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장정복-
dc.creator장정복-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0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0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53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88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535-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estimate the costs incurred by Emergency Department(ED) nursing activities by applying the Activity Based Costing (ABC) model. For this purpose, ED nursing activities were classified, and thereby, cost of the nursing activities was analyzed to produce correct information about the nursing cost, which w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a strategic management of hospital. For this study, a general hospital in Kyonggi-do was sampled. The time frame of this study was 3 months from January to March, 2004. First, resources put into the ED were reviewed, while ED nursing activities were classified. Then, hours and frequencies of the nursing activities as resource drivers were estimated to calculate the rates of activities, and there upon, nurses' work loads as activity drivers were estimated. The basic data for classification of ED nursing activities were collected from OCS prescriptions and medical records issued from January to December, 2003. The ED nursing activities were classified into 13 nursing activity areas and 137 detailed nursing activities to be referred to an expert group to be tested for their validity.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statistically using the SPSS WIN 11.0 for percentag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f the amount of resource and activity cost. The reliability of the work load scale was tested by Cronbach's alpha.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resources put into the ED, it was found that the ratio of labor cost to the entire resources was 63.8%, the ratio of depreciation 16.2%, the ratio of indirect material cost 12.8% and the ratio of ordinary cost to the resources was 7.3%. 2. In order to define ED nursing activities are based on activity cost, relevant literature was reviewed, while interview and group discussion were used. The results were referred to an expert group to be tested, and as a consequence, 13 activity areas and 137 detailed activities could be identified. In order to compare the nursing activity costs with the fee for services in health insurance, the comparable activities were classified as detailed as possible, while the free-of-charge activities were defined as nursing service units. 137 detailed nursing activities consisted of 81 paid ones (59.1%) and 56 free ones (40.9%). 3. The rates of activities were estimated by calculating the activity hours and frequencies as resource drivers. The area with the highest rate was management of medical study and examination activities (36.89%), followed by medication nursing care activities (16.93%) and observation and assessment activities (9.87%) in their order. The rate of pulmonary care nursing activities was lowest (0.61%).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work load of each activity in order to estimate ED nurses' work loads as activity drivers, it was found that the burned patient care nursing activities scored highest (505 points) in case care of burned patient with 18% of body, when the work load of Foley catheter insertion was set at 100 points, and that the average work load was 171 points. The oral medication activities scored lowest (75 points). 