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8 Download: 0

활동 중심 문학 교육을 위한 수행 평가 방법 연구

Title
활동 중심 문학 교육을 위한 수행 평가 방법 연구
Authors
강재연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활동 중심의 문학 수행평가를 통해 문학의 교육과정을 평가에 반영시키고, 학생들이 인지적·정의적 영역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겪도록 하는 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학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목표에 대한 충분한 검토를 거쳐 활동 중심의 문학교육이 현장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행평가의 현장적 대안 방법을 구체화하여 제시함으로써 현장에서 보다 타당한 수행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자료를 제공한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평가는 본래 목표에 대한 달성도를 측정에서 그 결과를 교육에 반영할 때 의미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는 목표와 평가의 방식을 연결시켜 계획을 세우지 않고 결과물만을 가지고 평가하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실제 수업은 '활동' 중심으로 진행하고 결국 평가는 이전의 '지식' 중심이 되어버리는 이중적인 결과를 낳아서 학생들은 학교 수업 중의 '활동'은 대충 아무 내용이나 채워 넣고 시험은 다시 학원에서 문제풀이식으로 배우는 이중고를 겪고 있다. 문학교육에서 학습자의 감상 수준을 판단하고 비판적 사고력, 창의력 등을 신장시키기 위해서 수행평가(performance assessment)는 활성화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다음의 절차를 거쳐 진행되었다. II장에서는 문학교육에서 '활동 중심'의 개념과 의의, 수행 평가와의 관련성을 논하기 위하여 그 이론적 배경을 제공하는 '문학 소통이론'을 탐색해 보고, 그것이 문학교육에 어떠한 방식으로 구체화하여 실현되는지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또, 활동 중심의 문학관을 점검함으로써 이러한 관점이 교수·학습 현장에 어떻게 적용되어야 하는지를 수행평가의 개념과 함께 모색해 보았다. III장에서는 중학교 문학 수업에서 시행할 수 있는 활동중심 수행평가의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을 설계하고 평가의 의의와 적용 방법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문학의 평가요소를 '문학 텍스트에 대한 친화적 수행 능력', '문학 텍스트에 대한 이해·감상적 수행 능력', '문학 텍스트에 대한 내면화 수행 능력'으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그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 방안을 마련하였다. IV장에서는 설계한 수행평가의 방법을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제 적용해 보고 실험하여 검증한 절차와 결과물을 제시하였다. 교과서에 제시된 문학 단원의 학습 목표를 고려하여 실험을 설계하고 제재를 소설 장르에 국한하여 실험을 전개하였다. 교과서의 단원 목표와 제재의 특성을 고려하여 문학의 평가 요소를 추출하고 그에 알맞은 과제를 제시하였다. 제시된 수행평가의 과제는 교수-학습 활동과 유기적인 연관을 가지고 수업 시간에 활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며 모둠 활동의 형태로 대부분 진행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활동 중심의 문학 수행평가의 절차 및 구체적인 방법의 적용은 문학 수업에서 학생의 적극적인 참여와 반응을 유도하였다. 둘째, 활동 중심의 문학 수행평가를 통하여 학생들의 문학에 대한 감상 능력이 신장되었다. 셋째, 활동 중심의 문학 수행평가는 문학의 특성을 살리고 문학교육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적합한 평가 방안이다. 결론적으로, 활동 중심의 문학 수행평가 방법은 문학의 수용과 창작 활동을 활발히 하고 학습자의 문학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었으며, 이는 미래지향적이고 전인적인 인간을 양성하고자 하는 제7차 교육과정 국어 교육의 목적에 부합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reflect activity-based performance assessment in actual school work and to arouse students to positive attitude to literature education. The assessment method so far has the problem in considering it is limited to focus on the simple output. Though it is simple to assess, this method little helps to set the educational goal for the students. The course of education was processed by activity-based method; on the other hand, the assessment of education was performed by knowledge based on criterion. The conflict between course and assessment causes diffusion in literature education. Therefore, the assessment based on performance must be activated in order to extend a criticism thinking faculty and the originality in literature education. In brief, the assessment should be based on accomplishment to educational goal and its result must be reflected in education. The outlin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chapter 2, it studied the theory of literature communication and activity-based literature viewpoint inclu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assessment and activity-based literature education. In chapter 3, the more detailed method of performance assessment is designed. And the system of performance assessment is proposed, which can be applied in the actual literature class of junior high school. In chapter 4, the newly proposed performance assessment is practiced which 2nd graders of junior high school was set for the target of this study and examined by actual test. The material for performance assessment was limited to novels. The task of performance assessment is properly fitted the goal of literature education. The course for performance assessment is progressed in cooperative learning. Finally, it presented the conclusions in chapter 5.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application of activity-based literature performance assessment induces students to the positive participation and reaction. 2. It is showed that the students activity-based literature performance assessment helps the students develop their appreciation to literature. 3. The activity-based literature performance assessment is proper assessment method from the point that it contribute the students to obtain the better appreciation ability of literature education. Consequently, activity-based literature performance assessment extends a criticism thinking faculty of student by activating acceptance and creation in litera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