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3 Download: 0

장기요양보호 노인전문시설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들의 Burnout에 관한 연구

Title
장기요양보호 노인전문시설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들의 Burnout에 관한 연구
Authors
이진연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고령화에 발맞추어 2000년 노인복지법이 개정됨에 따라 '노인전문'이라는 명칭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부터 장기요양보호 노인전문시설이 확산되었고, 여기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들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아직 업무 자체가 체계화되지 못함으로 인해서 또한, 노인이라는 대상의 특수성에 질병이 더해지기 때문에 발달단계에 따라 비슷한 욕구를 가지는 아동과는 달리 노인은 그 욕구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장기요양보호 노인전문시설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들이 Burnout에 노출되기 쉬운 실정이다. 본 논문은 그들의 Burnout 실태와 요인을 파악하여, 그들이 직ㆍ간접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그들의 클라이언트에게 전달자로서 효과적인 역할수행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담고 있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변수들을 일반적 개인 특성, 업무 환경적 특성, 클라이언트 특성, 수퍼비전 특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전국 노인전문병원 37개 기관, 노인전문요양시설 53개 기관의 사회복지사 125명을 대상으로 2004년 4월 19일부터 5월 9일까지 3주간 조사 연구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13부의 설문지가 분석자료에 활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사용하여 신뢰도 검사, 기술통계와 변량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 회귀 분석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 하였고, 이에 대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기요양보호 노인전문 시설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들은 비교적 Burnout 경향이 낮게 나타났으나, 사회사업 기관 종사자들과 의료기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들의 Burnout 정도와 비교해 보았을 때 장기요양보호 노인전문 시설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들이 Burnout의 하위 요인인 정서적 탈진과 개인적 성취감의 결여에서는 다른 기관들보다 많이 Burnout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기요양보호 노인전문 시설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들이 지각하는 Burnout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특성은 성별, 결혼 여부, 연령, 경력으로 나타났다. 여성일수록, 미혼일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사회복지계 경력이 짧을수록 사회복지사들이 성취감 결여를 더욱 경험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장기요양보호 노인전문 시설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들이 지각하는 Burnout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업무환경적 특성은 금전적 보상과 도전이었으며, 업무환경 변수와 Burnout과의 상관관계에서는 편안함, 도전, 금전적 보상, 승진, 역할 갈등과 역할모호, 업무량의 전체 업무환경 변수 모두와 상관관계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장기요양보호 노인전문 시설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들이 지각하는 Burnout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클라이언트 특성은 클라이언트가 가진 문제의 심각성과 클라이언트가 기관에 만족하느냐의 문항을 제외하고 나머지 클라이언트 수의 적절성, 클라이언트와 장기요양보호 노인전문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와의 관계, 클라이언트가 장기요양보호 노인전문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에게 우호적인지의 관계에 대해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장기요양보호 노인전문 시설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들이 지각하는 Burnout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수퍼비전 특성은 수퍼비전을 받지 못할 때 정서적 탈진으로 나타났다. 수퍼비전의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수퍼바이저가 정서적으로 지지를 해 주는 수퍼비전을 받지 못할 때 정서적 탈진을 경험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수퍼바이저의 도구적 지지를 받지 못할 때, 수퍼비전을 비롯한 교육의 기회가 주어지지 않을 때, 정서적 탈진, 클라이언트의 비인간화, 성취감 결여를 비롯한 전체 Burnout을 경험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Burnout의 예측 인자를 규명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인특성 변수에서는 성별과 연령, 사회복지계 경력으로 나타났으며, 업무환경 변수에서는 역할갈등과 업무량으로 나타났다. 또한, 클라이언트 변수와 수퍼비전 변수는 전 영역에서 Burnout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여성일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사회복지계 경력이 많을수록, 클라이언트 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클라이언트와의 관계가 좋지 않을수록 Burnout이 더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역할에 있어서는 역할갈등을 경험할수록, 업무량이 많을수록 Burnout이 많이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수퍼비전이 적을수록, 수퍼바이저의 정서적 및 도구적 지지가 적을수록 Burnout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 정리해 볼 때 장기요양보호 노인전문시설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들의 Burnout 현상은 어느 한 요인에 의해 작용되는 것이 아니라, 개인 특성, 클라이언트 특성, 업무환경 특성, 수퍼비전 특성이 복합적으로 상호 연관된 다차원적인 문제로 이해되어야 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기초로 Burnout 감소 및 예방을 위한 제언을 세가지 면에서 하였다. 제도적인 면에서는 장기요양보호 노인전문시설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들이 담당하는 클라이언트 수의 조절과, 업무의 명확화 및 현실적 수가 책정 문제를 사회복지사에 대한 사회적 대우와 직결되기 때문에 말하였다. 또한, 업무 환경적인 면에서 근무시간이나 휴가, 승진 등의 처우 개선문제와 수퍼비전의 개발을 장기근속을 위해 제언하였으며, 개인적 차원에서는 장기요양보호 노인전문시설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들 스스로 Burnout을 예방할 수 있도록 전문인으로서 자질 향상을 위해 각종 훈련 프로그램의 참여 및 확대, 지속화의 필요성이 있으며, 무엇보다 스트레스 관리를 위해 사회복지사 스스로 끊임없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라고 제언하였다.;Due to the increase of the elderly population and patients with chronic illnesses, long-term care skilled specially for elder hospital and facility which has been widespread recently. Since it was reformed the Older Welfare Act in 2000, 'specially for elder' has called. And many social workers is engaged in there. The Burnout of social worker's in long-term care skilled specially for elder hospital and facility has been a key factor for providing the effective services as well as a mediator. But, long-term care skilled specially for elder hospital and facility have not yet systematical social work. And children have similar needs by development step. But old people have variety needs. Therefore