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임현주-
dc.creator임현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5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5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86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82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86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항공정비사를 대상으로 정비복의 착용실태를 조사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조사대상의 작업 환경에 맞게 동작 정응성과 신체 적합성, 쾌적성 등의 기능성을 향상시킨 항공정비복을 설계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는 직접 관찰 및 항공사 별 정비사들과의 면담을 통해 작성되었으며 크게 상하분리형과 상하일체형 두 가지로 구분되었다. 설문지는 상하분리형 159부, 상하일체형 184부로 총 343부이며 설문조사 결과로 파악된 문제점을 바탕으로 실험정비복을 제작하여 현 정비복과 비교하여 5차에 걸쳐 착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1. 설문조사 (1) 정비복 착용빈도에 관한 질문에서 회사의 근무복으로서의 기능을 하는 상하분리형은 항상 착용하였으며 상하일체형의 경우 가끔 착용한다고 응답하여 비교적 정비복 착용을 자율에 맡겼다. (2) 동작 적합성을 묻는 문항에서는 상하분리형과 상하일체형에서 ‘앉은자세’ ‘기는자세’ ‘공구사용동작’을 제외한 모든 동작에서 불편함을 느꼈으며 기능성에 대한 질문에서는 모든 문항에서 불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동작 적합성과 기능성에 관한 전체적인 질문에서는 비교적 상하분리형이 상하일체형에 비해 더 좋은 결과것으로 나타났다. (3) 여밈 방법의 개선여부를 묻는 문항에서는 각 회사별 여밈 방식이 틀렸으며 상하분리형, 상하일체형 모두에서 현재의 정비복 여밈방법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정비 시 정비복이 튿어지거나 해지는 부위를 묻는 문항에서 상하분리형의 경우 상의는 모든 문항에서 해어지거나 튿어지는 부위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하의는 바지가랑이와 엉덩이 솔기가 튿어 진다고 하였다. 상하일체형의 경우 해지는 부위로는 엉덩이 솔기이며 튿어지는 부위는 무릎부분, 바지끝단으로 조사 되었다. (5) 소재의 만족여부에 관한 문항에서 상하분리형과 상하일체형 모두 매우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통기성과 흡수성에 관한 불만도가 높았다. (6) 정비복 선호 디자인에 관한 질문에서는 조사대상자 대부분이 상하분리형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실험복 설계 기존 항공정비복의 불편사항과 개선사항을 종합하여 실험 정비복에서는 근무환경에 맞는 동작 적합성과 쾌적성 측면에서 인간공학적으로 설계하였다. 동작 적합성 측면에서는 상지 동작의 움직임을 고려하여 뒤품에 여유분량의 주름분을 추가하였고 팔동작 시 겨드랑이 부위의 당김과 옷이 따라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무를 삽입하였으며 팔꿈치, 무릎관절을 사용하는 각 부위 즉, 팔꿈치, 엉덩이, 무릎부위에 다트를 주어 운동 적응성이 높은 패턴 설계를 하였다. 또한 엉덩이 부위의 당김 현상을 막기 위해 뒤허리 중심선의 세로뱡향으로 길이를 늘려주었다. 쾌적성 측면에서는 현 상하일체형 정비복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CoolMax^(??) 소재를 겨드랑이와 등부위의 안감으로 사용하여 땀을 빨리 배출시킴으로써 쾌적성을 향상시켰다. 3. 착용감 평가 실험복의 착의평가는 피험자 5인(20대 남자 대학생)과 전문가7인(의류학전공 대학원생)으로 구성된 평가단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 결과 현 정비복보다 실험복의 외관 평가와 동작적응성 평가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 현장활동 적합성 평가는 실제 항공정비사인 3인의 산림청 정비사들이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살펴보면 현정비복보다 실험복을 더 선호하였으며 쾌적성에 관한 문항에서 좋은 결과를 얻었다. 또한 객관적 평가 방법인 Cross-cut과 신장계로 앞밑위, 옆허리, 뒤밑위를 계측한 결과 현 정비복보다 실험복의 길이가 더 작게 나타났으므로 위의 주관적 평가 결과의 실험복에 대한 결과를 뒷받침 해 주었다.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dition of the work clothing worn by aircraft maintenance workers, identify problems, and thereafter design work clothing with improved motional flexibility, body fit, and comfort to cope with the operational environment of the subjects. For this study, questionnaire surveys were administered based on both one-piece and two-piece styles of clothing. The questionnaires totaled 343, consisting of 159 concerning two-piece garments and 184 one-piece. Furthermore, taking into consideration problems found by means of the questionnaire surveys, an experimental work-clothing garment was manufactured and evaluated five times in comparison with current work clothing. 1.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s (1) Questions about the frequency of wearing each type of work garments showed that the two-piece is always worn as an airline uniform, whereas the one-piece is worn only sometimes, so that the two-piece takes comparative precedence. (2) Questions about motional fitness clarified that the subjects felt inconvenience during all operations except in the sitting position, crawling position, and positions in which they had to use tools. Accordingly, the functionality results of the questionnaires reported dissatisfaction on all question