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4 Download: 0

甘露幀畵를 통해서 본 藝人 복식에 관한 연구

Title
甘露幀畵를 통해서 본 藝人 복식에 관한 연구
Authors
민보라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감로탱화(甘露幀畵)에 나타난 예인(藝人)을 중심으로 17세기부터 19세기에 걸쳐서 나타난 조선시대 후기의 예인 복식을 살펴본 것이다. 감로탱화는 영가천도재(靈歌薦度齎)때 쓰이던 불교 의례용 불화로써 18세기에서 20세기에 이르기까지 많은 양의 작품이 남아있다. 감로탱화는 본래 의례용 불화이나, 조선시대 후기로 갈수록 일반 서민들의 생활상을 가장 큰 소재로 다루게 되며, 이때 등장하는 사당패나 광대들의 모습은 예인 복식의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18세기 이후의 감로탱화에서는 복식의 표현에 변화가 생기는데, 감로탱화에 등장하는 도상들은 시대마다 인원수나 구성에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으므로 각 인물들의 복식 변화를 확실하게 비교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감로탱화를 기본으로 문헌과 유물과의 비교를 통하여 감로탱화에 나타난 예인 복식을 살펴보고자한다. 감로탱화에 나타난 예인들은 그 성격에 따라 네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Ⅰ그룹은 여악(女樂)과 무희(舞姬), 두 번째 Ⅱ그룹은 우파새(優婆塞)와 우파이(優婆夷), 세 번째 Ⅲ그룹은 사당패, 네 번째 Ⅳ그룹은 무녀(巫女)이다. Ⅰ그룹은 초기 감로탱화인 16, 17세기에만 나타나는 예인으로서 후기의 예인들과는 달리 궁중 연희에 가까운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따로 구분하였다. Ⅱ그룹인 우파새와 우파이는 출가하지 않은 신분으로 부처와 승려를 섬기는 사람들이다. 남자를 우파새, 여자를 우파이라고 하나 보통 우파새로써 이들 모두를 지칭하기도 한다. 이들 가운데에서는 예능에 능한 사람들이 많아 자연스럽게 유랑 예인들과 어울리게 되면서 후에 사당패를 이루게 된다. Ⅲ그룹은 사당패로, 일정한 정착지 없이 유랑하던 이들이 암자나 사찰을 근거지로 두고 사찰의 승려들과 관계를 맺어 집단을 형성한 것으로, 후에 다양한 놀이패들로 분화된다. Ⅳ그룹인 무녀는 굿판을 주도하는 사람이다. 굿판은 모든 대중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곳으로 연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예인으로 구분하기로 했다. 이들이 착용하는 복식은 무녀를 제외하면 공통적으로 비슷한 복식들을 착용하고 있다. 18세기 초기부터 18세기 중반까지의 감로탱화는 고려의 양식과 중국적인 요소가 같이 보이다가 18세기 후반에 와서야 비로소 조선시대 후기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저고리 양식과 포(袍)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복식의 변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저고리 양식의 변화와 치마 착장 방식의 변화이다. 저고리의 길이는 18세기 초부터 중반까지는 둔부선의 길이에 깊은 여밈으로 나타나다가, 18세기 후반 이후 길이는 허리 위까지 올라가고 여밈이 얕아진다. 치마허리도 저고리의 변화에 따라 그 위치가 변하게 된다. 둘째, 포제(袍制)에 있어서 초기에 나타나는 포제는 여밈이 깊고, 깃과 수구에 선이 둘러진 형태가 많이 나타나며, 18세기 이후에는 조선후기에 많이 착용되던 창의(창衣)류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감로탱화의 사당패들은 소창의(小창衣)를 착용하고 있는데, 소창의는 옆트임이있고 소매가 좁아 주로 서민들에게 착용된 의복이었다. 반면 사대부(士大夫)에게는 창의류가 관복 밑에 입는 받침옷의 역할을 했다. 셋째, 흑립(黑笠)은 시기에 따라 입(笠)의 크기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며, 주로 양반들이 착용하던 흑립은 18세기 후반에 들어와서 그 착용범위가 일반 서민들까지 확대되었다. 그러므로 흑립에 있어서 양반과 서민의 구분은 입자(笠子)의 색으로 구분하기 보다는 입(笠)의 패영이나 갓끈 등 외부 장식의 재료와 입자의 정교함에 그 차이를 두었던 것으로 보인다. 넷째, 한삼(汗衫) 착용의 변화이다. 한삼의 착용은 사당패에서 춤을 담당하는 여자들에게서 주로 나타나며, 초기와 후기에서 두 가지 형식으로 구분된다. 초기의 한삼은 저고리의 밑받침으로 입는 것으로 소매 부분이 길어 저고리 밖으로 나온다. 특히 밖으로 나오는 부분은 다른 소재로 만들어서 덧대었다. 반면 후기에는 간략화되어 손에 끼우는 형식의 것이 나타난다. 다섯째, 여성의 두식에 있어서 사당패의 여기들에게서는 18세기 초에 고계(高계)에 화관을 착용한 모습이 나타난다. 18세기 후반에 가면 점차 얹은머리, 쪽진 머리 순으로 변화되었다. 가체 금지령 이후 쪽진 머리가 풍속화 되었던 시기에도 여기(女技)의 머리모양에서는 고계나 가체(加체)가 여전히 보이고 있다. 조선왕조실록에서도 여기의 고계에 대해서는 금지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여기들은 공연을 행하는 신분이었기 때문에 이러한 금지령이 적용되지 않았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편, 감투(坎頭), 소모자(小帽子), 전립(戰笠) 등은 큰 변화 없이 감로탱화의 전 시기에 걸쳐 나타나는 것이다. 특히 소모자의 경우는 출토 유물로도 다수 발견되고 있는데, 그 착용자가 상류 계급으로 확인되고 있어 양반에서 서민까지 모두 착용했던 모자일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유물로 발견된 소모자는 대부분 습의용이었기 때문에 그 착용 용도에서는 차이가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이와 같이 감로탱화에 나타난 예인들의 복식은 기본적으로 일반 서민들과 같은 형식의 것을 착용했지만 공연을 행하는 신분이었기 때문에 고계나 화관 및 일부 복식에서는 일반 서민들과 다소 차이를 보였다. 복식의 색상에 있어서는 다양한 색상이 나타나지만 감로탱화가 불화인 점을 감안하면 실제 복식의 색상과는 차이가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이들이 공연을 하는 배우의 입장이었기 때문에 일반인들에 비해서 화려한 색상의 의복을 착용했을 가능성이 높다. 18세기 후반의 감로탱화에서 조선 후기의 의복 양식들이 반영된 것은 임란 이후 전쟁으로 인한 새로운 문화 이입과 16세기부터 진행되어온 사회 체제의 변화를 그 이유로 들 수 있다. 18세기 후반의 조선사회는 상업경제의 발달로 신분질서에 변화가 있었고, 기존의 전통적인 성리학적 문화관에서 벗어나 다양한 창작이 구현된 시기로 서민들의 예술 활동도 왕성한 때였다. 