social worker's has experienced in long-term care skilled specially for elder hospital and facility. This study provoke social worker's in long-term care skilled specially for elder hospital and facility burnout since the importance of role was recognized. And this study on the reason to burnout of long-term care skilled specially for elder hospital and facility social workers has so far focused on examining individual characteristic, work environmental, client factors, supervision factors. For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125 in long-term care skilled specially for elder hospital and facility social worker's from 37 hospital and 53 facility was registered in Korea Ministry of Health & Welfare. Between April 19, 2004 and march 9, 2004. A total of 113 survey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Burnout scale invented by Maslach & Jackson(1981) MBI(Maslach Burnout Inventory), Work environmental and supervision factors scale invented by Jayaratne(1982) was used, client factors scale invented by Maslach(1978). Eata analysis were done by SPSS and a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were employ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First, social worker's in long-term care skilled specially for elder hospital and facility reported somehow level of burnout. Nevertheless, compared to social service agents and medical social workers, social worker's in long-term care skilled specially for elder hospital and facility reported subcategories of emotional exhaustion and lack of personal accomplishment. Second, the study shows that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which influence on the worker burnout are gender, marital status, age, social work period. Females go through burnout more males do. The single workers do more than the married workers. And the lower age, short term social work period is, more than they experience burnout. Third, the work environmental variables that the social worker's in long-term care skilled specially for elder hospital and facility perceive are challenge and financial rewards. With regard to ambiguity, role conflict, comfort, promotion, workload, it is correlated with burnout. Forth, the client variables which affect social worker's in long-term care skilled specially for elder hospital and facility are adequate number of clients, emotional closeness, client's attitude to worker with the exception of client satisfaction with the facilities and client with the facilities and client with the serious diseases. Fifth, the supervision variables which affect social worker's in long-term care skilled specially for elder hospital and facility are. The fewer the chances of supervision and the worse supervision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social worker burnout is. Sixth, to examine expected variables of burnout, a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of four variables-individual characteristic, work environmental, client variables, supervision variables-were carried out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variables which affect social work burnout are social work period, age and gender. The work environment and supervision, client variables which affect social work burnout are field. In detail, Burnout subcategories include that social worker in long-term care skilled specially for elder hospital and facility experience emotional exhaustion of burnout subcategories by the more client, the more serious disease have client, the more serious disease have client, and short term social work period. They experience burnout that the less maintain friendly relations with their client, the less comfortable, change, reward, many workload and supervision. They experience lack of personal accomplishment of burnout subcategories as the less maintain friendly relations with their client, change, reward, supervision. Also many role complication experience lack of personal accomplishment of burnout subcategories. They experience depersonalization of client increase the females worker, the more working hours, the more than workload, client, many role complication, and not satisfaction in hospital and facility. In conclusion, the social worker burnout in long-term care skilled specially for elder hospital and facility cannot be explained by one way but also should be explained through complicated factors such as individual characteristics, work environment, client factors and supervision factors. In addition, there are some obvious suggestions which were based on the implications of the above results to prevent the social work in long-term care skilled specially for elder hospital and facility and their responsibility clearly. Second, the public relations by the government are needed to keep the workload, the adequate number of clients and the establish supervisors system. Third, individual factor, education program provide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ir work. Most of all, they must stress management try to it of their own accord. More studies on the social worker burnout are demanded to clear the exact causes and the effective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through the studies. This study contains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inally, social workers' comprehensive role in improving vocational services for elder clients was underscor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