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정희-
dc.creator조정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4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4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99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86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992-
dc.description.abstract우리 나라에서 차를 마시게된 것은 삼국시대부터로 신라와 고려시대를 거치면서 찬란한 문화를 꽃피웠다. 그 당시는 풍류와 멋을 상징하는 대중문화로서 귀족층부터 서민층에 이르기까지 음용 되었다. 불교를 숭상하던 고려가 건국되면서 차 문화는 더욱 번성하게 되었고 귀인과 부호등 특권층에서 애음한 까닭에 차 마시는 풍속도 점차 퍼져나갔으며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억불정책으로 인하여 차의 생산량이 줄어 차를 즐기는 폭이 좁았으나 사찰의 승려나 유배지의 생활을 하던 문인들에 의해서 마셔져서 차 문화는 쇠퇴하지 않았고 사회적으로 여러 가지 열악한 환경 속에서 명맥을 이어왔다. 해방 이후론 일본문화로 오인되어 외면 되어오다가 70년대에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을 갖으며 전통 차의 인식이 높아지기 시작하였고 80년부터는 마음의 여유와 안정을 찾으려는 현대인들에게 빠르게 확산되었다. 건강의 중요성에 많은 관심을 갖게 되면서 차에 대한 관심도 변하게 되었으며 전문적인 상업공간에서 뿐만이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차를 접할 수 있는 기회도 많아졌고 수요 또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의 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식물의 이미지를 응용하여 디자인을 시도하고자 한다. 식물의 비대칭적이면서 자유로운 형태를 응용하여 기능성과 조형미가 조화를 이룬 아름다운 다기디자인연구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내용은 인간생활에 깊숙하게 스며들어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식물과 인간생활과의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고, 항상 다른 모습으로 변형되어 새로운 형태로 나타나는 식물의 독특한 구조와 생태, 형태적인 특징을 살펴보았다. 한국 도자에 나타나는 식물의 이미지를 응용한 문양의 종류와 장식기법에 대해서 조사하였으며 과거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사용되어진 다기의 종류와 쓰임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식물의 이미지를 응용하여 현대인의 특성과 변화된 생활에 맞으며 기능적이며 전통미와 현대감각이 조화를 이룬 선을 응용한 아름다운 다기자인을 시도하고자 하였고 각, 도구마다의 기능적인 면을 고려하여 제작하였으며 조화를 이루는 문양디자인을 시도하였다. 성형은 다양한 형태를 제작할 수 있는 이장주입기법으로, 실크소지와 밀양백토를 반반 혼합한 태토로 〈작품1〉〈작품2〉〈작품3〉〈작품4〉〈작품5〉〈작품6〉〈작품7〉을 제작하였고, 전통적이며 자연스러운 느낌을 주는 물레성형기법으로 밀양백토와 백토를 반반 혼합한 태토로 〈작품8〉〈작품9〉〈작품10〉을 제작하였다. 소성은 가스를 연료로 하는 1㎥ 가마에서 최고온도 900℃까지 9시간 1차 소성을 하였다. 〈작품1〉〈작품2〉〈작품3〉〈작품4〉〈작품5〉은 코발트로 하회를 하고, 투명유를 시유 하였으며 〈작품6〉〈작품7〉은 투명유를 시유하여1㎥가스가마에서 12시간동안 마침 온도 1250℃까지 2차 환원염소성을 하였다. 〈작품8〉〈작품9〉〈작품10〉은 0.1㎥ 전기가마에서 마침 온도 1250℃까지 2차 산화염 소성을 하였다. 〈작품6∼10〉은 재벌 후 3차 소성용 안료와 금을 이용하여 문양을 그린 후에 0.1㎥ 전기가마에서 800℃까지 소성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제작과정을 통하여 인간생활에 많은 영향을 주는 식물의 중요성과 구조, 생태에 대하여 알 수 있었고, 균형, 운동감, 약간은 비대칭적이면서 자연스러운 식물의 형체가 다기 디자인에 있어서 훌륭한 소재가 된다는 것을 알았다. 본 연구자는 식물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다기세트 디자인의 작품제작에 응용함으로서 새로운 디자인의 도전에 기초를 마련 할 수 있었으며 본 연구가 많은 도자 다기디자인 연구와 차 문화 발전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From the time of the Three Kingdom to the Shilla Kingdom and the Koryo Dynasty, tea culture flourished and tea was enjoyed by all classes of people; royalty, aristocrats, literati, monks and commoners. The tea culture further flourished during the Koryo dynasty(918-1392), which encouraged Buddhism. Even during the Joson Dynasty(1392-1910), when tea production was sharply cut down due to the oppression of Buddhism, the culture was nurture and developed by literati scholars and monks. The culture was wrongly viewed as Japanese culture and was abandoned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Japanese occupation. But in the 1970, the traditional culture drew attention and traditional tea regained its popularity. In the 1980s, the culture rapidly spread among people who sought tranquility and peace of mind. As people become more health conscious, tea was more favored than other beverages. Tea is now indispensable in the life of the Korean people as drinking tea is healthy, enjoyable and stimulating with all good qualities. This study aims to design tea sets that are practical and has formative beauty to fit for modern life. it is to develop functional and beautiful tea sets using not-so-traditional or not-so-modern lines and each piece maintaining its basic functions with botanical balance, movement and somewhat asymmetrical but free in shape. In theoretical background, the study aims to look into the formative beauty of plants, which even in the same group sensitively respond to changes in natural environment, and to apply unique shapes of plants. The remittent impregnation method was applied with silk material, using Milyang white clay, super white and white clay. Gas was used for firing. The first firing was done in a 1㎥ kiln at 900℃ for 9 hours and then second firing for another 12 hours in a 1㎥ kiln. The temperature at the completion was 1250℃. After the first firing using cobalt color base, Hahoe was done. And firing color base was used for decoration after the second firing and fired in an electric kiln at 800℃. This study shows that balance, movement, and somewhat asymmetry can be portrayed applying the shapes and veins of leaves, which can be great subject materials for designing tea sets. Totally new images that are far different from existing designs can be used. Application of the images of plants to tea sets has provided new aspects of designing. I hope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further development and research.-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1. 서론 = 1 1.1 연구목적 = 1 1.2 연구내용 및 방법 = 2 2. 식물과 디자인 = 4 2.1 식물의 구조와 생태 = 4 2.2 한국 도자에 나타난 식물문의 종류와 구성 = 5 2.3 식물문의 표현사례 = 8 3. 茶器의 일반적인 고찰 = 12 3.1 다기의 종류 = 13 3.2 다구의 구성과 특징 = 13 3.3 다기 작품 사례 = 18 4. 작품제작 및 해설 = 24 4.1 디자인과정 = 24 4.2 작품제작 = 36 5. 결론 = 69 참고문헌 = 71 Abstract =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5717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식물의 이미지를 응용한 도자다기 디자인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x, 7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도자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