풍속화나 산대희 같은 대중문화가 발달하기 시작한 것도 바로 이 시기였으므로, 이러한 서민층의 성장이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예인이 나타나는 세부적인 복식의 모습을 감로탱화만으로 설명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예인들의 신분이 하층계급이었기 때문에 남아있는 복식 유물이나 문헌 자료의 부족으로 실제적인 복식형태를 추정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다. 그러나 이러한 예인 복식에 관한 연구는 전통 공연복식 뿐만 아니라 서민 복식문화에 관해서도 알 수 있는 기초가 될 수 있으므로, 좀 더 광범위한 사례를 통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ostumes of entertainers in the late Chosun Dynasty of the 17th through 19th century, centering around the costumes of entertainers shown in Gamrotaenghwa(甘露幀畵). There are lots of works of Gamrotaenghwa remained which were used from the 18th to 20th century as the painting for Buddhist praying ceremony, Young-ga-cheon-do-je(靈歌天度齎). Gamrotaenghwa had been originally the painting for ceremonies, but it became to mainly show the lifestyle of common folks while coming to the late time. The wandering performers and clowns appearing there are very important to study the costumes of entertainers. The works after the 18th century show some changes in the costumes, and the people in Gamrotaenghwa are almost same in the number and organization, in spite of some changes, so that we can read the changes in their costumes. Therefore, this study reviewed the costumes of entertainers shown in Gamrotaenghwa through the literatures and relics therein. The entertainers shown in Gamrotaenghwa can b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y their characters. The music instrument players and dancers are included in Group I, Woopasae(優婆塞) and Woopayi(優婆夷) in Group II, Sadangpae in Group III, and the female shaman in Group IV. Group I of the entertainers shown in Gamrotaenghwa in the 16th century of early time is separately classified because they have close appearance to the court entertainers differently from those shown in the late Gamrotaenghwa. Group II consists of Woopasae and Woopayi serving the Buddhist and monks without entering the priesthood. The man is called Woopasae and the woman is called Woopayi, but the former is usually called for both of genders. Originally, these are the people serving the Buddhist and monks in the temple, but they become the members of Sadangpae group because many of them are talented in the arts and get along with the wandering performers. Group III is of Sadangpae grouped based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monks in the temple while the wandering entertainers had become to have the base in the hermitage or temple, which was divided into many entertaining groups later. The entertaining group shown in Gamrotaenghwa is not exactly identified, but their performance is similar to that of Sadangpae. Also, the Sadangpae troupe was the representative professional entertaining group because of being well-organized and having various artistic skills, so it was also called 'company troupe'. The female shaman of Group IV is classified as an entertainer because she also performed holy exorcism, but the exorcism was the place for the public to take part and has the nature of entertainment. All of their costumes are similar, except the female shaman. The costumes of entertainers have the style of Koryo Dynasty with Chinese factors till the middle of early 18th century, and Chogori(Korean jaket:赤古里) and Po(Korean traditional jacket and coat: 袍) style of late Chosun Dynasty appeared in the late 18th century. To arrange the factors of such costume changes: First, it's the change of Chogori style and skirt wearing style. The length of Chogori