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윤주-
dc.creator이윤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8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8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93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79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934-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한국창작춤이라는 춤의 특성을 미학적 근거를 토대로 한 개념의 정립과 또 그 위치를 명료히 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시작된 것으로서 작품에 나타나고 있는 표현주의적 경향을 밝혀내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한국창작춤'이란 1970년대 중반 이후에 "한국춤의 현대화"란 미명 하에 신무용에 반대하여 형성된 개념이다. 이렇게 형성된 한국창작춤이란 용어는 1980년대 중반까지는 다소 일반적인 표현으로서 무용가나 평자들에 의해 산발적으로 쓰여지다가, 80년대 후반에 들어서- 특히 1986~88년 사이-'하나의 독립된 춤의 장르'를 지칭하는 명칭으로 쓰여 지기 시작했다. 이렇게 1987년을 전후해서 한국창작춤은 극히 소수가 아닌 다수의 무용가들에 의해 추어지는, 그리고 무용단이나 무용가마다 서로 조금씩 상이한 스타일을 갖는 예술춤의 한 장르로 떠올랐고, 한국창작춤이란 용어는 일반적이고 상식적인 개념을 갖는 용어가 아니라 특정한 예술춤의 한 장르(genre)를 지칭하는 용어로 굳어지게 되었다. 한국창작춤이란 용어가 형성된 이래로 한국창작춤이 하나의 독립된 춤장르로서 그 특수성을 인정 받을 것인가에 대한 논란은 끊임없었다. 실제로 80년대까지 한국창작춤은 '새로운 춤미학의 추구'를 위한 많은 노력이 있었지만 신무용의 형식과 본질을 그대로 답습하는 경향이 많이 나타났다. 그러나 80년대 후반에 들어 한국창작춤이란 용어의 개념이 정착된 후 90년대를 지나 10년 동안의 경향을 살펴볼 때 현대 무용예술에 큰 획을 긋고 있는 표현주의 무용예술과 그 미적 문화적 근친성을 가지며 표현주의적인 한국춤으로서 한국창작춤의 미학적 특성을 굳히게 되었다. 즉 1990년대 한국창작춤은 신무용적 전통과 어느 정도 맞물려 있는 80년대 창작춤보다 더 과격하며, 첨단적인 극장예술적 기술성을 흡수, 전통성과 아방가르드적인 경향과 융합되는 등 표현주의 무용의 특징을 나타내면서 새로운 한국의 현대적 춤의 모습을 보여주는 한국창작춤의 미학적 근거를 구축하게 된 것이다. 표현주의 무용은 20세기 초에 마리 뷔그만에 의해 독일에서 시작되었고, 인간 내부에 흐르는 영혼의 외침을 신체를 통하여 외부로 표현하는 것을 기본정신으로 한다. 또한 인간내면의 문제들과 현대사회의 문명에 대한 저항 그리고 인간해방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으며 인간감정의 환희, 비애, 고통, 공포, 충동적 반응에 대한 그로테스크(grotesque)한 작품성향과 단순하고 강렬한 특징을 지닌다. 본 논문는 이러한 표현주의 무용예술의 특징들을 토대로 한국창작춤에 나타나는 표현주의적 경향성을 밝혀냄으로서 1990년대가 한국창작춤이 표현적인 춤으로서의 그 미학적 근거를 구축하는데 중요한 시기였음을 밝히므로, 오늘날 산발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한국창작춤의 현위치를 올바로 인식하고자 하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This study, started in order to clarify and define the position of the unique concept of Korean Creative Dance based upon clear dance-aesthetic foundations, focuses its aim in identifying the trend of expressionism demonstrated in dance works. The concept 'Korean Creative Dance' has formed itself in the process of resisting against 'New Dance', under the motto, "The Modernization of Korean Dance" in the late 70's. Thus being the general term, Korean Creative Dance, had been used until the mid 80's in a more or less sporadic sense by individual dance artists and critics, then entering the late 80's -especially from 1986 to 1988- started being utilized as a nomenclature which designated 'an independent genre of dance'. It was before and after the year 1987 that Korean Creative Dance emerged as a genre of art dance, performed by numerous dance artists, and showing somewhat different styles amongst different dance groups or artists. Whereas the term, Creative Dance, was no longer a general nor a common concept but was 'fixed' as a title designating a specific genre of art dance. Ever since the term has been formed, the debate on whether Korean Creative Dance should be considered as an independent dance genre and be appreciated of its characteristics, had never been settled. Despite the many efforts in 'pursuance of new dance-aesthetics' up until the 80's, Korean Creative Dance still carried a trend of the formality and essence of 'New Dance'. However, during the ten years after the concept had been consolidated in the late 80's, Korean Creative Dance shares the aesthetical and cultural consanguinity with the expressionism dance arts, solidifying its aesthetical characteristics as a expressionistic genre of Korean dance. Hence Korean Creative Dance of the 90's more radical compared to the ones of the 80's, which its principles somewhat engage with the traditions of New Dance. Moreover, absorbing the cutting-edge theatrical-artistic technology, thus showing the expressionistic idiosyncracy by fusing traditionalism and avant-gardism, Korean Creative Dance finds its aesthetic foundation exhibiting a totally new dimension of Korean modern dance. Expressionistic dance, first introduced by Mary Wigman of Germany in the early 20th Century, roots its fundamental mentality in expressing the cry of the soul found flowing within the inner-most part of man's mind. Man's inner conflicts, resistance against civilization, and liberation of mankind are the properties of expressionistic dance. The grotesque reactions to human emotions such as joy, pathos, agony, fear, and impulsive acts are the trends shown in expressionistic works, along with the simple yet intense character. The primary aim of this thesis is to discover the trend of expressionism that lies in Korean Creative Dance. By doing so, it can be said that the 1990s was a significant period in building the aesthetic foundation of Korean Creative Dance as an expressionistic genre of creative dance. Futhermore, the ultimate goal hence lies in recognizing the precise position of Korean Creative Dance which is sporadically expanding its domain in the recent current of Korean dan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표목차 = ⅱ 논문개요 = ⅲ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 2 C. 연구의 제한점 = 3 Ⅱ. 표현주의와 무용 = 5 A. 예술사조로서 표현주의 = 5 B. 무용에서의 표현주의 = 8 Ⅲ. 시대적 흐름에 따른 한국창작춤의 발달 = 17 A. 1970년대 한국창작춤 형성 = 17 B. 1980년대 한국창작춤의 발전과 장르 정착 = 20 C. 1990년대 한국창작춤의 미학적 근거 구축 = 22 Ⅳ. 1990년대 한국창작춤의 표현주의적 특징 = 25 A. 주제적 측면 = 25 B. 움직임의 형태미 = 29 C. 공간구성의 측면 = 35 D. 무대미술, 음악, 의상 = 37 Ⅴ. 결론 = 47 참고문헌 = 50 ABSTRACT = 5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7272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1990년대 한국창작춤에 나타난 표현주의적 경향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v, 5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체육학부무용전공-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