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5 Download: 0

유아교육기관교사의 체육교육에 대한 관심도 및 인식도 조사연구

Title
유아교육기관교사의 체육교육에 대한 관심도 및 인식도 조사연구
Authors
류제련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교사의 체육교육에 대한 관심도 및 인식도를 살펴봄으로써 유아교육기관의 체육교육실행의 현 상태를 진단하고 운영개선방안을 탐색하며, 체육교육의 활성화와 더불어 유아가 보다 원만한 환경에서 긍정적이고 발전적인 수업을 할 수 있도록 전인교육으로서의 체육교육 개발과 지도에 필요한 미래발전방향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소재 유아교육기관교사 256명을 대상으로 체육교육에 대한 관심도 및 인식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사들의 관심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텍사스 대학교(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교사교육연구소(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for Teacher Education)에서 개발된 '관심도 질문지(The Stages of Concerns Questionaire)'를 본 연구에 맞게 번안·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교사들의 인식도를 알아보기 위해 사용한 연구도구는 선행 연구를 참고로 하여 작성되었으며, 신뢰도와 타당도를 위한 예비 조사를 실시한 다음 전문가와 상의하여 몇 차례 수정·보안의 과정을 거친 후 최종적으로 제작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교사의 체육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관심도는 '무관심'으로 밝혀졌으며 이러한 사실은 유아교육기관교사의 체육교육에 대한 관심도가 매우 낮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유아교육기관교사에게는 체육교육에 대해 관심과 흥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정보와 체육교육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사람들과 대화 할 수 있는 기회가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이러한 지원이 제공되었을 때 교사의 관심은 보다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유아교육기관교사의 개인배경에 따른 관심도를 살펴본 결과 연령, 학력, 교사경력, 과거 중·고등학교 학교체육수업의 태도 및 학교체육수업 외 체육활동의 참여 경험, 현재 생활체육활동의 참여도는 교사의 관심도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셋째, 유아교육기관교사의 개인배경에 따른 인식도를 살펴본 결과 연령, 학력, 교사경력, 과거 중·고등학교 학교체육수업의 태도 및 학교체육수업 외 체육활동의 참여 경험, 현재 생활체육활동의 참여도는 교사의 인식도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넷째, 체육교육의 운영 및 운영개선방안에 대한 인식도를 살펴본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체육교육의 가장 큰 문제점에서는 다양한 체육시설의 부족, 유아교육기관의 경제적 지원 부족, 지도상의 어려움이 차례로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체육교육 운영 시 가장 큰 장애요인은 열악한 체육시설 부족으로 인한 체육수업의 질 저하, 유아교육기관의 경제적 지원 부족, 체육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의 열의 부족 순으로 높은 비율이 나타났다. 또한 체육수업에서 가장 중점을 두는 사항에 대해서는 학습목표에의 도달, 유아들의 주의집중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체육수업에서 가장 중시되어야 할 내용에서는 인성교육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체육교육 활성화를 위해 시설 측면에서 가장 먼저 개선되어야 할 사항에서는 지역사회 체육 시설의 연계 사용, 다음으로는 강당 및 운동장 확보 순으로 높은 비율을 나타냈으며 체육교육 활성화를 위해 수업내용측면에서 개선되어야 할 사항에서는 유아의 흥미와 특성을 모두 고려한 수업내용 제시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또한 체육교육 활성화를 위해 교사측면에서 개선되어야 할 사항에서는 교사의 체계적 실기지도능력이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으며, 체육교육 활성화를 위해 수업운영측면에서 가장 먼저 개선되어야 할 사항에서는 체육관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다섯째, 유아교육기관교사의 체육교육에 대한 관심도와 인식도 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아교육기관교사의 체육교육에 대한 인식도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체육교육의 교육목표 인식영역에 대한 평균점이 가장 높았고, 체육교육의 교육환경 인식영역은 매우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유아교육기관교사의 체육교육에 대한 관심단계별 인식영역의 차이 검증을 위하여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체육교육의 관심도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유아교육기관교사의 체육교육에 대한 관심도와 인식도의 상관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들의 체육교육에 대한 관심도와 가장 큰 정(+)상관관계를 보이는 변인은 체육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영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체육교육에 대한 관심도가 높을수록 체육교육의 필요성, 교육목표, 교육내용, 수업운영 인식영역에 대해 긍정적인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교육환경에 대한 인식영역은 체육교육에 대한 관심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physical education at baby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propose a plan to improve the current practices of childhood physical education, promote childhood physical education and moreover, furnish the fundamental data needed to improve physical education as part of the overall curriculum with the purpose of offering a child the opportunity to learn in a harmonious and supportive environment. By evaluating the interest and cognizance towards physical education held by instructors of baby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is paper also aims to present the future prospects of such education. This study surveyed 256 instructors at baby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Seoul to understand their interest and cognizance towards physical education. This study utilized The Stages of Concerns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for Teacher Education at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with appropriate modifications. This research was also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o increase the accuracy and validness of the study preliminary surveys were conducted. This questionnaire was finalized after consultation with experts and several rounds of modification based on such consultation.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survey and research, frequency, percentages, averages, standard deviation, one-way ANOVA and correlation along with SPSS programs were used to analyze the statistical data. Utilizing the given method of research,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interest of instructors of baby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towards physical education is very low. Therefore, these instructors should be given more opportunities to work and interact with experts on physical education in order to motivate them and increase their enthusiasm and interest about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of babyhood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be provided with specific education on infant physical education and constructive programs must be developed in order for these instructors to gain more interest. Second, the personal background of the instructor, including age, education, career, attitude towards physical education in their own youth, extra athletic experience, and current participation in athletic activities have an impact on the interest an instructor holds. Third, the personal background of the instructor, including age, education, career, attitude towards physical education in their own youth, extra athletic experience, and current participation in athletic activities have an impact on the cognizance an instructor holds. Fourth, the study on cognizance towards currently conducted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and improvements to physical education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The biggest issue in physical education appeared to be (1) the lack of various physical education facilities, (2) lack of financial support, (3) difficulty of actual teaching. The biggest risk related to actual implementation of physical education were (1) deterioration of the quality of physical education, (2) lack of financial support, (3) low enthusiasm of instructors for physical education itself. The key focus of physical education was to reach educational objectives and to gather and maintain the attention of the babyhood students. The most important aim of physical education was to develop the student into a well-rounded person. The first item to improve was the lack of cooperation with local athletic facilities. Next, securing gymnasiums and athletic fields was also considered important. The key method to improve physical education itself was to present a curriculum which deliberates the interest and characteristics of children students. With regards to the instructors themselves, the most urgent item to improve was the practical educational skills. Also, gymnasiums and athletic fields topped the list on administrative fields for improvement. Fifth,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est and cognizance of instructors towards physical education are as follow. Based on the averages and standard deviations for each field studied regarding physical education, the factor that showed the highest (positive) correlation to the interest for physical education was the necessity of physical education, followed by the purpose, administrative issues, and contents of physical education. Therefore, the more interest an instructor showed for physical education, the more positive attitude the instructor showed for the above factor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understanding of the environment for physical education and an instructors interest. Based on these results, the interest and cognizance an instructor of babyhood education has a great impact on the promotion and development of physic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refore, if measures and efforts are taken to increase the interest and cognizance of these instructors for physical education, the physical education of our youngest generation will move forward into a much more beneficial direc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