4. The resources were allocated primarily to ED activities based on resource drivers to estimate the activity costs, and thereby, activity costs were estimated near the price-determining costs by attaching the weights of work load to the primary costs. As a result, the primary activity costs for 137 nursing activities ranged from 611 wons for maintenance of patency of various drainage tubes and nursing activities there of to 14,060 wons for nursing activities of cardio-vascular emergency care. the secondary estimated costs with the weights of workload attached ranged from 477 wons for maintenance of patency of various drainage tubes and nursing activities there of to 51,037 wons for nursing activities for cardio-vascular emergency care. Based on the secondary estimated activity costs, the cost of nursing activity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procedures was highest (53,366 wons), followed by nursing activity for cardio-vascular emergency care (51,037 wons), nursing activity for gastro-intestinal tubing for internal hemorrhage patients (29,920 wons), nursing activity for burned patients (26,240 wons) and nursing activity according to cooperative diagnose and treatment (22,645 wons). In contrast, the secondary estimated costs of such nursing activities for oral medication (977 wons), checking vital signs (1,109 wons) and testing blood sugar level (1,320 wons) were low. 5.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ctivity cost with the medical prices, the sum of the paid nursing activities was 63,914,608 wons, which accounted for about 15.6% of the total ED resources (costs), while the sum of free of charge nursing activities was 344,961,370 wons accounting for 84.4% of the ED resources. When 4 nursing activities with no resource drive and such activities including high material cost as rapid warming blood transfusion and external pacing generator installation assistances were excluded from 81 paid nursing activities, the ratio of the nursing activity costs was 118% higher than the medical prices for 75 nursing activities. (M=1.18, SD=2.22). ;본 연구는 활동기준원가계산(Activity Based Costing; ABC)방법을 응급실 간호원가 산정에 적용한 실증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응급실 간호활동을 분류하여, 활동기준원가분석을 통한 정확한 원가정보를 산출하는데 있으며, 활동을 근거로 한 정확한 원가정보의 산출결과는 전략적 경영관리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일 종합병원 응급실이며 원가분석 대상 기간은 2004년 1월1일부터 3월31일이다. 연구 절차는 응급실에 투입된 자원(Resource)을 집계하고, 응급실 간호활동을 분류하고, 자원동인(Resource driver)으로 간호활동 수행시간과 수행횟수를 산출하여 활동비율을 산출하였으며, 활동동인(Activity driver)으로 업무량을 산출하였다. 응급실 자원량의 산출은 본 연구병원 회계관리부서에 의뢰하여 집계하였으며, 응급간호활동분류를 위한 기초자료의 수집은 2003년 1월1일에서 12월31일까지 발생한 OCS 처방, 응급실간호사 면담, 환자의 의무기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응급실 간호활동 분류는 4단계의 분류작업을 통하여 13개 간호활동영역과 137개 세부 간호활동으로 분류하여 전문가그룹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11.0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고, 자원동인의 집계와 활동원가의 분석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업무량 산출을 위한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로 측정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응급실에 투입된 자원량에 대한 산출결과 전체 자원량 대비 인건비 비율이 63.8%, 감가상각비 16.2%, 간접재료비 12.8%, 일반경비7.3%로 집계되었다. 2.응급실 간호활동 분류는 활동기준원가계산에 입각하여 새로 정의하기 위하여 문헌고찰, 면접, 그룹토의와 전문가 타당도 검증을 통하여 13개 활동영역과 137개 세부활동으로 정의하였다. 