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2 Download: 0

남성정장 설계를 위한 연령별 체형별 치수체계에 관한 연구

Title
남성정장 설계를 위한 연령별 체형별 치수체계에 관한 연구
Authors
이혜영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남성정장 기성복의 치수적합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각 업체의 브랜드가 타겟으로 하는 연령집단의 체형특성에 맞는 치수체계를 설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남성을 대상으로 기성복 정장의 착용실태를 설문조사하여 소비자들의 치수인지도와 치수만족도를 파악하였으며, 남성정장을 생산하고 있는 업체를 대상으로 각 브랜드가 타겟으로 하는 연령대와 현행 남성정장 치수체계의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또한 국민표준체위조사 자료 중 20세에서 60세까지의 성인남성 계측자료의 분석을 통해 성인남성의 신체적 특징과 그 분포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업체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연령집단을 분류한 후, 각 연령집단별로 요인분석, 군집분석을 통해 성인남성의 다양한 체형을 형태적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체형차이를 판별해 줄 수 있는 판별함수를 도출하여 몇 가지 계측항목만으로도 개인의 체형을 쉽게 판별할 수 있게 하였다. 이상의 자료를 토대로 정장상의와 하의의 기본부위와 치수간격을 정하여 각 연령집단별, 체형에 따른 구체적 치수조합을 제시하여 다양한 체형을 고려하면서도 현실적으로 적용 가능한 치수체계를 설정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정장 업체의 브랜드별 타겟 연령대를 조사한 결과 매우 다른 범위와 수준의 연령대로 선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분석한 자료를 근거로 하여 연령 1집단은 20세-35세, 연령 2집단은 31세-45세, 연령 3집단은 41세-60세의 세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연령집단별로 상반신과 하반신으로 나누어 키와 체중에 의한 지수치로 요인 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여 성인남성의 체형을 구성하는 형태적 요인을 추출하였다. 상반신은 몸통의 수평적크기 요인, 몸통하부의 형태 및 크기 요인, 몸통의 높이 요인, 어깨경사각 요인, 몸통의 길이 요인 등 5가지 요인으로 나타났고, 하반신은 엉덩이에서 넓적다리까지의 형태 및 크기 요인, 허리와 배의 형태 및 크기요인, 하반신 높이 요인, 엉덩이길이 요인 등 4가지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집단별로 큰 차이는 없었다. 셋째, 성인남성의 체형을 몇 개의 특징적인 형태로 분류하기 위해 요인점수를 독립변수로 군집분석(Cluste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상반신의 경우 각 연령집단별로 3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고, 하반신은 2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분류된 각 유형별로 측정치들의 지수값과 절대값을 함께 해석하여 유형의 특징을 분석하고 알기 쉽게 명명하였다. 상반신의 경우 연령 1집단은 솟은 어깨에 상반신길이가 보통인 L(Large)형, 보통 어깨에 상반신 길이가 짧은 S(Small)형, 처진 어깨에 상반신 길이가 긴 R(Regular)형으로 분류되었다. 연령 2집단은 솟은 어깨에 상반신 길이가 짧은 S형, 보통 어깨에 상반신 길이가 긴 L형, 처진 어깨에 상반신 길이가 보통인 R형으로 분류되었다. 연령 3집단은 처진 어깨에 상반신 길이가 긴 R형, 솟은 어깨에 상반신 길이가 짧은 L형, 보통 어깨에 상반신 길이가 보통인 S형으로 분류되었다. 하반신의 경우는 연령 1집단은 하반신 길이가 길고 밋밋한 H형, 하반신 길이가 짧고 하반신 상부가 비만한 Y형으로 분류되었고, 연령 2집단은 하반신 길이가 긴 Y형, 하반신 길이가 짧은 H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연령 3집단 역시 하반신 길이가 긴 Y형, 하반신 길이가 짧은 H형으로 분류되었다. 넷째, 새로운 개인의 체형을 쉽게 판별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하기 위하여 단계적 판별분석(Stepwise discriminant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상반신의 경우 윗가슴둘레/체중, 허리둘레/체중, 목뒤높이/키, 등길이/키, 어깨경사각(우) 등 5개 항목, 하반신의 경우 엉덩이길이/키, 밑위앞뒤길이/체중, 허리둘레/체중, 엉덩이둘레/체중 등 4개 항목, 즉 대표성이 있고 간편하게 계측할 수 있는 항목을 투입하여 판별함수를 구하였고 각 유형별로 70% 이상의 높은 적중률을 나타내었다. 다섯째, 남성정장의 치수체계 설정을 위해 기본부위와 치수 간격은 국내외 치수체계와 업체조사 자료를 참고로 하여 상의의 경우 키 5cm, 윗가슴둘레 3cm, 허리둘레 3cm로 하였으며, 하의는 허리둘레 2cm, 엉덩이둘레 2cm로 하여 각기 빈도 분포표를 제시하였다. 치수분포를 분석하여 각 체형별로 2% 또는 3% 이상의 출현율을 보인 구간을 치수로 선택하였다. 그 결과 연령집단별, 체형별로 상의는 7-12개, 하의는 12-17개의 치수규격이 선택되었다. 