items. Therefore, the two-piece uniform achieved better results on all questions related to motional flexibility and functionality. (3) Questions on changes to finishing methods showed that each airline employed a different method and reported 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finishing methods for both two-piece and one-piece uniforms. (4) Questions concerning the unstitched or worn-out parts of the two-piece garment showed that the lower uniform is unstitched on the inner seam of the trouser leg and hip region, but the two-piece is not. In the case of the one-piece, the part most likely to wear out is the seam of the hip and the unstitched part is in the knee region and trouser hemline. (5) Questions concerning satisfaction with the material of two-piece and one-piece uniforms indicated a high rate of dissatisfaction, particularly in terms of ventilation and absorbency. (6) Questions concerning the preferred design of work clothing indicated a preference for two-piece rather than one-piece garments. 2. Sample Uniform Design Taking into consideration both the inconveniences reported with current work clothing and the subjects' requirements, the researchers designed an ergonomic sample with improved motional flexibility and comfort. To improve motional flexibility, extra folds of material were added to the backs of the garments to allow for ease of motion of limbs, in particular so that the material would not be drawn up by the motion of the arms. Darts were added to the elbow, hip, and knee region, a design that also followed an ergonomic pattern. Furthermore, by increasing the length of the waist centerline, the hip region would not be drawn up. For improved comfort, CoolMax^(??) was used as lining material for the armpit and back region to discharge sweat promptly. 3. Evaluation of Sample Subjects (5 college men in their 20's) and experts (7 graduate school students majoring in clothing and textiles) were asked to evaluate the sample.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sample was evaluated more highly than the existing work clothing in terms of outward appearance and motional flexibility. The field evaluations by 3 aircraft maintenance workers (Forest Aviation Office) demonstrated a positive result in terms of comfort. Moreover, the cross-cut, an objective evaluation method, showed that the length of the sample appeared smaller than in current work clothing in terms of the measurement of front crotch height, side waist height, and back crotch height. The result was supported by a subjective evaluation of the sampl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xi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 범위 = 2 C. 연구 목적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항공정비사의 정의 및 역사적 배경 = 4 1. 항공정비사의 정의 = 4 2. 항공정비의 역사적 배경 = 5 B. 항공정비 및 자격기준 = 6 1. 항공정비 = 6 2. 정비 단계별에 따른 T·A·B·C·D 구분 = 6 3. 항공기의 정비규정 = 7 4. 항공정비사의 자격기준 = 9 C. 업체별 항공기 보유현황 및 조직구성 = 11 1. 항공기 보유현황 = 11 2. 업체별 항공정비사 조직구성 및 업무 = 14 D. 항공정비복에 대한 연구 = 19 1. 현행 항공정비복 = 19 2. 항공정비복에서 요구되는 기능성 = 34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40 A. 항공정비복의 착용 실태조사 = 41 1. 조사목적과 설문지 구성 = 41 2. 조사대상 및 방법 = 41 B. 비디오 동작 분석 = 42 C. 실험 항공정비복 디자인 설계 = 42 D. 착의 평가 = 44 1. 주관적 평가방법 = 45 2. 객관적 평가방법 = 47 Ⅳ. 결과 및 고찰 = 50 A. 항공정비복의 착용실태 조사 결과 = 50 1. 항공정비사의 일반적 사항 및 정비파트 = 50 2. 항공정비복 착의 실태 = 55 B. 비디오 동작분석 = 68 C. 실험 정비복의 설계 = 69 1. 열적 쾌적성 향상 - CoolMax^(??) = 69 2. 활동성 부여(패턴의 변형) = 72 D. 실험 정비복 착의 실험평가 결과 = 77 1. 주관적 평가방법 = 77 2. 객관적 평가방법 = 90 Ⅴ. 결론 및 제언 = 101 A. 결론 = 101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 103 참고문헌 = 104 Abstract = 107 부록 = 11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9780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항공정비복의 기능성 향상을 위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ii, 12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직물학과-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