was up to the hip line with wide overlapping from the early to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y, but thereafter, the length was shortened with less overlapping. The top part of skirt was changed according to the design change of Chogori. Second, Po(袍) which became to appear in the early time is mainly the style of wide overlapping and lined collar and sleeve hole. After the 18th century, Changeui(창衣) of Chosun Dynasty style appeared. In particular, Sadangpae members shown in Gamrotaenghwa wear Sochangeui which was used mainly by the common folks because of having side opening and narrow sleeve but it was underwear of official uniform for the illustrious officials. Third, wearing of Heuklip(black hat:黑笠) increased and three-dimensional change appeared as the time goes. Heuklip was used mainly by the musicians. It is found through wearing by the musicians of Heuklip that it was a symbol of noble status, Yangban(兩班) in the early Chosun Dynasty, but its accessories such as Paeyoung(貝纓) or strip rather than the color were the indicators to classify the classes, Yangban and common folks in the late Chosun Dynasty. Fourth, it's the change of wearing the Hansam(汗衫) Hansam was shown mainly in the dancers of Sadangpae troupe, being classified into two types. In the early time, it was worn under Chogori, of which the sleeve is longer than that of Chogori. The part longer than Chogori was made of other material added. But, in the late time, simple type to insert the hands is shown. Fifth, the women's hair style was changed from wearing of coronet on Gogye(high hair peak:高계) in the early time to Eonjeon Meori(얹은머리) and Zokjin Meori(쪽진머리), in turn, in the late time. When Zokjin Meori was popularized after the order to prohibit the wig had been issued, Gogye(高계) and wig were used by Kisaengs, which is considered that it was possible because of the performers. Differently from such changes, Gamtoo(坎頭), Somoja(小帽子), Jeonlip(戰笠), etc. are shown throughout whole time of Gamrotaenghwa. In particular, Somoja is also discovered in lots of relics, worn by higher class people,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hat used by all the classes from Yangban to common folks. However, it is guess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its use. Meanwhile, Cholli(帖裡), Jeonbok(戰服), etc. shown in the costumes of female shaman were the symbols of civil and military officers, and Mongduri(蒙頭里) was full-dressed costume of female shaman which is commonly shown in the costumes of political and financial officers in the court. As above, the costumes of entertainers shown in Gamrotaenghwa were same as the ones of common folks, but the official uniform or Gogye, etc. would be possible for the roles of performances. The costumes followed the styles of Koryo Dynasty and China in the early time, but, after the late 18th century, Gamrotaenghwa was influenced by introduction of new culture through the war attacked by Japan and systematic change of the society proceeded since the 16th century and change of public consciousness. For this study, there was a difficulty to explain the costumes in detail only with Gamrotaenghwa showing the entertainers. Also, it is not sufficient to presume the actual costume style because there are few costume relics and literature due to their low status. However, this study on the costumes of entertainers would be the foundation of Korean traditional performance costumes. Due to lack of relics and illustration, lots of studies through more various case studies will have to be mad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