또한 정장 상ㆍ하의 제작과 관련이 깊은 항목, 즉 상의의 경우 엉덩이둘레, 어깨너비, 앞품, 뒤품, 등길이, 팔길이 등 6 항목, 하의의 경우 키, 바지길이(허리높이-바깥복사점높이), 밑위앞뒤길이, 넓적다리둘레 등 4항목을 참고부위로 선정하여 각 연령집단별 체형별로 참고치수를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남성정장 생산업체의 브랜드별 타겟 연령집단의 체형특성에 관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남성정장 기성복의 치수적합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Men's tailored suits are expected to fit better than other items of clothing.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fit, often customers find their size with chest girth or waist girth only. It is because there are not enough sizes to fit individual body shap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sizing system of men's suit for better fit. A questionnaire mainly about size and fit were given to 403 customers (suit wears) in order to find out the size problems. Also interviews with designers and pattern technicians working for 34 brands of 22firms were carried out to know target ages and characteristic sizing systems of their own.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target ages were grouped into three, 20-35, 31-45 and 41-60 years old. Another obvious result was that the customers of each age group ought to be categorized into various figure types, so that their dimensional characteristics can be applied in suit design and manufacturing. With the principle of sizing system, i.e. age grouping and figure type categorizing, a part of the data of Korean census of anthropometric measurements in 1997 was statistically researched. The measurements of 1496 men aged between 20-60 were analyzed as follows: - The data were grouped into three, 20-35, 31-45 and 41-60 years of age. - Considering the usual size difference between jacket and trousers, sizingsystem for jacket or trousers was developed with separate. - Factor analysis using values, which were measurements divided by either weight or height, were carried out to extract factors which characterize various figures. The reason of using the values instead of measurements is to remove the size effect on categorizingfigure types. 5 factors to determine the figure types for jackets and 4 factors to determine the figure types for trousers were extracted. - Separate cluster analysis using these factors were carried out to categorize the figure types within the age groups. Figure types for jackets were categorized into 3 in an age group, and figure types for trousers were categorized into 2 in an age group. So there are 15 clusters, 9 for jackets and 6 for trousers. Figure types for jackets characterizetheir shoulder angle and body shape, and figure types for trousers characterize their crutch length and hip and thigh shape. - Discriminating analysis was done to make sure that these clusters could be utilized with appropriate hit ratio. Hit ratio for each age group was around 80%. - Altogether 15 size charts were developed based on frequent distribution. Size designating measurements for jackets were height, chest girth and waist girth, and for trousers were waist girth and hip girth. Size interval were 3cm for chest and waist girth, 5cm for height, and 2cm for waist and hip girth. - Considering the cover factor, chart with limited number of sizes were suggested with necessary measurements for each figure type of each age group.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