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4 Download: 0

생명 형성 과정을 통한 모체의 감정 표현

Title
생명 형성 과정을 통한 모체의 감정 표현
Authors
황지연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학부조소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Human beings are all born with a gender and live their given life expectancy. Thus, humans meet an opposite sex and are united together to create new living bodies. Through such new life bodies, humans continue to exist. The process of creating life allows the mother-body and its fetus to undergo massive changes than any other moment of human beings' life. The mother-body changes a woman into a mother, and the fetus changes from a single cell into a perfect body, while undergo massive changes. The mother-body and the fetus experience such changes for ten months, and share homogeneous and heterogeneous feelings, thus having various feelings. This research sought to express the motherly psychology that the mother body feels through its fetus in the process of life creation through pregnancy. It conducted theoretical review of the concept of life and maternity. It also reviewed artists and works that reflected themes of life and maternity. Research methodologies included literature review, and work creation and analysis. For expression details, the research described various relationships that the mother-body had with its fetus according to its feeling during the pregnancy. The expression method involved the formation of the mother-body through joining and dismantling of wood, carving and joining symbols of fetuses in the organic form, and their relationships. Layer-to-layer stacking wood in these expressions represent time, and square forms symbolize the mother-body. Also, the organic forms symbolize the fundamental form of life. Likewise, the research analyzed seven works on the basis of their background theories, expression details and expression methods. For work joining, the research expressed what two square pieces of wood with different structures were wedged in each other and became one lump thus creating a perfect unity. Joining induces creation and creates something out of nothing. The fetus in an organic form settled in the comfortable mother-body, and began its existence. Work titled Creation expressed the amazing and mysterious mythology of life formation. Work titled Growth expressed the mother-body sustaining life as a square frame that surrounded the fetus and compartmentalized the space. It likewise expressed the look of the fetus striving to live by itself like stretching feelers. This expressed the power of growth. Work titled Protection expressed the mother-body further strengthening as a gigantic square frame, and this not only symbolized the protector mother-body but also held a window, the only connector to the world. The mother-body faithfully performed its duty, thus not only protecting and growing the fetus, but also thoroughly isolating it from world's dangers, but it played a role of passage that allowed the fetus to be in contact with objects in the world. Work titled Antagonism expressed the mother-body and the fetus by dissecting one single lump. As the two different life bodies existed in the same space and thus conflicted with each other, they took time in adjusting to each other, gained new joy, resolved all problems and recovered healthy relationships. Work titled Reconciliation created into formation the fetus's ten months of growth, expressing its carved formations becoming larger and clearer gradually in ten plates. The swelling mother-body, and the fetus in the square frame, made the conflict of the mother-body be perceived as futile and more destructive, gradually sublimating into the preciousness and joy of life. Work titled Birth expressed the ten months spent with new life and sense of loss after the birth, using its ten-layer stacked empty square frame. The mother-body regressed to the new reality as it looked back over the past period. Works in this research, in the process of creating life by opposite sexes unifying, addressed the emotions of the mother-body, and expressed these feelings using joined square frames and organic-form combinations. ;사람은 누구나 하나의 성을 갖고 태어나 정해진 수명만큼 살아간다. 따라서 다른 성을 만나 결합하여 새로운 생명체를 만든다. 그 새로운 생명체를 통해 인간의 존재는 계속 유지된다. 생명의 생성 과정은 사람이 살아가는 생의 그 어느 순간보다 모체와 태아 모두에게 많은 변화를 겪는 시기이다. 모체는 여성에서 어머니로 변화되고, 태아는 단하나의 세포에서 완벽한 신체로 많은 변화를 겪는다. 모체와 태아는 열 달의 기간 동안 그러한 변화를 경험하면서 동질감과 이질감을 함께 느끼며 다양한 감정을 갖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임신을 통한 생명의 형성 과정 속에서 모체가 태아를 통해 느끼는 모성적 심리를 표현하는데 있다. 연구의 내용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생명의 개념과 모성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이에 관련하여 생명과 모성을 주제로 한 작가와 작업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조사와 작품제작 및 분석을 병행하였다. 표현내용에서는 모체가 임신기간 동안 느끼는 감정에 따라 태아와 맺는 다양한 관계에 관하여 서술하였다. 표현방법에서는 나무의 결합과 해체를 통해 모체를 형상화 하고 유기적 형태의 태아 상징물을 깎아 서로를 조합하여 그들의 관계를 표현하였다. 이들 표현에 있어서 점층적으로 쌓는 나무는 시간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사각의 형태는 모체의 속성을 상징한다. 더불어 유기적 형태는 생명의 근원적 형태를 상징한다. 작품 분석에서는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표현한 7점을, 이론적 배경과 표현내용 및 표현방법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작품「결합」에서는 서로 다른 두 구조의 사각나무의 끼움이 하나의 덩어리가 되어 완전한 결합이 되는 것을 표현하였다. 결합은 생성을 이끌어 무에서 유를 창출한다. 유기적 형상의 태아는 안락한 모체 안에 자리를 잡고 그 존재의 시작을 맞이했다. 작품「생성」에서는 놀랍고 신비한 생명 형성의 신화를 표현하였다. 작품「성장」에서는 생명을 유지시켜주는 모체를 태아의 주의를 감싸 안고 공간을 구획지어 주는 사각의 틀로 표현하였으며, 스스로 살고자 노력하는 태아의 모습을 촉수처럼 뻗친 모습으로 표현하였다. 이는 성장하는 생명의 힘을 표현한 것이다. 작품「보호」에서는 점점 더 견고해져가는 모체를 거대해진 사각의 틀로 표현하였으며, 이는 보호자인 모체를 상징하는 동시에 세상과의 유일한 연결통로가 되는 창을 지니고 있기도 한다. 모체는 자신의 역할에 충실하여 태아를 보호하고 성장시킬 뿐 아니라 세상의 위험으로부터 철저하게 격리시키지만, 세상의 만물을 접하게 해주는 통로역할도 함께 수행하고 있다. 작품「반목」에서는 하나의 덩어리를 쪼개어 모체와 태아를 표현하였다. 각기 다른 생명체가 동일 공간에 존재함으로써 빚어진 갈등은 적응이라는 시간을 통해 새로운 기쁨이 되어 모든 문제를 해결하고 안정적 관계를 회복했다. 작품「융화」에서는 태아가 열 달 동안 성장하는 모습을 형상화 하여 형태가 점점 커지고 명확해지는 것을 열장의 판으로부터 파내어진 태아의 모습으로 표현하였다. 부풀어 오르는 모체의 모습과 함께 사각의 틀 안에 있는 태아의 모습들은 모체의 갈등은 부질없는 행동이며, 그 자체가 더 파괴적인 행동임을 인식하면서 점차 생명의 소중함과 기쁨으로 승화되고 있다. 작품「탄생」에서 열 단으로 쌓아올린 텅 빈 사각의 틀은 새 생명과 함께 보낸 열 달과 탄생후의 상실감을 표현하고 있으며, 모체는 지난 기간을 되돌아보며 새로운 현실로 회귀하게 된다. 본 연구의 작품들은 서로 다른 성의 결합으로 생성되는 생명의 형성 과정에서 모체가 느끼는 감정을 풀어내는 것으로, 결합된 사각의 틀과 유기적 형태의 조합으로 이러한 감정들을 표현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