활동분석에 있어 상세함의 수준은 활동원가를 건강보험요양급여 수가와 비교하기 위하여 수가와 비교가 가능한 활동은 수가단위로 상세하게 분류하였으며 현행 수가책정이 되어있지 않은 비 급여대상 활동에 대하여는 상위 업무단위로 정의하였다. 137개 세부 간호활동은 81개 급여대상활동과 56개 비 급여대상활동으로 분류되어 급여대상 활동이 59.1%, 비 급여대상활동이 40.9%로 조사되었다. 3.자원동인으로 활동수행시간과 횟수를 산정하여 활동비율을 산출하였다. 활동비율은 검사관리활동영역에서 36.89%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이 투약간호활동영역이 16.93%, 관찰 및 사정활동영역이 9.87% 순이었으며, 호흡간호활동영역이 0.61%로 가장 낮았다. 활동동인으로 업무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유치도뇨관삽입술(Foley catheter insertion)의 기준 업무량을 100점으로 하여 각 활동별 업무량을 산정한 결과 화상처치절차에 따른 간호에서 화상범위가 18%인 경우 505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활동별 평균 업무량은 171점이었으며, 경구투약활동의 업무량이 75점으로 가장 낮았다. 4.활동원가산출은 자원량을 자원동인에 근거하여 응급실 자체활동에 1차 배부하여 1단계 활동원가를 산출하였으며, 이에 업무량 가중치를 배부하여 가격결정원가에 근접한 2단계 활동원가를 산정하였다. 분석결과 137개 간호활동에 대하여 1단계 활동단위당 원가는 각종 배액관유지 및 간호활동 원가 611원부터 심혈관계응급환자 간호활동 14,060원 범위에서 산출되었다. 이에 업무량가중치를 적용한 2단계 활동원가는 각종 배액관유지 및 간호활동원가가 477원, 심혈관계응급환자 간호활동이 51,037원으로 산출되었다. 2단계 활동원가를 기준으로 보면 심폐소생술절차에 따른 간호활동원가가 53,366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심혈관계응급환자간호 활동원가 51,037원, 출혈환자의 위세척 절차에 따른 간호활동이 29,920원, 화상처치절차에 따른 간호활동 원가 26,240원, 협진절차에 따른 환자간호활동원가 22,645원으로 산출되었다. 응급실 경구투약활동원가는 977원, 활력증후측정활동은 1,109원, 혈당측정활동은 1,320원으로 산출되었다. 5.활동원가와 수가비교결과 급여대상 활동의 활동원가의 합은 63,914,608원으로 응급실 자원량(비용)의 15.6%수준이며, 비 급여대상활동의 활동원가의 합은 344,961,370원으로 응급실 자원량(비용)의 84.4% 수준으로 산출되었다. 급여대상활동 81개중 자원동인이 발생되지 않은 4개 활동과 고가의 재료비가 포함된 급속항온수혈활동과 체외심박기장치(External pacing generator) 설치 보조활동을 제외한 75개 활동에 대하여 활동영역별 수가 대 활동원가의 비율은 활동원가가 수가보다 118% 높게 산출되었다(M=1.18, SD=2.22). 이 같은 결과를 통해 볼 때 응급실 간호수가에 대한 제고가 필요하며, 특히 간호관리, 검사관리, 관찰 및 사정, 상담 및 교육, 의사소통의 활동영역과 응급간호활동영역에 있어 위기중재간호활동 등에 대하여는 적절한 수준의 원가보존을 위한 응급간호수가의 도입이 필요하다. 또한 응급실 진료특성에 따라 협진환자의 관리, 환자대상 교육, 환자 및 보호자 상담(외부 전화상담과 민원인 상담 포함), 인수인계, 퇴원교육 활동들은 응급실 간호의 수준과 환자의 만족도와 직결되는 활동들로써 활동원가도 높은 수준으로 산정되었으나 수가화 되어있지 않았다. 이를 원가측면에서 고찰하면 응급실의 비 부가가치활동으로써 원가절감 차원의 활동 제한이나 축소는 응급실 간호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활동들에 대한 수가의 책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활동에 대한 원가분석을 통해 응급실 간호수가 산정의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연구 시도에 의의가 있다고 사료 되며, 원가산정을 통해 획득한 원가정보는 응급실의 간호활동을 유지.개선하는 근거자료로서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7 I. 서론 = 10 A. 연구의 필요성 = 10 B. 연구목적 = 10 C. 용어정의 = 10 1. 자원(Resource) = 10 2. 활동(Activity) = 14 3. 원가대상(Cost Objects) = 14 4. 자원동인(Resource driver) = 145 5. 활동동인(Activity driver) = 14 II. 문헌고찰 = 15 A. 응급실 간호활동 = 15 1. 활동의 개념 = 15 2. 활동의 분석 = 16 3. 응급실 간호활동 분류 = 17 4. 간호원가산정을 위한 활동분석 = 18 B. 활동기준원가계산(Activity Based Costing) = 19 1. 활동기준원가계산 모형 = 19 2. 보건의료서비스에서의 활동기준원가계산 적용 = 23 III. 연구 방법 = 26 A. 연구 설계 = 26 B. 연구 대상 = 27 1. 자원(원가요소) = 27 2. 간호활동 = 27 3. 원가동인 = 28 C. 연구절차 및 방법 = 29 1. 자원(원가)량 집계 = 29 2. 응급실 간호활동 분석 및 분류 = 31 3. 원가동인량 산출 = 32 D. 자료수집 및 분석 = 32 IV. 연구결과 및 논의 = 35 A. 응급실 특성 = 35 B. 응급실 간호인력 특성 = 36 C. 응급실 자원량 산출 = 37 1. 원가의 분류 및 원가내용 = 37 2. 응급실 원가요소 구성 = 37 D. 응급실 간호활동 분류 = 38 E. 원가동인(Cost driver)량 산출 = 45 F. 응급실 간호활동원가 산출 = 48 1. 간호활동영역별 간호원가산출 결과 = 49 2. 활동원가와 행위별수가 비교 = 64 V. 결론 및 제언 = 66 A.결론 = 66 B.제언 = 68 참고문헌 = 60 부록 = 73 Abstract = 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39888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활동기준원가계산(Activity Based Costing)을 적용한 응급실 간호활동원가 산정-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x, 8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