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임수진-
dc.creator임수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5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5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46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83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464-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focuses the meanings of comics expressions revealed in Keith Haring(1951-1990)'s work in the context of American society and culture in the 1980s. The examples of arts in which refer to comics in the art history could be find in Pop art of the 1960s. However, I suppose Haring's reference to comics is in a different context comparing with Pop art's. This thesis tries to expose how Haring's graffiti technique approached to the public deviating from the mainstream art in the 1980s, and how his commercial success and entrance to an institutional system relate to an art activity in the capitalistic structure. Haring's graffiti work not only denied vestiges of elite modernistic art remained in artists' works of New expressionistic arts and media, but also was an axis of the 70s young culture remaining with the characteristic of alternative and counter-culture. This try is revealed by his referring to the exclusive forms of comics in his art. He was in intimate terms with a few graffiti artists of non-institutional education, and had exhibitions with forms of performance in clubs. Also, he moved toward the public directly in the streets out of museums. I could understand Haring's intention with social messages by transforming the meaning of establishing comics' characters in his characters, and his plan of public recognition via commercialization of his art as well. A Frame line, a line of movements and simplified outline which were applied to his most of works are the way not only to show effectively narratives of arts, but also to deliver his message rapidly and intensively. Besides, this kind of comics technique could appeal to the public more easily as a form of a public mural as well. On the other hand, his work, a part of a minor culture in the 1980s, got popularity and had success commercially during his life. For these reasons, he faced to the criticism of the loss in values as a pure art and the forfeiture of the ability to confront and censure. Haring's art's popularity and commercial success leaning on the establishing institutional system was a sort of a realistic means to display his voice as a minor distant from the majority in the society. That is, he had an intention to present resistant mind of social minorities, and consistently tried to break through realistic conditions for actualization of his purpose. Also, he emphasized differences of comics and his art borrowed from comics. Because he thought his art has aura of pure art, and does not belong to popular culture. Therefore, he used to protest consciously that his art is not commercial. The comics characteristics of Haring's work have interdependence as well as mutual opposition. His art is in the border of high art and popular culture, and the boundary of mainstream culture and marginal culture in the system of capitalism. He reminds that the art history locates in the constant parallel line of high culture and popular culture. His working process can be seen the sign of post modernism which reflects the social context of American circumstances in the 1980s. I could find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in that this thesis is trying to clarify that art displays its conditions drawing from the characteristic of the capitalistic system by analyzing comics forms and meanings in Keith Haring's art. ;본 논문은 키스 해링(Keith Haring, 1951-1990)의 작업에 드러나는 만화적인 표현이 1980년대의 미국의 사회, 문화적 맥락 속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에 주목한다. 미술사에서 작품에 만화를 차용한 예는 1960년대의 팝 아트에서 찾아볼 수 있으나 해링이 도입한 만화적 기법은 팝 아트의 그것과는 다른 맥락이었음을 가정하였다. 이에 본 논문은 해링의 낙서화 작업이 1980년대의 주류 미술에서 벗어나 어떤 방식으로 대중들에게 접근하였는지, 또한 그의 상업적 성공과 제도권으로의 진입이 자본주의 체제 안에서의 예술 활동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에 대해 밝혀보고자 하였다. 해링의 낙서화 작업은 신표현주의 양식의 회화나 미디어 작업을 하던 작가들의 작품에 잔존한 엘리트적인 모더니즘 미술의 잔재를 부정함과 동시에 대안적이고 반문화적 성격을 지닌 1970년대까지의 청년문화의 명맥을 잇는 한 축이었다. 이러한 시도는 예술의 영역에서 명백히 제외되었던 만화가 가진 고유한 형식을 작품에 차용한 것에서 드러난다. 또한 제도권 교육을 받지 않았던 이스트 빌리지의 많은 낙서화가들과 친교를 맺고 클럽을 빌어 퍼포먼스 형식의 전시를 열었던 것이나, 미술관에서 벗어나 거리의 현장에서 대중들에게 직접적으로 접근했던 해링의 작업 방식에서 살펴볼 수 있다. 해링의 작품에 등장하는 캐릭터에서 기존의 만화 캐릭터가 가진 의미를 변형시켜 사회적인 메시지를 드러내거나, 자신의 작품을 상품화하여 알리고자 했던 그의 의도를 읽을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작품에서 사용되는 칸 나눔과 동작선, 단순화된 윤곽선은 작품의 내러티브를 효과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방법이었고, 그가 전달하고자 했던 메시지를 신속하고 강렬하게 호소할 수 있는 수단이었다. 동시에 이러한 만화적인 기법은 공공 벽화의 형식으로 대중들에게 더욱 쉽게 어필할 수 있었다. 한편, 1980년대의 주변 문화였던 그의 작품이 대중적으로 인기를 얻게 되고, 상업적으로 성공하게 됨으로서 순수 예술로서의 가치를 잃어버렸다는 비판을 받음과 동시에, 기존의 제도권 문화에 흡수되어 대항적이고 비판적인 기능을 상실할 수 있다는 비판을 재고한다. 해링의 작품이 대중적인 인기를 누리고 상업적으로 성공한 것과, 제도권의 힘을 빌어 입지를 더욱 확장한 것은 주류에 포함되지 못했던 소수로서의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 위한 현실적인 수단이었다. 즉 사회적 소수로서의 저항 정신을 표출하려는 의도와 그 의도를 실현하는 현실적 조건을 직시 하는 것이다. 또한 그는 만화를 차용한 자신의 작품이 대중문화가 아닌 순수 예술의 아우라를 유지하게 하기 위해 부단히 만화와의 차별성을 강조하거나 자신의 예술이 상업이라는 비판을 피하려는 듯한 변호를 의식적으로 자주 하였다. 이와 같이, 해링의 작업에 나타나는 만화적인 속성은 상호 대립되는 것 같으면서도 상호 의존적인 현실의 모순을 동시에 지닌다. 이것은 그의 작품이 자본주의 체제 안에서의 고급문화와 대중문화, 그리고 중심문화와 주변문화의 경계에 서 있음을 의미하며 미술사가 고급문화와 대중문화라는 끊임없는 평행선상에 놓여지고 있다는 것을 상기시킨다. 그의 작업 방식은 1980년대의 미국적 상황 안에서의 사회적 맥락을 입체적으로 반영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상징으로 볼 수 있다. 키스 해링의 작품에 드러나는 만화적인 형식과 그 의미를 분석하여 예술이 자본주의 체제의 속성을 어떻게 끌어들여 예술의 조건을 드러내는지 재고하였다는 점에서 본 눈문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 I. 서론 = 1 II. 1980년대의 미국 사회와 문화 = 9 1. 레이건 정권하의 보수주의 주류문화 = 9 2. 이스트 빌리지 예술가들과 그 문화 = 16 III. 해링의 작품과 만화 = 25 1. 만화의 도입 = 25 2. 만화적 형식 = 31 (1) 캐릭터의 사용 = 31 (2) 칸 나눔 기법 = 41 3. 풍자적 주제 = 49 4. 작품의 상품화 = 55 V. 결론 = 60 참고문헌 = 64 도판목록 = 73 도판 = 77 Abstract = 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5590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만화적 속성을 통해 본 키스 해링(Keith Haring)의 작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ⅴ, 9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