 特徵은 도입부분의 무릎치기에서 오른쪽을 친 후 왼쪽을 번갈아 치는 점, 또 어르는 動作이 多樣하고 細分化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장구잽이와의 對舞形式으로 배김사위가 이루어지는 것 등은 慶南 어느 地方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이 地方 特有의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結論的으로 密陽百中놀이에서의 양반춤이나 凡夫춤 춤동작의 線이 굵고 단조롭다는 점에서 무뚝뚝한 慶南人의 氣質을 여기에서 다시 發見해 낼 수 있다. 이는 生活像의 自然스런 感情發路에서 形成된 것으로 慶南 鄕士民들의 庶民感情이 반영되어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러한 춤은 한마디로 無技巧的인 技巧 그 自體이며 韓國藝術 一般의 한 特徵인 韓國的인 自然主義에서 찾아볼 수 있는 美의 表現이다. 이상, 양반춤과 凡夫춤의 特性과 美的構造 및 慶南鄕士舞踊과의 相互關聯性을 살펴본 바대로 각 地方의 鄕士舞踊은 각 地方마다의 독특한 個性을 뚜렷이 지니고 있다. 따라서 鄕士舞踊에 대한 硏究는 地方文化의 한 特性을 밝혀내는 한 契機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여러가지 서로 다른 特徵을 보이는 鄕士舞踊의 硏究는 결국 韓國舞踊의 多樣性을 밝혀내는 동시에 韓國舞踊의 源流를 밝혀내는 일이기도 한 것이다.;This study intends to make an aesthetic approach to "Yang-ban-choom", nobleman's dance and "Bumboo-choom, layman's dance, included in "Mylyang Backjoong Play", 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s, No. 68. Those dances are categorized into a field picnic play and they are so closely related with people's daily life that we are to understand our folk culture more thoroughly through them. Since dance is a momentary art and the materials are scattered, their systematic collection and preservation are thought to be difficult. Hence the genealogy of dance accompanied with field work seems to be urgent. In this paper a folkloristic approach to the formation of "Backjoong play" as the New Year Feast has been made prior to analize those dances. Thus the author tried to examine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dances occuring in "Mylyang Backjoong Play" and correlated them with "Gibang-moo" and "Dutbaegi-choom", Kyoungnam provincial dances. For this, "Choomsawee", the detailed procedure, in "Yangban-choom" and "Bumboo-choom" is defined, the factors of it's creation were made clear by the general review of procedure, and then the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 values are infer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Since the region was encircled with Taeback and Soback mountains and was difficult to contact with the continental culture, it had developed a peculiar folk culture, Gaya Culture, and then achieved the unified Silla Culture, which is the foundation of Korean Culture. "Mylyang Backjoong Play" had long been played a major part in the people's life of the region. And it has been celebrated on the mid July by the lunar calendar. It was originated from the occasion that farmers used to enjoy eating and drinking at the end of three-times-plowing in the rice field. The procedure of "Backjoong Play" is devided into three parts: Introduction, Main part and Conclusion. The introduction which is a dedicatory rite for the agricultural god is composed of Japgyee Makyee Good, a kind of the exoricism against demons, Mojeongza Play, a kind of rice field, Nongshinjea, and the main part is composed of Jakdoo Maltagi, Choom Place (Yangban-choom, Byungshin-choom and Bumboo-choom) and then conclusion. Most of the play is composed of chooms except Nongshinjea. The order of Yangban-choom is Whalgea-pyugi, Doorooguri variation, the right arm and leg Is lifting in paused step, Fan-unfolding motion and a shoulder gesture. On the other hand, Bumboo-choom spreads out Sabang-dolgi, turning to the four directions, Jang-gu player's choom with a partner and Z-shape choom. In the structure of the dance, Yangban-choom is in harmony with A-A' form and a variated B type in the symmetrical unity, but Bumboo-choom whose form is A-A' has a unified beauty in the active and dynamic variety, The general features which appear in this choom-sawee and the structure of Yangban-choom are as follows: 1). Choom looks inactive because its Whalgae-pyugi composing a main choom-sawee, and the whole technique seems monotonous because there are seldom shifting motions of the lower part of the body and Dodumchae is performed in the fixed place. 2) The high and natural movement of the arm and leg of the same direction in the fixed position is unique, and the right arm with a fan does Garomaegi on the right shoulder. 3) In the case of Doorooguri variation, it keeps time diagonally and goes on Whalgaepyugi choom-sawee. There are frequent shoulder gestures in paused jangdan. General characteristics of Bumboo-choom are as follows: 1) Choom is active and dynamic because Domoo takes main parts as the shape of Kunmoo. 2) Baegimsae is more conspicuous whose folding and unfolding motions are distinctive. 3) The counter-dance with jang-gu player is harmonized unsymmetrically. From the above features, the author could outline the people's character of Kyung-nam province. The brusqueness of their temper is well revealed through the rough and monotony of the choom-motion-line. It is said to be a technique itself without any special technique. And such a beauty can be found in the Korean naturalism. To sum up, the author could infer that the feelings, emotions, and ideas of Kyung-nam natives are naturally expressed in "Mylyang Backjoong Play". As we found out the generative factors of the dance in agricultural life, natural circumstance, Nong-ak, Mask-dance, Kibang-moo, Yangban-choom could be categorized into Hanryang's dance similar to Kibang-moo, and Bumboo-choom is thought to be a kind of Dutbaegi-choom which is major native dance of Kyung-nam province, expressing a unique and well refined Baegimsawee. In this regard, folk dances in Kyung-nam province are as a whole in common as well as individually characteristic in accordance with this districts in their aesthetic value. The author suggest that the study of folk dance be continued in order to identify the Korean ar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